$\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교육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관리감독자와 일반근로자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Industrial Safety Education to Workers in Construction Field -Focus on the Supervisor and the Worker-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1 no.4, 2009년, pp.43 - 55  

조재환 (GS건설) ,  우흥식 (동국대학교 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  박민규 (서울산업대학교 철도경영정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erms of deregulation requests from business, in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re rapidly increasing after reducing the regular safety training hours. Especially, to prevent incidents through safety trainings for construction site workers, who have lots of hazardous tasks than general manufactu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산업재해 교육과 관련하여 훈련에 대한 인식과 안전의식 등 산업 안전재해에 관련한 교육의 내용이 근로자의 업무와 어느 정도 인관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인식 조사 등을 관리자와 일반근로자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양한 인문과학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설문은 관리감독자와 일반근로자 사이의 평상 시 작업 상황에서의 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를 측정하는 항목이다. 안전의식에 관해 관리감독자의 평균은 2.
  • 본 연구는 국내 건설 대기업인 G건설을 대상으로 산업안전교육이 실제 현장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관리감독자와 일반근로자 측면에서의 비교를 통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집락 내에서의 표본의 선정은 어떻게 하였나? 표본 추출은 관리감독직과 일반 근로자를 두 단계로 나누어서 조사하는 할당 추출법을 적용하였다. 각 집락 내에서의 표본의 선정은 비확률 표본 추출법의 하나인 임의 추출법을 활용하여 표본을 선택하였다. 인구통계적 요인에 대한 표본 분석을 위해 관리자 응답중 188명(210명중, 89.
관리감독자와 일반근로자 측면에서의 비교를 통한 실증 분석결과는?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실질적 안전대책을 위해서 선진국 수준의 충분한 교육시간을 두도록 규정을 과거와 같이 개선하고 서류 중심의 교육에서 현장중심으로, 사고 대응형에서 본질적인 안전형으로 전환하여 원청업체와 하청업체가 모두 안전대책과 재해예방을 공동으로 대응함으로써 안전관리능력을 집단적으로 제고시키도록 한시적으로라도 규제를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법정안전교육 내용이 건설업 특성에 적합한 내용으로 대폭 수정되어야 한다. 현재도 그렇지만 사고업체에 대한 처벌 및 입찰참가 제한 둥 불이익 확대로 건설업체의 안전관리수준을 향상하도록 독려해야 하며 행정적인 규정으로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성별에 따른 변수들의 비교분석을 하지 않은 이유는? 5%가 남자였다. 여성으로 응답한 사람이 1명으로 전체 183명의 조사대상자들과 남성응답자 182명을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성별 변수로 성별에 따른 변수들의 비교분석을 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윤효원, '노동과 세계', 한국산업안전연대, 2008 

  2. 김경배, '산업재해의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관동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김맹룡, '산업재해예방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4. 김선유, '산업재해의 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순천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영수, '중소기업안전관리개선방안에과낳ㄴ연구:부천, 김포지역중심으로', 인하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남국섭, '산업재해의 공상처리 실태 및 개선방안: 대구, 경북소재 중소기업 설문조사 중심으로', 금오광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박찬욱, '우리나라 산업재해 현황과 업종별 재해 특징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 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노형진,'SPSS에 의한 다변량데이터의 통계 분석', 효산 출판사, p.15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