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산속 식물인 모데미풀의 자생지 식생을 비롯해 환경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데미풀의 자생지는 770~1,440m에 위치하고, 경사는 $0{\sim}20^{\circ}$로 완만하였으며, 주로 계곡부 북사면에 불연속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111종류였다.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27.05%로 가장 높았으며, 모데미풀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분류군으로는 박새 (5.67%), 현호색 (5.32%), 눈개승마 (4.35%), 벌깨덩굴(4.06%), 홀아비바람꽃(3.91%) 등으로 나타났다. 자생지 상층 수목 중 교목층은 층층나무, 가래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아교목층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이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관목층은 물참대와 귀룽나무가 우점하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16이었고,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2와 0.81로 나타났다.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평균 26.41%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7.83%로 나타났고, pH는 5.83으로 확인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 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경사와 pH, 경사와 유기물함량, 우점도와 중요치, 종다양도와 종풍부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우점도와 종다양도, 종다양도와 중요치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ti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oil analysis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habitats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basal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 saniculifolia was distributed around an altitude of 770~1,440 m with an inclination of $0{\sim}20^{\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7) 등 분류학적 위치나 계통유연관계를 밝히려는 연구가 주로 수행된 반면, 생태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는 유 등(1999)이 소백산, 태기산, 광덕산, 점봉산 등 4개 지역만을 대상으로 식생분석과 토양분석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수행된 바 없어 자생지 전반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산속이라는 분류학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모데미풀을 대상으로 자생지 환경과 식생 및 토양 특성을 분석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게 하고자 한다.
  • 특산속 식물인 모데미풀의 자생지 식생을 비롯해 환경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데미풀의 자생지는 770~1,440m에 위치하고, 경사는 0~20º로 완만하였으며, 주로 계곡부 북사면에 불연속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데미풀 자생지의 분포패턴은 어떠한가? 자생지의 분포 패턴은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상류의 습지 쪽으로 갈수록 집중적으로 군락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데미풀이 대부분 계곡을 따라 분포하고, 약간 그늘진 곳에서 군락을 형성한다는 유 등(1999)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모데미풀의 자생지 식생의 상층 수목별 우점종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91%) 등으로 나타났다. 자생지 상층 수목 중 교목층은 층층나무, 가래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아교목층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이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관목층은 물참대와 귀룽나무가 우점하였다. 종다양 도는 평균 1.
모데미풀은 어떤 과에 속하는가? 국내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 중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1속 1종인 우리나라 특산속 식물이라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높다. 지금까지 모데미풀은 지리산(Ohwi 1935), 설악산(Lee 1980; Lee and Yu 1984), 점봉산(이 1980), 덕유산(박과 박 1973), 안동 (권과 오 1973), 소백산과 한라산 (이 1984; 김 1985), 광덕산, 태기산과 태백산(유 등 1999) 등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는 금강산과 자강도 청학대(Im 1996)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국립환경과학원.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pp. 127-153 

  2. 권오용, 오수영. 1973. 안동지방 식물조사 보고서. 안동교대논문집. 6:167-223 

  3. 김무열, 이상태. 1987. 모데미풀과 근연식물의 화분학적 유연관계. 식물분류학회지. 17:13-20 

  4. 김문홍. 1985. 제주도의 관속식물상.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pp.243-298 

  5. 김용식, 전승훈, 강기호. 1996.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147-155 

  6.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pp.209-220 

  7. 김준호, 서계홍, 정연숙, 이규송, 고성덕, 이점숙, 임병선, 문형태, 조강형, 이희선, 유영한, 민병미, 이창석, 이은주, 오경환. 2007. 현대생태학. 교문사. 서울 

  8. 김진수, 유기억. 2009. 산림식물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전략개발-유전다양성과 생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보고서. pp. 28499 

  9. 노 일, 문현식. 2004. 히어리 군락의 입지특성과 식생구조분석. 농업과학연구. 38:41-51 

  10. 박만규, 박홍식. 1973. 무주구천동의 식물상. 무주구천동 종합학술조사보고서. pp.31-53 

  11.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12.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13. 산림청.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국립수목원조사보고서 

  14. 안영희. 2003. 제주도의 자생 황근 분포와 자생지 생태적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440-446 

  15. 안영희, 이성제. 2007. 울릉도 섬시호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식물상. 한국환경과학회지. 16:751-761 

  16.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17.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1999.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12-323 

  18. 유주한, 이철희. 2005.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초본군락과 식물상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15-324 

  19.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 2004.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10-220 

  20. 이상태. 1990. 모데미풀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하여. 식물분류학회지. 20:1-8 

  21.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II. 교학사. 서울 

  22. 이영노, 여성희. 1985. 모데미풀의 분류학적 형질. 식물분류학회지. 15:127-131 

  23.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24. 이우철. 1996b.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25.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368pp 

  26. 이창복. 1984. 한라산의 특산 및 희귀식물.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6:1-6 

  27.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하. 향문사. 서울 

  28. 이창석, 이안나. 2003.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6:143-150 

  29. 최송현, 권전오, 송근준. 2000. 지리산국립공원 대원사 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54-366 

  30. 최송현, 오구균. 2003.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21-432 

  31.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32. Allen SE. 1989.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2n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33.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The Benjamin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34.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 27:325-349 

  35.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pp.1-184 

  36. Feodoroff A and R Betriemieux. 1964. Une methods de laboratorire pour la determination de la capacite au champ. Science du sol. p. 109pp 

  37. Hamrick JL, MJW Godt, DA Murawski and MD Loveless. 1991. Correlations between species traits and allozyme diversity: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biology. Holsinger (eds.) In Genetics and Conservation of Rare Plants, Falk, D.A. and K.E. Holsinger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8. Heo K and YB Suh. 2008. Taxonomic implications of seed coat in the Subtribe Calthinae (Ranunculaceae). Korean J. Pl. Taxon. 38:1-16 

  39. Im RJ. 1996. Flora of Coreana. Vol. 2.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North Korea 

  40. Jang MY and K Heo. 2005. Reproductive morphology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Ranuncul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J. Plant Biol. 48:128-135 

  41. Lee TB. 1980.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the area of Mt. Sorak. Bulletin of the Kwanak Arboretum 3:197-201 

  42. Lee TB and JD Yu. 1984. Endemic and rare plants: Mt. Sorak, Kangwon Prov. pp.169-191 

  43. Ohwi J. 1935. Megaleranthis, Genus Novarum Ranunculacearum. Acta Phytotax. Geobot. 4:130-131 

  44. Pearson K. 1895. Royal Society Proceedings. 58:241 

  4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USA 

  46. Rhyu TC and JH Kim. 1994a. Growth decline of pitch pine caused by soil acidifi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 Ecol. 17:287-297 

  47. Rhyu TC and JH Kim. 1994b. Water deficit of pitch pines caused by superficial rooting and air by superficial rooting and air pollutants in Seoul and its vicinity. J. Plant Biol. 37:309-316 

  48. Ro KE, CS Keener and BA McPheron. 1997.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Ranunculaceae; utility of the nuclear 26S ribosomal DNA in inferring intrafamilial relationships. Mol. Phylogenet. Evol. 8:117-1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