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환경 및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위해도 인식 차이
Differences of Experts and Non-experts in Perceiving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Risk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5 no.4 = no.109, 2009년, pp.269 - 277  

함명일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보건행정경영학과) ,  권호장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후연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  박화규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보건행정경영학과) ,  이상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xperts and the public perceived various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hazards based on psychometric paradigm.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that included 30 hazards and 10 risk attribut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people with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24) Savadori 등의 연구와 같이 특정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7개 정도의 요인에 대한 위험인식을 측정하기도 하였다.17)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요인을 기존 문헌을 토대로 연구진의 논의를 통해 환경적 요인, 기술적 요인, 교통 요인, 화학물질 및 중독성 물질 요인으로 구분한 30개 위해요인을 도출하여 전반적 위험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계량심리학적 분석방법은 위험에 대한 인식은 사람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고 정량화 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19) 이 연구에서는 환경 및 산업 관련 전문가들과 일반인(대학생)들이 환경 및 과학기술과 관련한 위해요인(hazards)에 대한 위험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험의 인식을 다양한 위험속성별로 확인하고 공통적 위험 속성을 도출함으로써, 실제 일반적인 위험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 문헌에서도 이 연구와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출된 위험인자가 실제 전반적인 위험의 인식의 영향여부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19,21,22,27) 이 연구는 전문가, 준전문가, 그리고 일반인(대학생)간의 위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각 전문가 집단을 정의하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의 경우 전국의 전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나, 타 집단에 비해 회수율이 낮았다.
  • 우선 이 연구가 단면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인자분석을 통해 도출된 2개의 인자가 전반적인 위험과 편익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 문헌에서도 이 연구와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출된 위험인자가 실제 전반적인 위험의 인식의 영향여부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19,21,22,27) 이 연구는 전문가, 준전문가, 그리고 일반인(대학생)간의 위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각 전문가 집단을 정의하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19) 이 연구에서는 환경 및 산업 관련 전문가들과 일반인(대학생)들이 환경 및 과학기술과 관련한 위해요인(hazards)에 대한 위험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험의 인식을 다양한 위험속성별로 확인하고 공통적 위험 속성을 도출함으로써, 실제 일반적인 위험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설계가 단면연구(cross sectional study)로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는 측면과 조사 대상 중 전문가의 설문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우선 이 연구가 단면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인자분석을 통해 도출된 2개의 인자가 전반적인 위험과 편익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 문헌에서도 이 연구와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출된 위험인자가 실제 전반적인 위험의 인식의 영향여부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Slovic 등이 개발한 계량심리학적 분석방법(psychometric paradigm)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환경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위해요인들에 대해 어느 정도 위험하다고 느끼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량심리학적 분석방법은 위험에 대한 인식은 사람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고 정량화 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 이 연구는 계량심리학적 방법(psychometric paradig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을 환경보건 전문가와 준전문가, 일반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우리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 및 과학기술에 대한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외국의 문헌과 국내 문헌을 토대로 30개 위해요인(hazard)에 대해 8개의 차원(attribute)으로 구분하여 개의 위험속성을 기준으로 위험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 이 연구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접해있는 위해요인에 대한 위험도를 계량심리학적 방법을 통해 측정한 연구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대학생)들 간의 위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설계가 단면연구(cross sectional study)로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는 측면과 조사 대상 중 전문가의 설문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환경 및 과학기술의 위해요인에 위험에 대한 인식을 전문가와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전문가 집단과 준전문가 집단, 그리고 일반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2005년 4월에서 6월까지 실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 확인한 위해요인(hazards)들이 인자분석을 통해 도출된 위험의 심각성 속성(dread risk)과 위험에 대한 지식 속성(unknown risk) 측면에서 각 위해요인별 인자점수를 통해 어느 정도의 위험에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환경 위해요인 중 환경호르몬과 지구온난화는 비교적 위험의 심각성이 높고 관련된 지식이 적었던 반면, 쓰나미, 지진, 태풍 등의 자연재해는 위험의 심각성이 높으나 관련한 위험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다.
  • 를 들 수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모두 일반인만을 연구에 포함시킨 제한점을 가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준전문가 그리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 및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일반인들과 전문가들이 가지는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객관적인 과학적 사실과 일반인들의 위해도 인식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지하고 이를 위험 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은 무엇에서 알 수 있는가? 1) 그런데 이와 같은 위험 요인들에 대하여 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객관적인 (확률에 기초한) 위해도와는 별개로 일반인들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가치체계에 기초한 자신의 위해도 인식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위험을 관리해야 하는 정부를 포함한 위험 관리자의 입장에서 이와 같은 객관적인 과학적 사실과 일반인들의 위해도 인식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지하고 이를 위험 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2008년 광우병 및 2009년 탈크3)와 관련하여 야기된 우리 사회의 혼란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계량심리학적 방법론에 기초한 일반인들의 위험 인식에 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계량심리학적 방법론에 기초한 일반인들의 위험 인식에 대한 연구로는 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차용진의 연구와18,19) 해안 지역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간 비교 연구20)를 들 수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모두 일반인만을 연구에 포함시킨 제한점을 가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준전문가 그리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 및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일반인들과 전문가들이 가지는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위험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위험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군의 심리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4) 특히 Slovic과 그의 동료들은 위험이 개인에게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을 다면적,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일련의 연구들5-7)을 통해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위험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량심리학적 분석방법(psychometric paradigm)을 개발하였다. 이후 계량심리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험들에 대하여 여러 문화권에서 많은 연구들8-15)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서 위험관리(risk management)와 위험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에 필수적인 대중들의 위험 인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산출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okolowska, J., Tyszka, T. :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risks: why are poor countries less concerned? Risk Analysis, 15(6), 733-743, 1995 

  2. Slovic, P., Fischhoff, B., Lichtenstein, S : Cognitive processes and societal risk taking. In Slovic P.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32-50, 2000 

  3. Park, D. : Possible health risk over tabl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5(3), 235-238 

  4. Slovic, P. :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2000 

  5. Fischhoff, B., Slovic, P., Lichtenstein, S., Read, S., Combs, B. :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 Policy Science, 9, 127-152, 1978 

  6. Slovic, P., Fischhoff, B., Lichtenstein, S. : Facts and fears: understanding perceived risk. In Schwing RC and Albers WA Jr. (ed) Societal risk assessment: how safe is safe enough? New York, Plenum, 1980 

  7. Slovic, P. :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1987 

  8. Renn, O. : Three decades of risk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new challenges. Journal of Risk Research, 1(1), 49-71, 1998 

  9. Hinman, G. W., Rosa, E. A., Kleinhesselink, R. R., Lowinger, T. C. : Perceptions of nuclear and other risk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Risk Analysis, 13, 449-455, 1993 

  10. Flynn, J., Slovic, P., Lichtenstein, S., Read, S., Combs, B. : Gender, race and environmental health risks. Risk Analysis, 14, 1101-1108, 1994 

  11. Karpowicz-Lazerg, C., Mullet, E. : Societal risk as seen by the French public. Risk Analysis, 13, 253-258, 1993 

  12. Kleinhesselink, R., Rosa, E. :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risk perceptions: A comparison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2(1), 11-28, 1991 

  13. Nyland, L. G. : Risk perception in Brazil and Sweden. Risk Research Report, 15, 1993 

  14. Teigen, K. H., Brun, W., Slovic, P. : Societal risks as seen by the Norwegian public. Journal of Behavioural Decision Making, 1, 111-130, 1988 

  15. Rohrmann, B. : Risk perception of different societal groups: Australian findings and cross-national comparison.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46, 150-163, 1994 

  16. Siegrist, M., Keller, C., Kastenholz, H., Frey, S., Wiek, A. : Laypeople's and Experts'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Hazards. Risk Analysis, 27(1), 59-69, 2007 

  17. Savadori, L., Savio, S., Nicotra, E., Rumiati, R., Finucane, M., Slovic, P. : Expert and public perception of risk from biotechnology. Risk Analysis, 24, 1289-1299, 2004 

  18. Cha, Y.-J. : Risk perception in Korea: An application of psychometric paradigm. International Journal of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1(1/2), 42-45, 2000 

  19. Cha, Y.-J. :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4), 321-332, 2000 

  20. Zhai, G., Suzuki, T. : Risk perception in Northeast Asia. Environ Monit Asssess Epub DOI 10.1007/s10661-008-0524-y, 2008 

  21. Lazo, J. K., Kinnell, J. C., Fisher, A. : Expert and layperson perceptions of ecosystem risk. Risk Analysis, 20(2), 179-193, 2000 

  22. Bronfma n, N. C., Cifuentes, L . A. : Risk perception in a developing country: The case of Chile. Risk Analysis, 23(6), 1271-1285, 2003 

  23. Lai, J. C., Tao, J. :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azards in Hong Kong Chinese. Risk Analysis, 23(4), 669-684, 2003 

  24. Rundmo, T., Moen, B. E. :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in transport: A comparison of lay people, politicians and experts.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2006 

  25. Hansen, J., Holm, L., Frewer, L., Robinson, P., Sandoe, P. : Beyond the knowledge deficit: recent research into lay and expert attitudes to food risks. Appetite, 41, 111-112, 2003 

  26. Siegrist, M., Keller, C., Kiers, H. A. L. :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2005 

  27. Barnett, J., Breakwell, G. M. : Risk perception and experience: Hazard personality profil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Risk Analysis, 21(1), 171-17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