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강슬래그와 CaO를 이용한 폐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의 안정화 처리 연구
Sta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Paddy Soils near Abandoned Mine with Steel Slag and CaO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4 no.6, 2009년, pp.78 - 86  

손정호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노훈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선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성규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길홍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중규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양재규 (광운대학교 교양학부) ,  장윤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소 및 여러 양이온 중금속으로 오염된 풍정광산 주변 밭토양 및 논토양의 안정화처리를 위해 CaO제강슬래그를 여러 혼합비로 사용하였을 때의 적용성을 회분식 및 컬럼반응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TCLP 용출시험법을 이용하여 안정화제 처리 전후의 중금속 고정화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안정화제로 제강슬래그만 사용한 경우에는 비소 및 양이온 중금속 모두에서 고정화도가 15% 이하로서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것은 제강슬래그 주요 성분인 $Fe_2O_3$$SiO_2$에 의한 중금속들의 안정화효과가 크지 않은 것과 제강슬래그 자체에 함유된 CaO에 의한 토양 pH 상승효과가 용출실험에 사용한 TCLP 용액의 산성도에 의해 상쇄된 것에 기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CaO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주입비율의 차이에 따른 양이온 중금속 제거율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제강슬래그의 비를 높여 줄수록 비소의 제거율의 증가를 가져왔다. 컬럼실험에서도 CaO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주입한 경우 비소 및 양이온 중금속들의 용출농도는 처리기간 동안 수질배출허용 기준이하로 나왔다. 이것은 양이온 중금속의 경우 CaO 사용에 따른 pH 증가함에 따른 중금속의 고정화, 비소의 경우는 CaO에서 유리된 $Ca^{2+}$$AsO_4^{3-}$와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난용성의 $Ca_3(AsO_4)_2$가 생성되는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비소 및 양이온 중금속이 함께 오염된 토양의 안정화에 CaO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주입할 경우 복합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처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licability of CaO and steel slag as stabilizers in the treatment of field and paddy soils near Pungjeong mine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cationic heavy metals was investigated from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was evaluated by TCLP dissolution test. Immobil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풍정광산 주변 오염토양(농경지)에 대해서 부지특성을 고려한 최적 복원공법을 선정하고 현장적용을 실시하기 전의 선행 연구 단계로서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중금속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유효하게 적용되고 있는 CaO와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복원비용을 경제적 수준으로 높이기 위하여 제강 슬래그를 사용하여 적절한 혼합비에서 토양 중 중금속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폐광산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어떤 물질들인가? 휴·폐광산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주로 As, Cd, Cu,Pb, Zn 등의 유해성 무기물질들이며, 이들은 주변의 토양, 하천수/지하수, 식물 및 주민들에게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서영진 외, 2002; 정명채 외, 2004: 김은이 외, 2005; 양재규 외, 2005; 김정대, 2005). 이러한 환경오염원에 대한 조사, 평가 및 복원기술은 국내외에서 1990년대에 와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술은 오염물질에 따라 토양오염 확산방지기술, 토양오염 정화기술,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처리기술 그리고 오염지하수 정화기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수삼 외, 2003).
논과 밭 토양시료의 중금속 오염농도는 무엇에 의해 측정했는가? 논과 밭 토양시료의 중금속 오염농도는 토양공정시험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풍정광산 주변 밭토양에서는 As 및 Pb의 농도가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수삼, 한상재, 2003, 동전기 오염지반 정화 기술, 구미서관, 서울, p. 197 

  2. 김은이, 강완협, 박주양, 2005, 폐광산 비소 오염 토양의 특성 및 고형화/안정화, 한국폐기물학회지, 22(4), 363-371 

  3. 김정대, 2005, 강원도 폐금속광산지역의 광미와 주변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7(6), 626-634 

  4. 서영진, 김찬용, 박만, 이동훈, 최충렬, 김광섭, 최정, 2002, 폐광산 인근 논토양과 수도의 비소함량 조사,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5(11), 152-156 

  5. 양재규, 장윤영, 2006, 비소용출에 대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8(7), 731-737 

  6. 양재규, 유목련, 이승목, 2005, 중금속 제거용 흡착제로서의 철광사 적용, 대한 환경공학회지, 27(11), 1180-1185 

  7. 이민효, 최상일, 이재영, 이강근, 박재우, 2006, 토양지하수환경, 동화기술, 서울. p. 294 

  8. 정명채, 1994, 정명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 27(5), 469-477 

  9. 정명채, 정문영, 최연왕, 2004, 국내 휴/폐광 금속광산 주변의 중금속 환경오염 평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 37(1), 21-23 

  10. Federal Remediation Technology Roundtable (FRTR), 2002, Remediation Technologies Screenin Matrix and Reference Guide, Version 4.0. USA 

  11. Jurate, K., Anders, L., and Christian, M., 2008,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mdments-A review, Waste Management., 28, 215-225 

  12.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 884-851 

  13. US EPA Method 9081, Cation Exchange Capacity of Soils, US EPA Method 1311,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US EPA Method 1312,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