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 및 중금속 오염농경지의 안정화 처리를 위한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 검토
An Investig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for Stabiliza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 in the Farmland Soils nearby Abandoned Metal Min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734 - 744  

윤성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신일 (경상대학교 대학원) ,  진혜근 (경상대학교 대학원) ,  김하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  임영철 (한국광해관리공단) ,  이지민 (한국광해관리공단) ,  유찬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공법을 이용하여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 및 중금속 성분이 복합적으로 오염된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안정화제로써 석회석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와 적용성을 실내컬럼실험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대상토양 내 중금속의 존재형태 중 이동성이 높은 형태인 교환성 및 탄산염 형태의 분포비율은 여러 문헌들의 결과들과 유사하게 카드뮴 > 아연 > 납 순으로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광해로 인한 농경지의 오염성분들 중 카드뮴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상당한 주위가 필요한 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토양과 같이 pH가 매우 높은 토양도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산성환경에 의해 일시적으로 토양의 pH 완충력이 감소하여 다량의 중금속 성분들이 용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로 처리한 처리구는 수질기준을 초과한 침출수 가 관찰되었던 대조구에 비해 모두 수질기준 이하로 중금속의 농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비소의 경우는 비소 저감의 목적으로 적용한 제강슬래그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강슬래그가 함유하고 있는 인 성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비소와인의 경쟁적인 흡착 관계에서 그 우세함이 토양의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석회석은 카드뮴, 납 그리고 아연 등의 중금속 성분에 대해서 모두 좋은 처리효과를 나타내어 토양의 중금속 처리에 있어서 효과적인 안정화제로 판단되었다. 제강슬래그의 경우는 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물질인 철 산화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소 처리에 있어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재료로 판단되나 복원 대상토양 내에서 철 산화물과 서로 강하게 흡착하려고 하는 비소와 인의 흡착선호도를 먼저 평가한 후에 적용여부를 검토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oil stabilization method is an effective and practical remediation alternative for arsenic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farmland soils nearby abandoned metal mine in Korea. This method is a technique whereby amendments are incorporated and mixed with a contaminated soil. Toxic metal bin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일 동안 총 10 PV의 침출수를 채취 한 후 일반적인 산화조건 외에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우려되는 오염성분의 유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도 함께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금속으로 오염되었던 농경지 토양이 안정화 처리된 후에 예상되는 특이한 상황은 pH의 변화에 따른 중금속 성분의 재용출이며 이러한 문제 때문에 안정화 공법은 안정성에 관한 문제가 항상 제기되곤 한다 (Chung, 2001).
  • 본 연구에서는 pH를 상승시켜 토양 내에서 이동성 및 식물이용성이 높은 중금속 성분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석회석 (LS)을 안정화제로 선정하였으며, 또한 비소 처리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철산화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산업부산물인 제강슬래그 (SLS) 를 선정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비소 처리에 대한 일반적인 알칼리 재료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 에서 사용한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는 각각 경기광업과 슬래그 업체인 효석에서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안정화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물성시험을 한국산업규격 (KS F)에 의거해 실시하였고, 광물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XRF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구성 성분들의 함량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공법을 이용하여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 및 중금속 성분이 복합적으로 오염된 농경지를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안정화제로써 석회석과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와 적용성을 실내컬럼실험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 5 cm, 지름 10 cm의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이때 컬럼의 높이는 대상오염농경지의 중금속 오염분포 깊이가 표층토에서 최대 60 cm까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나 안정화제 처리의 최대깊이로 오염토층을 형성시키고, 안정화제 처리 후 산업자원부 고시 제2006-75 호 「광해방지사업의 핵심공법 또는 핵심기술의 범위」에 근거하여 그 상부에 비오염토로 복토층을 형성시켜 주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리고 대조구의 경우는 복토층 형성을 고려하지 않고 오염토층만을 적용시키기 위해 컬럼 높이가 설계되었다.
  • (2010)의 연구에서는 제강 슬래그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 토양 내 유효태 비소 농도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효인산의 농도는 반대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비소와 인의 경쟁적인 흡착 관계의 영향으로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해볼 때 토양의 특성에 따라 비소와 인의 흡착 경쟁관계에서 그 우세함이 상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본 연구에서도 제강슬래그 처리로 인한 인의 증가가 철 성분과 비소의 흡착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 토양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제를 선정하고 그 처리효율과 적용성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폐금속 광산 주변에 위치한 비소 및 중금속 성분으로 복합 오염된 농경지를 복원하기 위한 안정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 주변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 토양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한 안정화제를 선정하고 그 처리효율과 적용성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폐금속 광산 주변에 위치한 비소 및 중금속 성분으로 복합 오염된 농경지를 복원하기 위한 안정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까지 휴・폐금속광산 중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광산에 대하여 실시한 토양오염방지사업의 대부분은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가? 최근까지 휴・폐금속광산 중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광산에 대하여 실시한 토양오염방지사업의 대부분은 갱구처리, 광재 (광미 등) 처리에 중점 두어져 있었고 오염토양에 대한 처리는 지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특히 오염농경지의 경우에는 절토, 성토, 순성토, 복토, 농경지개선, 오염 농경지정비, 토양개량제 (소석회 등) 사용처리 등으로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Chung, 2001; Kim, 2005; Lee, 2007; 한국농촌공사, 2008).
토양오염 방지 사업과 관련하여 오염농경지의 경우에는 절토, 성토, 순성토, 복토, 농경지 개선, 오염 농경지 정비, 토양개량제 사용처리 등으로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오염농경지의 경우에는 절토, 성토, 순성토, 복토, 농경지개선, 오염 농경지정비, 토양개량제 (소석회 등) 사용처리 등으로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Chung, 2001; Kim, 2005; Lee, 2007; 한국농촌공사, 2008). 그 이유는 휴・폐금속광산 주변 오염 농경지 대부분이 낮은 오염농도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어 그 처리량이 많고, 복원 이후 농경지로서 그 기능회복에 대한 문제 등으로 처리비용이 대단히 높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공사, 2008). 따라서 다량의 토양 굴착을 요하는 유리화법 (vitrification)과 토양세척/산추출법 (soil washing/ acid extraction), 원위치 토양세정공법 (in-situ soil flushing) 등의 외국 사례들과 같은 처리기술을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실제 위와 같은 처리기술을 적용한 사례 역시 극히 드문 실정이다 (한국농촌공사, 2008).
최근에 들어 중금속 오염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은 무엇인가? 최근에 들어 중금속 오염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고형화/안정화 (solidification/stabilization) 공법이다. 이 기술은 in-situ와 ex-situ가 모두 가능한 기술로서 저렴한 비용, 짧은 처리기간과 복원 효율의 발현 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우리나라 폐금속 광산 주변에 위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와 같이 광범위한 저농도의 중금속 오염토양을 처리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공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Le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sta, N.T. and S.L. McGowen. 2004. Evaluation of chemical immobilization treatments for reducing heavy metal transport in a smelter-contaminated soil. Environ. Pollut. 127:73-82. 

  2. Bolan, N.S., D.C. Adriano, and D. Curtin. 2003. Soil acidification and liming interactions with nutrient and heavy metal transformation and bioavailability. Advances in Agronomy 8:215-272. 

  3. Cao, X., L.Q. Ma, and A. Shiralipour. 2003. Effects of compost and phosphate amendments on arsenic mobility in soils and arsenic uptake by the hyperaccumulator, Pteris vittata L. Environ. Pollut. 126:157-167. 

  4. Carlson, L., J.M. Bigham, U. Schwertmann, A. Kyek, and F. Wagner. 2002. Scavenging of As form acid mine drainage by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a comparison with synthetic analogues. Environ. Sci. Technol. 36:1712-1719. 

  5. Chi, H.K. 2005. A study on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and possibility of soildification/stabilization in mine tailings by column test. Master Thesis. Semyung University, Korea. 

  6. Chung, I.J. 2001. Immobilization of heavy-metals in the tailing of closed metal mining site. Ph.D. Thesis. Sogang University, Korea. 

  7. Hartley, W., R. Edwards, and N.W. Lepp. 2004. Arsenic and heavy metal mobility in iron oxide-amended contaminated soils as evaluated by short-and long-term leaching tests. Environ. Pollut. 131:495-504. 

  8. Huh, H.W. and M.K. Huh. 1998.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important crops. J. Korean Environ. Sci. Soc. 7:123-131. 

  9. Hwang, E.H. 2000.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paddy soil in the vicinity of the Seosung Pb-Zn mine.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0. Janos, P., J. Vavrova, L. Herzogova, and V. Pilarova. 2010. Effects of inorganic and organic amendments on the mobility (leachability)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oil: A sequential extraction study. Geoderma 159:335-341. 

  11. Jeon, J.W., B.H. Bae, and Y.H. Kim. 2010. Applicability test of various stabilizers for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from smelter area.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1:63-75. 

  12. Jun, K.S. and S.E. Oh. 2002. Chemical fixation of heavy metal in contaminated soil from abandoned mine land.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2:67-80. 

  13. Jung, B.G., J.W. Choi, E.S. Yun, J.H. Yoon, and Y.H. Kim.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4:326-332. 

  14. Kaasalainen, M. and M. Yli-Halla. 2003. Use of sequential extraction to assess metal partitioning in soils. Environ. Pollut. 126:225-233. 

  15. Kim, S.S. 2005. Heavy metal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mediation around abandoned min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Ph. D.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16. Kim, T.H. 2010. Efficiency of chemical remediation technology and stabilization mechanism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17. Kumpiene, J., A. Lagerkvist, and C. Maurice. 2008.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ndments - A review. Waste Management 28:215-225. 

  18. Kuo, S. and A.S. Baker. 1980. Sorption of copper, zinc and cadmium by some acid soils. Soil Sci. Soc. Am. J. 44:969-974. 

  19. Lee, E.G. 2007. A study on the in-situ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s around the abandoned mine area. Master Thesis. Kwangwoon University, Korea. 

  20. Lee, J.W. 2007. Study on the management of abandoned metal mines after restoration. Master Thesis. Kwangwoon University, Korea. 

  21. Lee, M.H. and J.H. Jeon. 2010. Study for stabilization of arsenic in the farmland soil by using steel making slag and limestone. Econ. Eviron. Geol. 43:305-314. 

  22. Lee, S.H., E.Y. Kim, H. Park, J.H. Yun, and J.G. Kim. 2011. In situ stabilization of arsenic and metal-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 using industrial by-products. Geoderma 161:1-7. 

  23. Lee, T.M., H.Y. Lai, and Z.S. Chen. 2004. Effect of chemical amendments on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and lead in long-term contaminated soils. Chemosphere 57:1459-1471. 

  24. Lim, J.E., K.R. Kim, S.S. Lee, O.K. Kwon, J.E. Yang, and Y.S. Ok. 2010. Stabilization of As (arsenic (V) or roxarsone) contaminated soils using zerovalent iron and basic oxygen furnace sla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631-638. 

  25. McLean, J.E. and B.E. Bledsoe. 1992. Behavior of metals in soils, ground water issue. EPA/540/S-92/018. U.S. EPA.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0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09a. Standard methods of soil sampling and analysi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09b. Standard methods of water sampling and analysi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0a.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Korea.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10b.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Korea. 

  31. Narwal, R.P., B.R. Singh, and B. Salbu. 1999. Association of cadmium, zinc, copper, and nickel with components in naturally heavy metal-rich soils studied by parallel and sequential extractions. Commun. Soil Sci. Plant Anal. 30:1209-1230. 

  32.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33. Park, D.H., Y.C. Cho, and S.I. Choi. 2010. The laboratory column examination of stabilization for agricultural land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using sequential stabilization. Soil & Groundwater Env. 15:39-45. 

  34. Pueyo, M., J. Sastre, E. Hernandez, M. Vidal, J.F. Lopez-Sanchez, and G. Rauret. 2003. Prediction of trace element mobility in contaminated soils by sequential extraction. J. Environ. Qual. 32:2054-2066. 

  35. Ramos, L., L.M. Hernandez, and M.J. Gonzalez. 1994. Sequential fraction of copper, lead, cadmium and zinc in soils from near Donana National Park. J. Environ. Qual. 23:50-57. 

  36. Son, J.H. and H. Roh., S.Y. Lee, S.K. Kim, G.H. Kim, J.K. Park, J.K. Yang, and Y.Y. Chang. 2009. Sta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paddy soils near abandoned mine with steel slag and Cao. J. Soil & Groundwater Env. 14:78-86. 

  37. Tu, S. and L.Q. Ma. 2003. Interactive effects of pH, arsenic and phosphorus on uptake of As and P and growth of the arsenic hyperaccumulator Pteris vittata L. under hydroponic condition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50:243-251. 

  38. Ullrich, S.M., M.H. Ramsey, and E. Helios-Rybicka. 2003. Total and exchangeable of heavy metals in soils near Bytom, an area of Pb/Zn mining and smelting in upper Silesia, Poland. Applied Geochemistry 14:187-196. 

  39. Ure, A.M., P.H. Quevauviller, H. Muntau, and B. Griepink. 1993. An account of the improvement and harmonization of extraction techniques undertaken under the auspices of the BCR of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J. Environ. Anal. Chem. 51:135-145. 

  40. Wenzel, W.W., N. Kirchbaumer, T. Prohaska, G. Stingeder, E. Lombi, and D.D. Adriano.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ca Acta. 436:309-323. 

  41. 한국농촌공사. 2008. 토양오염과 농작물오염의 상관관계 연구 보고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