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리 연구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1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208 - 219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기경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최진우 ((주)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에코플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 주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를 규명하고 17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내 속리산관리사무소$\sim$법주사지구의 $3.6km^2$이다. 현존식생 조사결과 전체면적 360ha중 소나무 우점림은 64.7%이었고 소나무-낙엽활엽수 혼효림이 3.2%로 주로 계곡 사면과 능선에 걸쳐 소나무림이 분포하고 있었고 계곡 토지이용지 주변은 소나무와 낙엽활엽수가 혼효된 지역이 산재하였다. 조사구별 평균 상대우점치에 의한 우점종의 구성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천이잠재성이 낮은 소나무군집, 천이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 천이진행중인 소나무군집, 도태중인 소나무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17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결과 소나무군집의 천이경향은 천이잠재성이 낮은 소나무군집(소나무 순림)$\rightarrow$천이 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아교목층에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소나무림)$\rightarrow$천이진행 중인 소나무군집(소나무-산벚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rightarrow$도태중인 소나무군집(졸참나무-소나무군집, 갈참나무-소나무군집)$\rightarrow$낙엽활엽수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나무림 식생관리 방안으로 천이잠재성이 높은 소나무군집은 아교목층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천이진행중인 소나무군집은 교목층 낙엽활엽수 가치치기 정도의 소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도태되는 소나무군집은 소나무림이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낙엽활엽수림으로 자연적인 천이가 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nagement method for conserva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vegetation structur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ound Beopjusa area for past 17-year.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was $3.6km^2$ from maintenance office to Beopjusa area. The analysis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의 절경 중 하나인 법주사 주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를 규명하고 17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법주사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376-496 

  3. Han, B.H., W. Cho, S.D. Lee(2001)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haksa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4): 238-251 

  4. Jo, J.C.(1987)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nature park: case study ofhongru dong ravine, mt. gaya national park.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56pp 

  5. Lee, B.H.(1973) Yanghwasolok. Ulyou press. 193pp 

  6. Lee, C.S., J.H. Kil, Y.H. You(1998)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Histology, Water Status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Korean J.EcoI 21(2): 117-124 

  7. Lee, K.J., B .H. Han, O.K Lee( 1996)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Distan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8. Lee, K.J., K.B. Yim, J.C. Jo, C.H. Ryu(199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 I)-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4(1): 23-32 

  9. Lee, K.J., W. Cho, B.H. Han(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 (2): 115-125 

  10. Lee, K.J., J.W. Choi, W.K. Choi, B.H. Han(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1989 -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188-199 

  11. Lee, K.J., K.K Oh, C.H. Ryu(1990) Management Proposal of Sokli Mountai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4(1): 89-108 

  12. Lee, K.J., J.S. Kim, J.W. Choi,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mnent and Ecology 22(2): 173-183 

  13. Lee. K.W.(2008) A Study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intenance Method of Beopjusa Forest.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Hankyong, 81pp 

  14. Lee, W.T., C.H. Lee(1989)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Korean J. EcoI 12(4): 257-284 

  15. Ministry of Construction(1985) Songnisan national park planning. Ministry of Construction, 341 pp 

  16.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17. Oh, K.K., T.H. Kwon, J.Y. Lee(1990)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Mt. Sokri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4(1): 44-50 

  18. Oh, K.K., K.J. Lee, K.B. Yim(1998)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Jour. Korean For. Soc 77(1): 1-9 

  19. Song, H.K., S.D. Kim, K.K. Jang(1995)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un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 PAN and DCCA. Jour. Korean For. Soc 84(2): 266-274 

  20. Yim, K.B., I.H. Park, K.J. Lee(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 Korean For. Soc 50: 56-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