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 분포현황 및 천이 연구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1, 2011년, pp.37 - 46  

김현숙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상명 (국립중앙과학관)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을 상관조사와 현지식생조사를 토대로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은 4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산림 식생 중에서 신갈나무림이 39.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들메나무림의 순으로 차지하여 덕유산국립공원은 타 국립공원의 산림과 비교할 때 들메나무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식생을 환경구배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활엽수림(참나무류림, 계곡림), 침엽수림(소나무림), 아고산림(주목림, 구상나무림, 철쭉관목림, 초원) 등 7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고 졸참나무, 서어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 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주목은 어린개체와 큰개체의 밀도는 낮고 중간개체의 밀도가 높은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the actual vegetation map by researchig current vegetation and on-sit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Current veget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42 types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39.08% out of the total forest vegetatio...

주제어

참고문헌 (25)

  1. Ahn, Y.H., Y.T. Jung and S.G. Lee(2004) Phytosocia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the ridge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8(2): 191-196. 

  2. Choung, H.L. and S.K. Hong(2006) Distribution patterns floristic differentiation and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 Korea: A perspective at nation-wide scale. phytocoenologia 36(2): 213-229. 

  3.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 32: 476-496. 

  4.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631pp. 

  5. Dierssen, K.(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6. Kim, C.H. and B.S. Kil(1997)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Kor. J. Ecol. 20(2): 125-132. 

  7. Kim, C.H., S.H. Kang and B.S. Kil(1991) The vegetation of Mt. Choksang. Kor. J. Ecol. 14(2): 137-148. 

  8. Kim, G.T., H.S. Kim, G.C. Choo and T.W. Um(1994)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164-171. 

  9.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2009a)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 J. Env. Eco. 23(5): 471-484. 

  10. Kim, H.S., S.M. Lee and H.K. Song(2009b)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nseong district-. Kor. J. Env. Res. Tech. 12(6): 1-17. 

  11. Kimmins, J.P.(1987) Forest Ecology. Macmillan, 531pp.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1971-2000) Meteorological an annu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3. Lee, I.K., K.J. Kim, J.M. Cho, D.W. Lee, D.S. Cho and J.S. Yoo(1994) Biodiversity Korea to 2000. Minumsa, 405pp. 

  14. Lee, K.J., J.C. Jo and C.H. Ryu(1990)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 J. Bot. 33(3): 73-182. 

  15.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135-154. 

  16.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0pp. 

  17.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 Pl. Taxon. 8, Supplement: 1-33. 

  18.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547pp. 

  19. Oh, K.K.(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Choksangsansong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172-180. 

  20. Park, I.H., G.S. Moon and Y.C. Choi(1994)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Tokyusan area. App. Eco. Res. 7(2): 181-186. 

  21. Song, H.K., K.K. Jang and D.H. Oh(1998)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62-468. 

  22. Yim, K.B., Y.S. Kim, S.H. Chun and J.I. Jeon(1994) Floristic study on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91-103. 

  23. Yim, Y.J. and J.U. Kim(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200pp. 

  24. Yim, Y.J. and T. Kira(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 aridity. Jap. J. Ecol. 26: 157-164. 

  25. Yee, S.(1998) Waldvegetation und Standorte im Odaesan-National Park(Sudkorea). Culterra 25, 18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