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국소 진행된 식도암으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고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병리학적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 된 65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 중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의 병기는 IIa 8명(28.8%), IIb 10명 (35.7%), III 10명(35.7%)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 또는 10 MV X-선으로 45~63 Gy (중앙값: 59.4 Gy)를 분할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시작과 동시에 Cisplatin 75 mg/$m^2$을 제1일에 정주하였고, 5-FU는 1,000mg/$m^2$을 제1일에서 제4일까지 4일간 지속적 정주하여 방사선치료 동안은 3주 간격으로 2회 시행하였고, 방사선치료 후 2회의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추적관찰기간은 3~72개월(중앙값: 19개월)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치료 반응은 완전관해가39.3% (11명), 부분반응은 50.0% (14명), 무반응이 10.7% (3명)로 치료 반응률은 89.3% (25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1, 2, 3년 생존율은 각각 55.9%, 34.6%, 24.2%이었고 중앙 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다. 완전관해, 부분반응, 무반응의 종양 반응을 보인 환자들의 2년 생존율은 각각 46.2%, 33.%, 0%이었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로서 병기와 방사선치료 후 종양 반응이 유의하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고령의 국소 진행된 식도암환자에 대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비교적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effect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as analyzed in elderly patients when used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ed 28 elderly patients aged 65 or older,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squamous cell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와 반면 Ruol 등25)은 나이와 관계없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고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반응율이 떨어진 환자에서 구제 절제술을 시행하지 않고 지속 관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의 국소 진행된 식도암환자에서 5-FU와 cisplatin을 이용하여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의 종양환자 치료 현황은? 고령의 종양환자 치료는 아직은 도전해야할 영역이다.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2008년 65세이상의 인구구성비가 10%이상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향후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고령의 종양환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의 종양환자 수는 어떻게 될 것인가? 고령의 종양환자 치료는 아직은 도전해야할 영역이다.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2008년 65세이상의 인구구성비가 10%이상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향후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고령의 종양환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도암의 특징은? 식도암은 위장관 암 중 3번째로 흔한 종양이다. 예후가 매우 불량하여 수술이나 방사선 단독 치료 시 중앙생존기간이 12개월 미만, 5년 생존율이 10% 미만으로 알려져 있 다.1∼4) 식도암의 치료로 초기 병기는 근치적 수술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국소적으로 진행이 되어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하고 수술을 하더라도 중등도 이상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chattenkerk ME, Obertop H, Mud HJ, Eijkenboom WM, van Andel JG, van Houten H. Survival after resection for carcinoma of the oesophagus. Br J Surg 1987;74:165-168 

  2. Teniere P, Hay JM, Fingerhut A, Fagniez PL.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does not increase survival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iddle and lower esophagus as shown by a multicenter controlled trial. French University Association for Surgical Research. Surg Gynecol Obstet 1991;173:123-130 

  3. Petrovich Z, Langholz B, Formenti S, Luxton G, Astrahan M. Management of carcinoma of the esophagus: the role of radiotherapy. Am J Clin Oncol 1991;14:80-86 

  4. Sun DR. Ten-year follow-up of esophageal cancer treated by radical radiation therapy: analysis of 869 patien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9;16:329-334 

  5. Hennequin C, Maylin C. Continuous radiosensitizing chemotherapy. Pathol Biol 1999;47:279-281 

  6. Cmelak AJ, Murphy BA, Day T. Combined-modality therapy for locoregion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Oncology 1999;13:83-91 

  7. Pisch J, Berson AM, Malamud S, Beattie EJ, Harvey J, Vikram B. Chemoradiation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3:183-188 

  8. Rich T. Chemoradiation in conserv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01;15:291-302 

  9. James K, Eisenhauer E, Christian M, et al. Measuring response in solid tumors: unidimensional versus bidimensional measurement. J Natl Cancer Inst 1999;91:523-528 

  10. Cox J, Stetz J, Pajak T. Toxicity criteria of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1:1341?1346 

  11. Kaplan E, Meier P. Non-parametric estimation from incomplete observations. J Am Stat Assoc 1958;53:457?481 

  12. Kleinberg L, Forastiere AA. Chemoradiation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J Clin Oncol 2007;25:4110-4117 

  13. Kelsen DP. Multimodality therapy of local regional esophageal cancer. Semin Oncol 2005;32:6-10 

  14. van Lanschot JJ, Aleman BM, Richel DJ. Esophageal carcinoma: surger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Curr Opin Gastroenterol 2002;18:490-495 

  15. Nam TK, Nah BS, Chung WK, Ahn SJ, Song JY. Results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 esophageal carcinoma - retrospective analysis with respect to survival.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4;22:25-32 

  16. Noh OK, Je HU, Kim SB, et al. Results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8;26:195-203 

  17. Minsky BD, Neuberg D, Kelsen DP, et al. Final report of Intergroup Trial 0122 (ECOG PE-289, RTOG 90-12): phase II trial of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concurrent chemotherapy and high-dose radiation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9;43:517?523 

  18. Coia LR, Minsky BD, Berkey BA, et al. Outcome of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for cancer of the esophagus: results of the 1992?1994 patterns of care study. J Clin Oncol 2000;18: 455?462 

  19. Stahl M, Stuschke M, Lehmann N, et al. Chemoradiation with and without surger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J Clin Oncol 2005;23:2310?2317 

  20. Bedenne L, Michel P, Bouche O, et al. Chemoradiation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chemoradiation alone in squamous cancer of the esophagus: FFCD 9102. J Clin Oncol 2007;25:1160?1168 

  21. Anderson SE, Minsky BD, Bains M, Hummer A, Kelsen D, Ilson DH. Combined modality chemoradiation in elderly oesophageal cancer patients. Br J Cancer 2007;96:1823?1827 

  22. Takeuchi S, Ohtsu A, Doi T, et al. A retrospective study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elderly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m J Clin Oncol 2007;30:607?611 

  23. Law S, Wong KH, Kwok KF, Chu KM, Wong J. Predictive factors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nd mortality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Ann Surg 2004;240:791?800 

  24. Moskovitz AH, Rizk NP, Venkatraman E, et al. Mortality increases for octogenarians undergoing esophagogastrectomy for esophageal cancer. Ann Thorac Surg 2006;82:2031?2036 

  25. Ruol A, Portale G, Castoro C, et al.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in patients aged over 80 years. Eur J Cardiothorac Surg 2007;32:445?448 

  26. Tougeron D, Di Fiore F, Hamidou H, Rigal O, Paillot B, Michel P. Response to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n oesophageal adenocarcinoma vs squamous cell carcinoma: a matchedpair analysis. Oncology 2008;73:328?334 

  27. Burtin P, Bouche O, Giovannini M, et al. Endoscopic ultrasonography is a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prognosis in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FCD 9102 study from the Federation Francophone de Cancerologie Digestive. Gastroenterol Clin Biol 2008;32:213?220 

  28. Popescu RA, Norman A, Ross PJ, Parikh B, Cunningham D. Adjuvant or palliative chemo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in patients 70 years or older. J Clin Oncol 1999;17:2412?2418 

  29. Trumper M, Ross PJ, Cunningham D,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chemotherapy in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oesophagogastric cancer: a pooled analysis of three clinical trials. Eur J Cancer 2006;42:827?834 

  30. Pasetto LM, Friso ML, Pucciarelli S, et al. Rectal cancer neoadjuvant treatment in elderly patients. Anticancer Res 2006; 26:3913?3923 

  31. Semrau S, Bier A, Thierbach U, et al. 6-year experience of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with vinorelbine plus a platinum compound in multimorbid or aged patients with inoper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Strahlenther Onkol 2007;183:30?35 

  32. Polee MB, Hop WCJ, Kok TC,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o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cisplatin-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Br J Cancer 2003;89:2045?20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