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hthalates (DMP, DEP, DBP, DEHA, BBP, DEHP, and DNOP) and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cadmium (Cd), and mercury (Hg) in cosmetics and their containers. Phthalates and heavy metals may be endocrine distruptors. Sixty-five cosmetics were purch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화장품 안전기준 등의 관한 규정」 에 기준 규격으로 설정된 프탈레이트류(Dibutyl phthalate, Benzyl butyl phthalate, Bis(2-ethythexyl) phthalate) 와기준규격 미설정 프탈레이트류(Dimethyl phthalate, Diethyl phthalate, Di-n-octyl phthalate, Bis(2-ethythexyl) adipate)의 7종 프탈레이트를 동시 분리하기 위하여 GC-FID를 이용하여 검체 도입부, 컬럼 등의 적절한 온도 조건을 탐색하였다(Table 1).기존 규정에 따른 분석조건은 150 oC에서 2분 동안 유지한 다음 260oC까지 매분 10 oC씩 상승시킨 다음 15분 동안이 온도를 유지한다는 조건이었다.
  • 유통화장품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탐색 및 검출실태를 확인하여 화장품 관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분비계 장애물 질의 수많은 종류 중에 프탈레이트류 7종과 중금속 3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프탈레이트 7종의 경우는 신속한 동시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 화장품 내 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해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및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photometer(ICP-OES), Mercury analyzer 분석 장비를 사용하여 정성 정량조건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부산시 관내에 유통되고 있는 화장품을 대상으로 내분비계 장애물 질의함유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유통 전후 화장품의 품질관리에 활용하고, 관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 K. Kim, Contents character of phthalates in school supplie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5(1), 69-75 (2012). 

  2. K. Becker, M. Seiwert, J. Anerer, W. Heger, H. M. Koch, R. Nagorka, E. Rokamp, C. Schluter, B. Seifert and D. Ullrich, International J. of Hygiene and Environ. Health, 207(5), 409-417 (2004). 

  3. W. H. Park, Y. K. Kim, H. J. Jeong, B. C. Choe, K. A. Park, J. K. Lee, I. S. Yu and N. J. Chough,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43, 174-182 (2007). 

  4. S. R. Choi, Endocrine disruptors of heavy metals and Food,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0(4), 3-10 (2007). 

  5. F. Mendes and J. Amaral, The endocrine disruptors: a major medical challenge. Food Chem Toxical, 40(6), 781-788 (2002). 

  6. M. K. Kim, H. J. Jung and I. S. Chang, Simple Method in Trace Analysis of Phthalates in Cosmetics : Analytical Conditions and Skills for Better Resul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1), 51-55 (2008).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2014-199 (2014. 12. 23.), Republic of Korea.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2014-27 (2014. 2. 13.), Republic of Korea. 

  9. H. A. Cha, S. H. Kang, S. B. Choe, H. K. Kim and S. T. Kang,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of Mushrooms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Korean J Food Sci Technol, 46(3), 283-287 (2014). 

  10. J. S. Kim, S. W. Hwang, J. M. Kim and J. Y. Ma, Monitoring Research for Heavy Metals as Endocrine Disruptors in Herbal Medicines and Ssangwha-Tang, Korean Journal of Orental Medicine, 6(1), 117-122 (2000). 

  11. Y. S. Kim, H. J. Jeong, I. S. Chang, Heavy Metals and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8(1), 15-30 (2002). 

  12. H. J. Koo and B. M. Lee, Estimated exposue to phthalates in cosmetics and risk assessment,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67, 1901-1014 (2004). 

  13. J. C. Hubinger and D. C. Havery, Analysis of consumer cosmetic products for phthalate esters,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7(2), 127-137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