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식도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46명 중 근치적 목적으로 45Gy이상의 방사선치료와 함께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며 생존확인이 가능하였던 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AJCC 병기 IIA~IVB까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IVB는 상부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쇄골상부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하부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복강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만을 포함시켰다. 방사선치료는 중앙값 54 Gy를 조사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은 대부분의 환자(88%)에서 5-FU와 cisplatin (FP) 병합요법으로 시행되었다. 추적관찰기간은 2~117개월(중앙값 14개월)이었다. 결 과: 흉부단층촬영이나 식도내시경을 통해 치료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던 54명의 환자중 완전관해가 17명, 부분관해가 18명이었다.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 재발할 때까지의 기간은 중앙값 20개월이었고 첫 재발부위로 국소재발이 3명, 원격전이가 7명이었다. 1년, 2년, 5년 전체 생존률은 각각 58.9%, 21.7%, 12.2%이었고 중앙 생존기간은 14개월이었다. 전체 생존률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과 FP병합요법의 횟수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환자의 숫자가 적었으나 방사선감작제로 일단위 혹은 주단위의 cisplatin이 FP 병합요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원격장기로의 전이가 없는 국소진행성 식도암 환자에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단위 혹은 주단위의 cisplatin이 전신상태가 FP 병합요법에 적절하지 않은 환자에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outcome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forty six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that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between January 199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9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식도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246명의 환자중 근치적 목적으로 45 Gy 이상의 선량으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생존확인이 가능하였던 78명의 국소 진행성(AJCC 병기(2002) IIA∼IVB)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 5-FU와 cisplatin 병합항암화학요법(FP 병합요법)이 69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는데 매 4주 간격으로 시행하였고 첫번째와 두번째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진행되었다. FP 병합요법의 원칙은 총 4 cycle이었으나 16명(23%)의 환자가 3 cycle 미만으로 시행받았다.
  • 75명의 환자에서 일회 1.8∼2.0 Gy로 총 45.0∼64.4 Gy (중앙값 54.0 Gy)를 조사하였고 3명의 환자에서 일회 1.5 Gy씩 하루 두 번 치료하였다.
  • 병기 IVB 환자는 5명이었는데 경부 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쇄골상부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하흉부 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복강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만을 포함시켰다. 병변의 위치, 길이, 주변조직의 침범 및 림프절 전이는 흉부단층촬영소견 및 식도내시경으로 결정하였고 15명의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초음파내시경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소 진행된 식도암에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생존률 및 예후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 식도암의 특성상 아무리 광범위한 부위를 치료한다고 해도 다발성으로 미세병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완전관해 판정을 내리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후 식도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23명에서 시행하였는데 이중 10명의 환자에서 조직생검과 전산화단층 촬영 소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는 부분관해 양상이었으나 조직생검에서 병변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가 9명이었고, 반대로 1명은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는 완전관해로 생각되었으나 조직생검상 병변이 남아있었다.
  • 생존기간은 방사선치료가 시작된 날부터 환자가 사망할 때까지로 계산하였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 판정은 RTOG(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분류에 의해 등급 0∼4로 구분하였다.
  • 방사선치료는 6/15 MV 선형가속기(CLINAC 2000C/D, Varian) 또는 6/10 MV 선형가속기(21EX, Varian)을 사용하였다. 영상학적 검사에서 보이는 병변의 상하로 5 cm, 전후, 좌우로 1 cm의 변연 및 주변종격동림프절을 표적체적으로 하였다. 또한 경부 혹은 상흉부 식도암이거나 쇄골상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양측 쇄골상와를 포함시켰고, 원발병소가 하부 식도에 있거나 복강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복강동맥 주위까지 포함시켰다.
  • 치료효과의 판정은 식도조영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식도내시경 및 조직생검 등에 근거하여 판단하였다. 측정은 식도내시경의 조직검사 소견을 우선으로 하였고 조직검사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소견을 이용하였다. 치료반응은 WHO 기준에 따라 완전관해는 병변이 모두 소실된 경우, 부분관해는 측정 가능한 병변이 50% 이상 감소한 경우, 안정성 병변은 측정 가능한 병변이 50% 이하 감소하거나 병변이 25% 이하로 증가한 경우, 진행성 병변은 측정 가능한 병변이 25% 이상 증가하였거나 새로운 병변이 나타났을 때로 정의하였다.
  • 총 78명의 환자중 54명의 환자가 추적관찰기간동안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중 23명의 환자들이 식도 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를 시행받았다. 치료효과의 판정은 식도조영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식도내시경 및 조직생검 등에 근거하여 판단하였다. 측정은 식도내시경의 조직검사 소견을 우선으로 하였고 조직검사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소견을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4 cycle후 병변이 남아있는 경우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는데 24명의 환자가 5 cycle 이상을 시행받았다. 7명의 환자가 방사선치료동안 방사선감작제로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는데 5명은 일단 위 cisplatin, 2명은 주단위 cisplatin으로 치료받았다. 일단위 혹은 주단위 cisplatin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중에서 방사선 치료 종료후 추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는 없었다.
  • 환자들의 중앙연령은 65세이고 남자 71명, 여자 7명이었다. AJCC 병기에 따라 II, III, IV는 각각 15, 39, 20명이었고 정확한 병기를 알 수 없는 환자가 4명이었다. ECOG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척도로 전신 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ECOG 0∼1인 환자가 69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방사선치료는 6/15 MV 선형가속기(CLINAC 2000C/D, Varian) 또는 6/10 MV 선형가속기(21EX, Varian)을 사용하였다. 영상학적 검사에서 보이는 병변의 상하로 5 cm, 전후, 좌우로 1 cm의 변연 및 주변종격동림프절을 표적체적으로 하였다.
  • 199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식도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246명의 환자중 근치적 목적으로 45 Gy 이상의 선량으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생존확인이 가능하였던 78명의 국소 진행성(AJCC 병기(2002) IIA∼IVB)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 IVB 환자는 5명이었는데 경부 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쇄골상부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하흉부 식도암이 아닌 환자에서 복강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만을 포함시켰다. 병변의 위치, 길이, 주변조직의 침범 및 림프절 전이는 흉부단층촬영소견 및 식도내시경으로 결정하였고 15명의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초음파내시경이 시행되었다.
  • 비혈액학적 독성으로 등급 2, 3의 급성 식도염이 각각 9명, 1명이었다(Table 5). 스테로이드 복용이 필요하였던 등급 3의 급성 방사선 폐렴 환자가 3명이었다. 치료후 6개월 이후에 1회 이상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던 39명중 등급 1∼2의 만성 폐독성(방사선 폐렴 혹은 폐섬유화)이 11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등급 3 이상의 폐독성은 없었다.
  • 급성 방사선 폐렴이 등급 2의 폐섬유화로 진행한 1명만이 증상을 동반하였고 나머지 10명의 환자는 증상없이 영상학적 변화만을 보였다. 식도협착이 발생하여 풍선확장술이나 식도내 삽관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18명이었고, 1명의 환자가 식도 기관지루에 의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 FP 병합요법의 원칙은 총 4 cycle이었으나 16명(23%)의 환자가 3 cycle 미만으로 시행받았다. 총 4 cycles 이상 받은 환자는 48명이었다. 4 cycle후 병변이 남아있는 경우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는데 24명의 환자가 5 cycle 이상을 시행받았다.
  • 총 78명의 환자중 54명의 환자가 추적관찰기간동안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중 23명의 환자들이 식도 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를 시행받았다. 치료효과의 판정은 식도조영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식도내시경 및 조직생검 등에 근거하여 판단하였다.
  • 환자들의 중앙연령은 65세이고 남자 71명, 여자 7명이었다. AJCC 병기에 따라 II, III, IV는 각각 15, 39, 20명이었고 정확한 병기를 알 수 없는 환자가 4명이었다.

데이터처리

  • 0을 이용하였다. 생존률은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하여 중앙 생존기간을 구하였고,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Log-Rank법으로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모든 통계는 0.

이론/모형

  • 치료에 따른 부작용 판정은 RTOG(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분류에 의해 등급 0∼4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추적관찰기간은 2~117개월(중앙값 14개월)이었다. 결 과: 흉부단층촬영이나 식도내시경을 통해 치료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던 54명의 환자중 완전관해가 17명, 부분관해가 18명이었다.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 재발할 때까지의 기간은 중앙값 20개월이었고 첫 재발부위로 국소재발이 3명, 원격전이가 7명이었다. 1년, 2년, 5년 전체 생존률은 각각 58.9%, 21.7%, 12.2%이었고 중앙 생존기간은 14개월이었다. 전체 생존률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과 FP병합요법의 횟수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환자의 숫자가 적었으나 방사선감작제로 일단위 혹은 주단위의 cisplatin이 FP 병합요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원격장기로의 전이가 없는 국소진행성 식도암 환자에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식도암의 특징은? 식도암은 장막이 없고 풍부한 림프절 구조로 인해 진단 시에 이미 원격전이까지 진행된 경우가 많고 초기에 식도 주위로 침윤하여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적 절제가 가장 많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소 진행된 식도암의 40% 이상이 진단 당시 이미 전이에 의해 수술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한 국소제어율을 보이고 있다.
식도암에서 완전관해 판정을 내리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닌 이유는? 식도암의 특성상 아무리 광범위한 부위를 치료한다고 해도 다발성으로 미세병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완전관해 판정을 내리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후 식도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23명에서 시행하였는데 이중 10명의 환자에서 조직생검과 전산화단층 촬영 소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emal A, Siegel R, Ward E, Murray T, Xu J, Thun MJ.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2007;57:43-66 

  2. Kelsen DP, Ginsberg R, Pajak TF, et al.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surgery alone for localized esophageal cancer. N Engl J Med 1998;339:1979-1984 

  3. Burmeister BH, Smithers BM, Gebski V, et al. Surgery alone versus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for resectable cancer of the oesophagus: a randomised controlled phase III trial. Lancet Oncol 2005;6:659-668 

  4. Cooper JS, Guo MD, Herskovic A, et al. Chemoradiotherapy of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long-term followup of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RTOG 85-01).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JAMA 1999;281:1623-1627 

  5. Minsky BD, Pajak TF, Ginsberg RJ, et al. INT 0123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94-05) phase III trial of combined-modality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high-dose versus standard-dose radiation therapy. J Clin Oncol 2002;20:1167-1174 

  6. Smith TJ, Ryan LM, Douglass HO Jr, et al. Combined chemoradiotherapy vs. radiotherapy alone for early stag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a study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 42:269-276 

  7. Miller AB, Hoogstraten B, Staquet M, Winkler A. Reporting results of cancer treatment. Cancer 1981;47:207-214 

  8. Cox JD, Stetz J, Pajak TF. Toxicity criteria of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1:1341-1346 

  9. Herskovic A, Martz K, al-Sarraf M, et al.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N Engl J Med 1992; 326:1593-1598 

  10. Rich TA, Ajani JA. High dos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concomitant chemotherapy for esophageal carcinoma. Ann Oncol 1994;5(Suppl. 3):9-15 

  11. Vermund H, Pories WJ, Hillard J, Wiley AL, Youngblood 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esophageal cancer. Acta Oncol 2001;40:558-565 

  12. Rich TA, Ajani JA, Morrison WH, Ota D, Levin B. Chemoradiation therapy for anal cancer: radiation plus continuous infusion of 5-fluorouracil with or without cisplatin. Radiother Oncol 1993;27:209-215 

  13. Schaake-Koning C, Maat B, van Houtte P, et al. Radiotherapy combined with low-dose cis-diammine dichloroplatinum (II) (CDDP) in inoperable non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 randomized three arm phase II study of the EORTC Lung Cancer and Radiotherapy Cooperative Group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0;19:967-972 

  14. Schaake-Koning C, van den Bogaert W, Dalesio O, et al. Effects of concomitant cisplatin and radiotherapy on inoper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N Engl J Med 1992;326:524-530 

  15. Sasamoto R, Sakai K, Inakoshi H, et al. Long-term results of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using daily low-dose 5-fluorouracil and cis-diammine-dichloroplatinum (CDDP). Int J Clin Oncol 2007;12:25-30 

  16. Hsu CH, Yeh KH, Lui LT, et 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a pilot study by using daily low-dose cisplatin and continuous infusion of 5-fluorouracil. Anticancer Res 1999;19:4463-4467 

  17. Stahl M, Stuschke M, Lehmann N, et al. Chemoradiation with and without surger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J Clin Oncol 2005;23: 2310-2317 

  18. Sur RK, Singh DP, Sharma SC, et al. Radiation therapy of esophageal cancer: role of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2;22:1043-1046 

  19. Vuong T, Szego P, David M, et al.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high-dose-rate endoluminal brachytherapy as a boost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with external beam radiation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5;63:758-764 

  20. Gaspar LE, Qian C, Kocha WI, Coia LR, Herskovic A, Graham M. A phase I/II study of external beam radiation, brachy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in localized cancer of the esophagus (RTOG 92-07): preliminary toxicity repor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7;37:593-599 

  21. Gaspar LE, Winter K, Kocha WI, Coia LR, Herskovic A, Graham M. A phase I/II study of external beam radiation, brachy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localized carcinoma of the esophagus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Study 9207): final report. Cancer 2000;88:988-995 

  22. Noh OK, Kim SB, Lee GH, et al. Results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8;22:25-32 

  23. Liao Z, Zhang Z, Jin J, et al. Esophagectomy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mproves locoregional control in clinical stage II or III esophageal cancer patien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4;60:1484-1493 

  24. Bedenne L, Michel P, Bouche O, et al. Chemoradiation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chemoradiation alone in squamous cancer of the esophagus: FFCD 9102. J Clin Oncol 2007;25:1160-1168 

  25. Hennequin C, Gayet B, Sauvanet A, et al. Impact on survival of surgery after concomita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cancers of the esophag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1;49:657-664 

  26. Wang HW, Kuo KT, Wu YC, et al. Surgical results of uppe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J Chin Med Assoc 2004; 67:447-457 

  27. Bates BA, Detterbeck FC, Bernard SA, Qaqish BF, Tepper JE.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followed by esophagectomy for localized esophageal carcinoma. J Clin Oncol 1996;14:156-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