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추출물과 테아닌 복합물의 신경전달물질 조절을 통한 항스트레스 효과
Combination of Green Tea Extract and L-Theanine Alleviates Electric Foot Shock Induced Stress by Modulating Neurotransmitters in Mice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3 no.5, 2009년, pp.241 - 249  

박상기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태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원경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형국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홍진태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neurotransmitters are involved in regulating stress syst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bination relieving effect of green tea extract(GTE) and L-theanine on the stress induced by electric foot shock. Four week oral administration of GTE (24 mg/kg), L-theanine (4 mg/kg) or thei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극을 통하여 실험동물에게 스트레스를 가한 후, 녹차 추출물과 테아닌을 복합 경구투여하였을 때실험동물의 혈액 및 뇌조직으로부터 스트레스 관련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dopamine, noradrenaline, serotonin, corticosterone)이증가 또는 감소는지 여부, 특히 두 물질의 복합 투여 시에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건강기능식품소재로서의 발굴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증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불안증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는 생체내 신경전달물질 및호르몬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외부 자극 및 스트레스에 대해 체내에서는 시상하부에서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의 분비를 관장 하는데, 시상하부에서 중추신경계로의 신호전달을 통하여 각 신 경말단에서 dopamine 및 noradrenaline, serotonin 과 같은 신경 전달물질의 유리를 조절함으써 감정상태, 심박동수, 혈압 및 골격근의 혈류 증가 등과 같은 생리활성을 조절하게 된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역할은? 뇌하수체의 CRF 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수용체에 이 호르몬이 결합하게 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을 분비한다. ACTH는 혈액및 림프절을 통해 부신에 도착하게 되어 피질에서 corticosterone 과 같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수질에서 catecholamine 류의 신경전달물질을 혈액으로 방출하여, 심박동수, 혈압 및 에너지 대사 등의 조절에 관여하게 되며, negative feedback regulation 을통하여 이들 인자들의 분비를 조절한다. 1,2)
테아닌의 효능은?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의 부작용을 보완할수 있는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스트레스 조절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3,4) dopamine과 serotonin이 주요 조절 물질로서 호르몬으 로서 연구되고 있다. 테아닌은 녹차의 주요 아미노산중의 하나로서 이전의 연구에서 뇌 알파파를 증가시켜 진정효과를 보이며, dopamine과 serotonin의 조절기능이 있음을 보였으며, 5) 녹차추 출물 함유 음료섭취 시 뇌파의 변화 및 그에 따른 불안증 개선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바 있다. 6) 그러나 위의 연구들은 투여경로 등이 식품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으며 두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의 효능 및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rney, D. S. : Neuroanatomical circuits moculating fear and anxiety behaviors. Acta. Psychiatr. Scand. Suppl. 417, 38 (2003) 

  2. Millan, M. J. : The neurobiology and control of anxious states. Prog. Neurobiol. 70, 83 (2003) 

  3. Sugimoto, Y., Furutani, S., Itoh, A., Nakajima, H., Oshiro, H., Sun, S. and Yamada, J. : Effects of extracts and neferine from the embryo of Nelumbo nucifera seed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Phytomedicin. 15, 1117 (2008) 

  4. Arago, G. F., Carneiro, L. M., Junior, A. P., Vieira, L. C., Bandeira, P. N., Lemos, T. L. and Viana, G. S. : A possible mechanism for anxiolytic and antidepressant effects of alphaand beta-amyrin from Protium heptaphyllum (Aubl.) March. Pharmacol. Biochem. Behav. 85, 827 (2006) 

  5. L-theanine : monograph, Alter Med Rev. 10, 136 (2005) 

  6. 윤상원 : Sun- $\alpha$ 가 함유된 음료수가 뇌파출현 및 암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정신과학회지 1, 109 (1997) 

  7. Kalivas, P. W. and Duffy, P. : Selective activation of dopamine transmission in the shell of the nucleus accumbens by stress. Brain Res. 675, 325 (1995) 

  8. Tidey, J. W. and Miczek, K. A. : Social defeat stress selectively alters mesocorticolimbic dopamine release: an in vivo microdialysis study. Brain Res. 721, 140 (1996) 

  9. Gesto, M., Soengas, J. L. and Miguez, J. M. : Acute and prolonged stress responses of brain monoaminergic activity and plasma cortisol levels in rainbow trout are modified by PAHs (naphthalene, beta-naphthoflavone and benzo(a)pyrene) treatment. Aquat. Toxicol. 86, 341 (2008) 

  10. Buffalari, D. M. and Grace, A. A. : Chronic cold stress increases excitatory effects of norepinephrine on spontaneous and evoked activity of basolateral amygdala neurons. Int. J. Neuropsychopharmacol. 12, 95 (2009) 

  11. Saito, T., Ishiwata, T., Hasegawa, H., Nomoto, S., Kotani, Y., Otokawa, M. and Aihara, Y. : Effect of chronic cold exposure on noradrenergic modulation in the preoptic area of thermoreulation in freely moving rats. Life Sci. 83, 79 (2008) 

  12. Lapiz-bluhm, M. D., Soto-pina, A. E., Hensler, J. G. and Morilak, D. A. : Chronic intermittent cold stress and serotonin depletion induce deficits of reversal learning in an attentional set-shifting test in rats. Psychopharmacology (Berl) 202, 329 (2009) 

  13. Parker, C. C., Ponicsan, H., Spencer, R. L., Holmes, A. and Johnson, T. E. : Restraint stress and exogenous corticosterone differentially alter sensitivity to the sedative-hypnotic effects of ethanol in inbred long-sleep and inbred short-sleep mice. Alcohol. 42, 477 (2008) 

  14. Swiergiel, A. H., Li, Y., Wei, Z. Y. and Dunn, A. J. : Effects of chlordiazepoxide on footshock- and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induced increases in cortical and hypothalamic norepinephrine secretion in rats. Neurochem. Int. 52, 1220 (2008) 

  15. Komiya, M., Takeuchi, T. and Harada, E. : Lemon oil vapor causes an anti-stress effect via modulating the 5-HT and DA activities in mice. Behav. Brain Res. 17. 172, 240 (2006) 

  16. Seo, J., Lee, S., Lee, Y., Kwon, B., Ma, Y., Hwang, B., Hong, J. and Oh, K. : Anxiolytic -like effects of obovatol isolated from Magnolia obovata:Involvement of GABA/benzodiazepine receptors complex.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31, 1363 (2007) 

  17. Yamada, T., Terashima, T., Okubo, T., Juneja, L. R. and Tokogoshi, H. : Effects of theanine, gamma-glutamylethylamide, on neurotransmitter release and its relationship with glutamic acid neurotransmission. Nutr. Neurosci. 8, 219 (2005) 

  18. Yokogoshi, H., Kobayashi, M., Mochizuki, M. and Terashima, T. : Effect of theanine, r-glutamylethylamide, on brain monoamines and striatal dopamine release in conscious rats. Neurochem. Res. 23, 66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