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술 후 보행지지 프로그램이 노인 상복부 수술환자의 폐 환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alking-Support Program on the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s of Elders Following Upper-abdominal Surger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2, 2009년, pp.214 - 222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남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은심 (부산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walking-support program on the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s of elderly people who had undergone upper-abdominal surgery. Method: The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re were 26 partcipants who were admitted for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들은 노인 상복부 수술환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행 지지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가스배출 시기, 진통제 투여, 보행 특성의 차이 및 폐 환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와 주관적 호흡곤란 지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 수술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보행지지 프로그램이 노인 상복부 수술환자의 폐 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P대학교병원 외과병동에 입원한 노인 상복부 수술환자에게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한 이후 원활한 보행을 도와 폐 환기능의 향상을 꾀하고 환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호흡곤란 상태를 감소시키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7년 6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5개월간 부산광역시의 p대학교병원 외과병동에 입원한 노인 상복부 수술환자 26명(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을 대상으로 보행 지지프로그램이 폐 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설계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12.

가설 설정

  • - 제1가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시기가 빠르고 진통제 투여 횟수가 적을 것이다.
  • - 제1가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시기가 빠르고 진통제 투여 횟수가 적을 것이다.
  • - 제2가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첫 보행을 시작한 시기가 빠르고 보행한 거리가 길 것이다.
  • . 제3가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 최고 호기 유속, 일초 노력성 호기량, 일초율 및 산소포화도와 같은 객관적 폐 환기능의 회복이 빠를 것이다.
  •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첫 보행을 시작한 시기가 빠르고 보행한 거리가 길 것이다.'
  • - 제4가설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주관적 호흡곤란 상태 지각 수준이 낮을 것이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 최고 호기 유속, 일초 노력성 호기량, 일초율 및 산소포화도의 객관적 폐환기능 회복이 빠를 것이다.'
  • '보행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주관적 호흡곤란 상태 지각수준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ooks-Brunn, J. A. (1997). Predictors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following abdominal surgery. Chest, 111(3), 564-571. 

  2. Chang, S. H. (1991). The anesthetic management of the patient with pulmona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4(5), 870-874.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Academic Press. 

  4. Hwang, J. H., & Park, H. S. (1994).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upper-abdominal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 130-147. 

  5. Kim, K. S., & Kang, J. Y. (1994). The effect of preparatory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luencing on sleep and anxiety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19-35. 

  6. Kim, C. G., & Moon, M. S. (1999). Effects of the provision of nursing information on patient's satisfaction after abdominal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3), 570-580. 

  7. Kim, J. H. (1991). A study on the effect which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upper abdominal oper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Kim, M. O. (1996). A study of recovery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in postoperativ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9. Kim, M. S. (1983).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postoperative recov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Estimation of future population. Seoul: Author. 

  11. Latimer, R. G., Dickman, M., Day, W. C., Gunn, M. L., & Schmidt, C. D. (1971). Ventilatory patterns and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determined b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uterized spirometry and blood gas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Surgery, 122(5), 622-632. 

  12. Lee, B. N., & Lee, G. E. (2006). Effects of pain control education on pain control barrier, postoperative pain and pain control satisfaction in gynecolo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68-975. 

  13. Lee, H. S. (1994). Effects of pre operative planned information on self-care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4. Lee, K. O. (2006). The effect of gas passing on SP6 acupressure with patient for laparotomy. Kwandong Medical Journal, 10(1), 39-50. 

  15. Lee, M. S. (1994).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and purposeful touch on the anxiety level in patients just before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ee, S. C., Ahn, S. H., Kang, H. J., Lee, H. S., & Lee, B. H. (1998).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riatric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55(5), 611-620. 

  17. Lee, T. U. (2000). Factors which influence mortality following operation on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4(4), 264-269. 

  18. Lee, Y. H. (1995). The influence of the supply of nursing information on patient's contentment after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Lee, Y. R. (1993). The effect of preoperative deep breathing education method on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in upper abdominal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Catholic Medical College, 46(1), 401-410. 

  20. Lee, Y. R., & Kim, M. J. (1994). The effectiveness of VAS for evaluation of pulmonary condition in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69-76. 

  21. Mun, M. S. (1994). Comparison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between breathing exercise using incentive spirometer and voluntary breathing exercise in patients after resectional lung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2. Phipps, W. J., Sands, J. K., Marek, J. F., & Ledbetter, M. S. (1999). Medical-surgical nursing (6th ed.). St. Louis: Mosby. 

  23. Ryu, Y. J., Park, J. Y., Baik, S. J., Lee, J. R., Cheon, E. M., & Chang, J. R. (2004). Incidence and predictors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non-thoracic surgery in patients of 65 years old or more.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67(1), 65-72. 

  24. Smetana, G. W. (2003). Preoperative pulmonary assessment of the older adult.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19(1), 35-5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