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기 및 흡기호흡운동이 상복부 수술을 한 노인 환자의 폐환기능과 폐 합병증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of Exhalation and Inhalation Breathing Exercises on Pulmonary Function and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Upper-abdominal Surge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14 - 522  

구미지 (양산부산대병원 외과중환자실)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halation breathing exercises using expirometer and that of inhalation breathing exercises using incentive spirometry on pulmonary function and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upper-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research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마취 하에 상복부 수술을 받은 노인 환자에게 expirometer을 이용한 호기 호흡운동과 incentive spirometry를 이용한 흡기 호흡운동이 수술 후 폐환기능(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과 폐 합병증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호기 호흡운동을 한 실험군과 흡기 호흡운동을 한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FVC)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호기 호흡운동을 한 실험군과 흡기 호흡운동을 한 대조군의 수술 후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호기 호흡운동을 한 실험군과 흡기 호흡운동을 한 대조군의 폐 합병증 발생여부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신마취 하에 상복부 수술을 받은 노인 환자의 폐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폐활량을 증진시키고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도록 도울 수 있는 호흡기계 간호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이유들로 노인은 수술 후 폐렴, 저산소증, 저환기, 무기폐와 같은 폐 합병증이 약 2.1~10.2% 발생하며, 이러한 폐 합병증은 수술 후 일주일 이내 사망원인의 25.0%[10], 전체 수술 사망률의 84.0%를 차지하며, 입원기간이나 중환자실 치료의 연장 등 경제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 수술 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폐 합병증 중 무기폐는 가스교환이 향상되고 저산소증이 완화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12].
수술로 인한 폐 합병증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수술로 인한 폐 합병증 발생 원인은 수술 자체나 마취제에 의해 호흡 근육이 약해지고 흉벽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여 폐 용적을 변화시키기 때문인데, 이로 인한 기능적 잔기용량의 감소는 하복부 수술 10~15%, 상복부 수술 30%, 폐절제술의 경우 35%에서 발생한다[5]. 상복부 수술은 하복부 수술에 비해 폐 합병증이 1.
상복부 수술이 하복부 수술에 비해 폐 합병증이 높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상복부 수술은 하복부 수술에 비해 폐 합병증이 1.5배 이상 높게 발생하는데[1,3,6], 이는 복막 내장 신경자극으로 인해 횡격막 수용체의 신경 전달을 억제하는 중추신경계가 반사적으로 활성화되어 호흡근육에 기능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6]. 수술 후 폐 합병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상복부 수술이 포함되며, 특히, 간담도계 수술에서 폐 합병증이 더 높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arcia-Miguel FJ, Serrano-Aguilar PG, Lopez-Bastida J. Preoperative assessment. Lancet. 2003;362(9397):1749-1757. 

  2. Kim WS, Kim BG, Kim JY. Study on the normal predictive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s using portable spirometer. Research Works of the Graduate School. 2002;27:405-417. 

  3. Ryu KH. Critical point of anesthetic management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4;46(5):501-516. http://dx.doi.org/10.4097/kjae.2004.46.5.501 

  4. Ryu YJ, Park JY, Baik SJ, Lee JH, Cheon EM, Chang JH. Incidence and predictors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nonthoracic surgery in patients of 65 years old or mor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4;67(1):65-72. 

  5. Hedenstierna G. Alveolar collapse and closure of airways: Regular effects of anaesthesia. Clinical Physiology and Functional Imaging. 2003;23(3):123-129. 

  6. Rock P.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patient with pulmonary disease. Paper presented at: 6th Critical Care Refresher Course at the 31st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2 January 25-26; San Diego, CA. 

  7. Doh YJ, Hur IK, Lee JY, Park JB, Sung NI, Lee YG, et al. Reappraisal of the predictive factors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gener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7;72(5):501-510. 

  8. Lee BY, Shon KH. The effect of chest meridian massage on post-anesthetic recovery of general anesthes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4):612-621. 

  9. Kim HT, Lee SM, Uh ST, Chung YT, Kim YH, Park CS.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ve sites after general anesthesia.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1993;40(3):250-258. 

  10. Arozullah AM, Conde MV, Lawrence VA. Preoperative evaluation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03;87(1):153-173. 

  11. Reimer-Kent J. Creating a postoperative wellness model to optimize and enhance rapid surgical recovery. Canadi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2;22(2):7-23. 

  12. Canet J, Gallart L. Postoperative respiratory failure: Pathogenesis, prediction, and prevention.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2014; 20(1):56-62. http://dx.doi.org/10.1097/mcc.0000000000000045 

  13. Kim YH, Park SN, Hwang KH. Pulmonology.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11. p. 1-206. 

  14. Brown R, DiMarco AF, Hoit JD, Garshick E. Respiratory dysfunction and management in spinal cord injury. Respiratory Care. 2006;51(8):853-868. 

  15. Kang SW, Shin JC, Park CI, Moon JH, Rha DW, Cho DH. Relationship between in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 capacity in cervical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Spinal Cord. 2006;44(4): 242-248. http://dx.doi.org/10.1038/sj.sc.3101835 

  16. Sutbeyaz ST, Koseoglu F, Inan L, Coskun O.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0;24(3):240-250. http://dx.doi.org/10.1177/0269215509358932 

  17. Min YM. The effect of regular practice for deep breathing on fun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ventilation in geriatric patient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07. p. 1-42. 

  18. Kim KN. The effect of regular practice for deep breathing on post-operative pulmonary ventilation of the aged who underwent lobectomy[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9. p. 1-44. 

  19. Lunardi AC, Paisani DM, Marques da Silva CC, Cano DP, Tanaka C, Carvalho CR. Comparison of lung expansion techniques on thoracoabdominal mechanics and incid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A randomized and controlled trial. Chest. 2015;148(4):1003-1010. http://dx.doi.org/10.1378/chest.14-2696 

  20. do Nascimento Junior P, Modolo NS, Andrade S, Guimaraes MM, Braz LG, El Dib R. Incentive spirometry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in upper abdominal surger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4(2):CD006058.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058.pub3 

  21. Jeon YJ, Oh DW, Kim KM, Lee YJ.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breathing exercises on pulmonary function of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Physical Therapy Korea. 2010;17(1):9-16. 

  22. Kwun KB. Perioperative pulmonary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3;18(1):7-19.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1988. 

  24. Mazo V, Sabate S, Canet J, Gallart L, de Abreu MG, Belda J, et al. Prospective external validation of a predictive score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nesthesiology. 2014;121(2) :219-231. http://dx.doi.org/10.1097/aln.0000000000000334 

  25. Lee HR, Choe CJ, Park OJ, Kim YS, Choi KO, Kim KS, et al. Adult nursing I. 6th ed. Paju: Soomoonsa; 2007. 

  26. Miller MR, Hankinson J, Brusasco V, Burgos F, Casaburi R, Coates A, et al.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Th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5;26(2):319-338. http://dx.doi.org/10.1183/09031936.05.00034805 

  27. Seo YH, Kang HS. The effects of the respiration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ulmonary function, anxiety, and sleep of patients underwent lung surgery.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57-167. 

  28. Nunn AJ, Gregg I. New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peak expiratory flow in adult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89;298(6680):1068-1070. 

  29. Lee WS, Yang YL, Oh EG. Effectiveness of deep breathing exercise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23-432.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4.423 

  30.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Paju: Koonja;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