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황항체(IgY) 급여가 Holstein 송아지의 성장능력 및 면역관련 혈액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unoglobulin Y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Holstein Calve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4, 2009년, pp.321 - 328  

정희승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정근기 (동물생명산업센터, 목산한우연구소(사)) ,  장인석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유 급여를 마친 갓 태어난 Holstein 송아지 14두를 대조구(Con) 및 시험구(IgY)로 나누어 49일 동안 대용유를 급여하면서 난황항체(IgY구)를 1주일 동안 투여하여 사양성적, 분변 상태 및 미생물 균총, 혈액내 생화학적 성분 및 면역관련 지표인 백혈구 성상을 조사하여 가장 바람직한 송아지 포유 및 육성 방법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로서 포유 송아지에게 IgY 투여시 체중 및 증체는 대조구(Con) 및 시험구(IgY)간에 유의적 차이 없이 모두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송아지 분변의 대장균(E. coli) 및 유산균 총균수를 조사한 결과 IgY 투여에 따른 대장균 및 유산균 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분의 상태는 시험구에서 7주째 유의적으로(P<0.05) 고형상태로 배설되었다. 송아지 혈액의 백혈구 감별계수(%)를 조사한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염기구 등의 상대적 %는 모든 구에서 정상적인 백혈구 감별 계수를 보여 IgY 투여에 따른 면역 반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혈액내 존재하는 총 단백질, albuminIgG 등에서도 대조구 및 시험구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포유 송아지에서 1주 동안 IgY 투여는 증체, 면역작용 및 분변 미생물의 균총에는 특이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송아지에게 생후 24시간 이내 초유를 정확하게 급여하고 사양관리에 충실 할 경우 송아지의 포유 및 육성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fourteen, 1-wk-old male Holstein calves were allotted into two groups consisted of control (CON) and IGY which was orally administrated with immunoglobulin yolk (IgY) for 1wk. Calves in both groups were provided with milk replacer according to feeding program and had ad libitum access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nge 등 (1998)에 의하면 출생시 송아지에서는 혈액 면역 세포의 식작용이 비활성화되어 있지만, 곧 백혈구 등이 활성화되어 어느 정도의 식작용이 보강되어 면역방어 작용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초유를 섭취한 대조구 및 시험구의 모든 송아지가 송아지 방에서 위생적인 환경에서 사양되어 미생물의 오염이 적고 충분한 초유급여로 면역력이 증강되어 IgY 투여로 인한 유의적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면역 촉진제의 작용기전은 다양하고 투여방법, 투여량 및 시기, 스트 레스 정도 등에 따라 반응이 상이하므로 우수한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물질 개발 및 효과적인 이용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따라서 본 시험은 농장에서 조기이유에 따른 송아지 질병예방을 위해 면역활성제 투여와 사양관리 방법의 개선 등을 통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초유급 여를 마친 갓 태어난 홀스타인 숫 송아지에게 난황항체(IgY)를 포유기 1주일 동안 투여하여 성장, 혈액 생화학성분 및 면역학적 지표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하체중을 높이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한육우 사양에서 어린 송아지의 성공적인 육성은 출하 체중 증가 및 건강하고 안전한 고급육 생산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 특히 모축의 산유량과 이유체중, 생시체중과 이유체중, 이유체중과 출하체중 등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출하체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송아지의 포유 사양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 등, 2005). 포유기의 사양관 리 실패는 면역저하와 질병발생으로 송아지 이유체중 및 출하체중이 감소되어 우리나라와 같은 집약적인 사양관리에서는 경영효율이 저하된다.
어린 송아지의 성공적인 육성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큰가? 한육우 사양에서 어린 송아지의 성공적인 육성은 출하 체중 증가 및 건강하고 안전한 고급육 생산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 특히 모축의 산유량과 이유체중, 생시체중과 이유체중, 이유체중과 출하체중 등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출하체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송아지의 포유 사양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 등, 2005).
송아지의 포유 사양 관리의 실패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모축의 산유량과 이유체중, 생시체중과 이유체중, 이유체중과 출하체중 등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출하체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송아지의 포유 사양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 등, 2005). 포유기의 사양관 리 실패는 면역저하와 질병발생으로 송아지 이유체중 및 출하체중이 감소되어 우리나라와 같은 집약적인 사양관리에서는 경영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오랜 기간 동안 포유 시 모축과 지속적인 접촉으로 신생 송아지의 경우 설사와 같은 질병으로 폐사율이 증가되어 다두사육 농가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된다 (김 등, 1990). 따라서 육우에서 조기 이유 후 인공포유를 실시하면 송아지의 전염병 발생률이 저하되어 폐사율이 감소하고 송아지 성장발육이 균일화되어 경영효율이 극대화된다 (정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thington, J. D., Cattell, M. B., Quigley, J. D., McCoy, G. C. and Hurley, W. L. 2000. Passive IgG transfer in newborn calves fed colostrum or spray-dried serum protein alone or as a supplement to colostrum of varying quality. J. Dairy Sci. 83(12):2834-2838. 

  2. Baron, J. M., Heise, R., Blaner, W. S., Neis, M., Joussen, S., Dreuw, A., Marquardt, Y., Saurat, J. H., Merk, H. F., Bickers, D. R. and Jugert, F. K. 2005. Retinoic acid and its 4-oxo metabolites are functionally active in human skin cells in vitro. J. Invest. Dermatol. 125(1):143-153. 

  3. Brown, G. B., Bolin, S. R., Frank, D. E. and Roth, J. A. 1991. Defective function of leukocytes from cattle persistently infected with bovine viral diarrhea virus, and the influence of recombinant cytokines. Am. J. Vet. Res. 52:381. 

  4. Erhard, M. H., Gobel, E., Lewan, B., Losch, U. and Stangassinger, M. 1997. Systemic availability of bovine IgG and chicken IgY after feeding colostrum and whole egg powder to newborn calves. Arch. Tierernahr. 50:369-380. 

  5. Garry, F. B., Adams, R., Cattell, M. B. and Dinsmore, R. P. 1996. Comparison of passive IgG transfer to dairy calves fed colostrum or commercially available colostral-supplement products. J. Am. Vet. Med. Assoc. 208(1):107-110 

  6. Girard, F., Batisson, I., Martinez, G., Breton, C., Harel, J. and Fairbrother, J. M. 2006. Use of virulence factor-specific egg yolk-derived IgGs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ntibiotics for prevention of attaching and effacing E. coli infections. FEMS Immunol. Med. Microbiol. 46(3):340-350. 

  7. Godden, S. M., Smith, S., Feirtag, J. M., Green, L. R., Wells, S. J. and Fetrow, J. P. 2003. Effect of on-farm commercial batch pasteurization of colostrum on colostrum and serum IgG concentrations in dairy calves. J. Dairy Sci. 86(4):1503-1512. 

  8. Hoerlein, A. and Marsh, C. L. 1957. Studieson the epizootiology of shipping fever in calves. J. Am. Vet. Med. Assoc. 131:123. 

  9. Ikemori, Y., Kuroki, M., Peralta, R. C., Yokoyama, H. and Kodama, Y. 1992. Protection of neonatal calves against fatal enteric colibacillosis by administration of chicken egg yolk powder from hens immunized with K99-pilated enterotoxigenic E. coli. Am. J. Vet. Res. 53:2005-2008. 

  10. Kim, D., Lyoo, Y. S., Lyoo H. S. and Yoon C. K. 1990. Etiology and clinical aspects of diarrhea of Korean native calves during the suckling periods. Kor. J. Vet. Res. 30(2): 255-260. 

  11. Kim, J. M., Woo, S. R., Kwon, C. H., Kim, J. Y. and Huh, W. 1998. Development of preventive method for enterotoxigenic colibacillosis using egg yolk antibodies against colibacillosis of piglets. Korean J. Vet. Res. 34:837-842. 

  12. Logan, E. F., Pearson, G. R. and McNully, M. S. 1977. Studies on the immunity of the calf to colibacillosis-VII: The experimental reproduction of enteric colibacillosis in colostrumfed calves. Veterinary Record. 101:443-446. 

  13. Menge, C., Neufeld, B., Hirt, W., Schmeer, N., Bauerfeind, R., Baljer, G. and Wieler, L. H. 1998. Compensation of preliminary blood phagocyte immaturity in the newborn calf. Vet Immunol. Immunopathol. 62(4):309-321. 

  14. Oh, T. H. and Han, H. R. 1996. Protective effect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in colostrums-deprived neonatal puppies. Korean J. Vet. Res. 36: 903-913. 

  15. Osame, S., Ichojje, S., Ohata, C., Watanabe, W. and Goto, H. 1991. Efficacy of colostrial immunoglobulins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treatments of calf diarrhea. J. Vet. Med. Sci. 53(1):87-91. 

  16. Quigley, J. D. III Fike D. L., Egerton, M. N., Drewry, J. J. and Arthington, J. D. 1998. Effects of a colostrum replacement product derived from serum on immunoglobulin G absorption by calves. J. Dairy Sci. 81(7):1936-1939. 

  17. Quigley, J. D. III and Welborn, M. G. 1996. Influence of injectable immunoglobulin on serum immunoglobulin concentrations in dairy calves. J. Dairy Sci. 79(11):2032-2037. 

  18. SAS. 1996.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6.12 Edition. SAS inst, Inc., Cary., NC. 

  19. Yokoyama, H., Paralta, R. C., Diaz, R., Sendo, S., Ikemori, Y. and Kodama, Y. 1992. Passive protective effect of chicken egg yolk immnunoglobulins against experimental enterotoxigenic E. coli infection in neonatal piglets. Infect. Immuno. 60: 998-1007. 

  20. 김 두, 유영수, 유한상, 윤충근. 1990. 한우송아지의 포유기간 중의 설사발생에 관한 연구. Korean J. Vet. Res., 30(2): 250-260. 

  21. 백순용. 1990. 백순용의 소 질병관리. 종합출판문화사. 

  22. 정근기, 강수원, 김경훈, 김내수, 서국현, 성환우, 송만강, 오 영균, 원유석, 윤종택, 이문연, 최창본. 2005. 한우. 전국한우 연구회. 대원문화인쇄. 서울. 

  23. 서정원. 2006. 건강한 송아지와 설사송아지에서 혈중 retinol 과 $\alpha$ -tocopherol의 비교.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4. 양일석, 강창원, 김상근, 김주헌, 김태완, 나승열, 박수현, 박 전홍, 윤영원, 이국경, 이상목, 이만휘, 이장헌, 한호재. 2004. 수의생리학. 광일문화사. 서울 

  25. 內藤善久, 김덕환, 신형태. 1993. 가축설사의 진단: 송아지 설사에 대하여. Kor. J. Vet. Clin. Med.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