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시 수행하는 비형식적 추론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2, 2009년, pp.253 - 266  

장해리 (이화여자대학교)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students' informal reasoning patterns and their considerations in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This study involved 20 undergraduate students (10 biology majors and 10 non-biology majors) and showed how the two groups responded on socioscientific iss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비형식적 추론 형태는 Sadler와 Zeidler(2005a)가 사용한 세 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무엇으로 분석하였는가? 대학생들의 비형식적 추론 형태는 Sadler와 Zeidler(2005a)가 사용한 세 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이성적, 감정적, 직관적 형태로 분석하였다. 이성적 형태는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한 기술적인 논란거리, 부작용, 기타 관련된 요인들을 이성적으로 따져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입장을 결정하는 형태로 감정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배제한 인지적 추론을 말한다.
문제들의 대한 이해가 책임감 있는 시민을 양성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일부 과학교육자들은 이것을 과학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이유는? , 2000; Kolsto, 2001a; Zeidler, 1984). 왜냐하면 학생들은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들을 활용한 교육을 통해서 과학에 기초한 쟁점들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쟁점의 원인과 결과, 장점과 단점 등의 요소들을 파악하고 적절한 과학지식을 선택해야하며, 관련 사항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사고 과정이 필요하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논쟁이 가능한 이유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들은 명확한 답이 없고, 복잡하고, 개방형이므로(Kuhn, 1993), 다양한 시각에서 논쟁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그 기술의 수혜자이며 동시에 피해자인 현대인들은 이러한 쟁점들을 직면하였을 때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희백, 이선경 (1996). 과학 ${\cdot}$ 기술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주제에 대한 중 ${\cdot}$ 고등학생들의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61-469 

  2. 박윤복, 김영신, 정완호 (2002). 생물윤리 의사결정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55-63 

  3. 윤미향 (2006). 과학의 본성에 따른 의사결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Andrew, J., & Robottom, I. (2001). Science and ethics: Some issues fo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5, 769-780 

  5.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6.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02).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Hall 

  7.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 of scientific 

  8. Evans, J. H. (2002). Playing God? Human genetic engineering and the rationalization of public bioethical debat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Fleming, R. (1986a). Adolesc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Part Ⅰ: Social cogn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677-687 

  10. Fleming, R. (1986b). Adolesc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Part Ⅱ: Nonsocial cogn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689-698 

  11. Hogan, K. (2002). Small group's ecological reasoning while mak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deci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41-368 

  12. Kolsto, S. D. (2001a).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13. Kuhn, D. (1993). Science as argument: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4. Lewis, J., & Leach, J. (2006). Discuss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The role of science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1), 1267-1287 

  15. Lincoln, Y. S., & Guba, E. G.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7. Means, M. L., & Voss, J. F. (1996). Who reasons well? Two studies of informal 

  18. Sadler, T. D., Amirshokoohi, A., Kazempour, M., & Allspaw, K. M. (2006). 

  19. Sadler, T. D., Chambers, F. W., & Zeidler, D. L. (2004). Student conceptualiza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response to a socioscientific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4), 387-409 

  20. Sadler, T. D., & Donnelly, L. A. (2006).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The effects of content knowledge and mor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2), 1463-1488 

  21. Sadler, T. D., & Fowler, S. R. (2006). A threshold model of content knowledge 

  22.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23. Sadler, T. D., & Zeidler, D. L. (2005a).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24. Sadler, T. D., & Zeidler, D. L. (2005b).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1), 71-93 

  25. Siebert, E. D., & McIntosh, W. J. (Eds.) (2001). College pathway to the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rlington, VA: NSTA Press 

  26. Zeidler, D. L., (1984). Moral issues and social policy in science education: Closing the literacy gap. Science Education, 68, 411-419 

  27.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ei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Philosophy,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discourse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pp.7-38). Dordrecht: Kluwer 

  28. Zohar, A., & Nemet, F. (2002). For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