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와 지구' 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
The Effects on SSI program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Universe and the Earth'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7 no.3, 2014년, pp.338 - 346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  김순식 (부산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ind out of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science, society and ethical aspects on natural disasters and understanding degree of knowledge applying for SSI class aimed 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y developing SSI training program of the 'Earth and Space' field. Also, after SSI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주와 지구’ 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SSI에 대한 구체적인 소재로 지구계 시스템의 자연재해 관련을 설문하여 위기상황에서 과학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주와 지구’ 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이들은 이전 학기에 초등학교 각 과목에 대한 교재연구 및 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이다. 본 연구는 초등과학 교과목에 대한 교재연구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내용으로 과학의 본성에 근거한 과학, 사회,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한 SSI 적용 수업의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SSI 수업 적용을 위해서는 한 학기 15주를 기준으로 7주까지는 과학교과의 교재연구 및 과학의 본성에 근거한 수업을 하였고, 이후 8주 동안은 ‘지구와 우주’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주제로 SSI 적용 수업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주와 지구’ 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은 어떤 것들을 전제로 하는가? 과학과의 목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과 과학과의 성격을 기반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크게 총괄 목표와 하위 목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괄 목표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바로 ‘과학적 소양’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과학적 소양은 과학의 기본 개념, 과학의 본성, 과학자의 연구 윤리, 과학과 사회의 관계, 과학과 인간의 상호 연관성, 과학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에 대한 이해, 대중 매체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의 진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사회에서 과학 활동의 연관성과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10). 과학교육의 목적은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데 있으며, 과학적 소양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인지적 영역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과학적 태도 등을 들 수 있다.
학교육에서 SSI 도입을 찬성하지만 SSI 수업을 적용하는 데는 부담을 느끼는 이유는? , 2006)도 있다. 이러한 이유는 SSI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에서는 동의하지만 실제수업에서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Lee et al. (2006)는 교사들이 SSI 수업적용이 어렵다는 이유에 대해서 SSI 수업자료의 부족, 평가의 어려움, 지식과 교수기술의 부족, 학생의 미성숙함, 과학 수업은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막연한 믿음, 가치갈등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과학교육에서 교사들이 SSI 수업적용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과학교육의 본질적인 면에서 SSI 수업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고 있다.
과학교육의 목적은? 과학적 소양은 과학의 기본 개념, 과학의 본성, 과학자의 연구 윤리, 과학과 사회의 관계, 과학과 인간의 상호 연관성, 과학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에 대한 이해, 대중 매체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의 진실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사회에서 과학 활동의 연관성과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10). 과학교육의 목적은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데 있으며, 과학적 소양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인지적 영역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과학적 태도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성취도 평가의 인지적 영역에서 세계적으로 매우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나 정의적 영역에서는 하위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 on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67-90. 

  2. Chang, H., & Lee, H. (2010). College students'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ssues(SS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3. Choi Joon-wan, Park Choon-sung, Yeon Kyeong-nam, Min Young-Kyoung, Lee Eunah, Jung Won-sun, Seo Ji-yeon, Cha Dai-gil, Hur Junyoung, Lim Cung-mook(2009). The problem of character education and alternative approach in korea(creative character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9(2), 89-112. 

  4. Choi, K., Lee, H., Shin, N., Kim, S.,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5. Dawson, V. M., & Venville, G. (2010). Teach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students' argumentation skill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genetic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 133-148. 

  6. Dolan, T. J., Nichols, B. H., & Zeidler, D. L. (2009). Using socioscientific issues in primary classroom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 1-12. 

  7. Hogan, K. (2002). Small groups' ecological reasoning while mak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deci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4), 341-368. 

  8. Lee Hyun-ju & Chang Hyun-sook(2011). Enlarge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SI Teaching through a Teach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4), 911-930. 

  9. Lee Yong-Seob(2013).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3), 252-260. 

  10. Lee, H., & Witz, K. (2009). Science teachers' inspiration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Disconnection with reform eff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931-960. 

  11. Lee, H., Abd-El-Khalick, F., Choi, K. (2006).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into the Science Curriculum.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6(2), 97-117. 

  12. Melville, W., Yaxley, B., & Wallace, J. (2007). Virtues, teacher professional expertise, and socioscientific issues.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2, 95-109. 

  13. Ministry of Education(2011). Receiv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Guidebook 5-1. Kums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14. Ritchie, S. M., Rigano, D. L., & Duane, A. (2008). Writing an ecological mystery in class: Merging genres and learn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 143-66. 

  15.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2, 112-138. 

  16. Sadler, T. D., Amirshokoohi, A., Kazempour, M., & Allspaw, K. M. (2006). Socioscience and ethics in science classrooms: Teacher perspectives and strateg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53-376. 

  17. Wee Soo-Meen & Lim Sung-Man(2013). Awareness and Eductional Needs Concerning SSI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Journal of Korean Science Education, 37(2), 294-309. 

  18. Yang Jung-eunl, Kim Hyunjeong, Gao Lei, Kim Eunjin, Kim Sung-Won, Lee Hyunju(2012).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2(1), 113-128. 

  19.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