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초기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성대를 보전하면서 완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 치료 후 재발양상, 장기생존율 및 음성보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초기(1, 2기) 성문부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9세에서 79세로 중앙값 63세이며 병리학적으로 모두 편평상피암이었다. 병기로는 1기가 58명, 2기가 12명이었으며 남자가 67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하루 $1.8{\sim}2.2$ Gy 분할선량으로 총방사선량은 $54{\sim}70.2$ Gy로 병기 1기에는 중앙값 60 Gy, 2기에는 중앙값 66 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180개월로 중앙값이 77.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 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 Rank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는 Chi-square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는 69명(98.5%)에서 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3.9%, 5년 무병생존율이 84.1%이었고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92.8%로 1기는 93.1%, 2기는 91.7%이었다. 13명(18.5%)에서 국소재발을 하였으며 이 중 9명은 구제수술로 치료되었으며 4명은 재발을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 후 국소재발까지의 평균기간은 24개월($3{\sim}69$개월)이었다. 성문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으로 폐, 뼈, 간의 전신전이로 각각 33, 71개월 후 사망하였고 9명은 성문암의 재발이나 전이 없이 다른 질환으로 평균 73개월 후 사망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심각한 만성 부작용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62명(88.5%)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결론: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우수한 장기생존율과 음성보존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법이다.
목적: 초기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성대를 보전하면서 완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 치료 후 재발양상, 장기생존율 및 음성보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초기(1, 2기) 성문부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9세에서 79세로 중앙값 63세이며 병리학적으로 모두 편평상피암이었다. 병기로는 1기가 58명, 2기가 12명이었으며 남자가 67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하루 $1.8{\sim}2.2$ Gy 분할선량으로 총방사선량은 $54{\sim}70.2$ Gy로 병기 1기에는 중앙값 60 Gy, 2기에는 중앙값 66 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180개월로 중앙값이 77.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 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 Rank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는 Chi-square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는 69명(98.5%)에서 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3.9%, 5년 무병생존율이 84.1%이었고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92.8%로 1기는 93.1%, 2기는 91.7%이었다. 13명(18.5%)에서 국소재발을 하였으며 이 중 9명은 구제수술로 치료되었으며 4명은 재발을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 후 국소재발까지의 평균기간은 24개월($3{\sim}69$개월)이었다. 성문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으로 폐, 뼈, 간의 전신전이로 각각 33, 71개월 후 사망하였고 9명은 성문암의 재발이나 전이 없이 다른 질환으로 평균 73개월 후 사망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심각한 만성 부작용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62명(88.5%)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결론: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우수한 장기생존율과 음성보존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법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long-term results in terms of failure, survival and voice preservation after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88 to December 2003, 70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long-term results in terms of failure, survival and voice preservation after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88 to December 2003, 70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t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Patient age distribution was from 39 to 79 years, with a median age of 62 years. All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ccording to the TNM stage, 58 patients had stage I disease, 12 patients had stage II disease; 67 patients were male. The laryngeal area was irradiated with the use of bilateral opposing fields with/without a wedge filter with 6 MV photons at a total dose of $54{\sim}70.2$ Gy in $1.8{\sim}2.2$ Gy fractions over $6{\sim}8$ weeks. We delivered a median radiation dose of 60 Gy for stage I patients and a median radiation dose of 66 Gy for stage II patients.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The voice preservation rate was analyzed after all treatments including salvage surgery. Follow-up periods were from 13 to 180 months, with a median follow-up period of 77.5 months.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by the use of the Kaplan Meier method and log rank test. A comparison of two group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the chi-squared test. Results: The local control rate was 98.5% (69/70). The five-year-overall survival rate was 93.9%. The five-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5YDFS) was 84.1% and the 5YDFS after radiation and salvage surgery was 92.8%. According to stage, the 5YDFS was 93.1% and 91.7% for stage I and stage II respectively. Thirteen patients (18.5%) had local failure with 24 months of median time to local failure and nine patients received salvage surgery; however, four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after a diagnosis of recurrence. Only two patients died due to a distant metastasis at 33 months and 71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respectively. Nine patients died due to other diseases with a median time of 73 months. There were no severe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after radiation therapy. Voice preservation was ultimately achieved in 88.5% (62/70) of patients. Conclusion: We considered that radiation therapy was effective and we achieved excellent survival and voice preservation in early laryngeal cancer.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should be the fir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early glottic canc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long-term results in terms of failure, survival and voice preservation after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88 to December 2003, 70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t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Patient age distribution was from 39 to 79 years, with a median age of 62 years. All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ccording to the TNM stage, 58 patients had stage I disease, 12 patients had stage II disease; 67 patients were male. The laryngeal area was irradiated with the use of bilateral opposing fields with/without a wedge filter with 6 MV photons at a total dose of $54{\sim}70.2$ Gy in $1.8{\sim}2.2$ Gy fractions over $6{\sim}8$ weeks. We delivered a median radiation dose of 60 Gy for stage I patients and a median radiation dose of 66 Gy for stage II patients.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The voice preservation rate was analyzed after all treatments including salvage surgery. Follow-up periods were from 13 to 180 months, with a median follow-up period of 77.5 months.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by the use of the Kaplan Meier method and log rank test. A comparison of two group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the chi-squared test. Results: The local control rate was 98.5% (69/70). The five-year-overall survival rate was 93.9%. The five-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5YDFS) was 84.1% and the 5YDFS after radiation and salvage surgery was 92.8%. According to stage, the 5YDFS was 93.1% and 91.7% for stage I and stage II respectively. Thirteen patients (18.5%) had local failure with 24 months of median time to local failure and nine patients received salvage surgery; however, four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after a diagnosis of recurrence. Only two patients died due to a distant metastasis at 33 months and 71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respectively. Nine patients died due to other diseases with a median time of 73 months. There were no severe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after radiation therapy. Voice preservation was ultimately achieved in 88.5% (62/70) of patients. Conclusion: We considered that radiation therapy was effective and we achieved excellent survival and voice preservation in early laryngeal cancer.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should be the fir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early glottic canc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초기 성문암의 치료는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며 최상의 국소제어율이나 생존율을 이루고 또한 음성보존을 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1∼3) 치료의 선택은 아직 논란 중이며 병의 위치와 병기, 환자의 전신상태, 의사의 철학, 환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다르다.
저자들은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율과 재발양상, 구제수술 후 장기생존율, 음성보존율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에 있어서는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며 높은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을 얻고 음성보존을 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1∼3)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후 5년국소제어율은 T1기에는 85∼94%, T2기에는 70∼80%로 보고되고 있다.
가설 설정
12) 전교련(anterior commissure)침범이 있는 경우 방사선치료 후 괴사와 재발이 많다고 하나14) 그렇지 않다는 보고도 있으며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가 낮으므로 수술을 더 권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전교련에 충분한 방사선량을 줄 수 있는 Co-60 치료기로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나 볼루스를 사용하여 전교련에 충분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는 보고도 있다.4) 본 연구에서는 전교련의 침범유무도 국소제어의 차이가 없었다. 김 등 15) 은 종양의 위치가 후방부위 일 때 전방부위보다 무병생존율이 85.
제안 방법
방사선 치료는 6MV X-선을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조직보상 체를 사용하여 좌우 대향 2문으로 치료하였으며 T1 병기에는 상연을 방패패임(thyroid notch), 하연은 윤상연골까지 전연은 갑상연골의 전방 1∼1.5 cm, 후연은 종양의 후방범 위에 따라 결정하였고 T2 병기에는 방사선조사야를 평균 6×6 cm 으로 하였으며 종양의 범위에 따라 조절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하루 1.8∼2.2 Gy 분할선량으로 주 5회, 총 방사선량은 54∼70.2 Gy로 병기 1기에는 중앙값 60 Gy, 2기에는 중앙값 66 Gy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1988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초기(1, 2기) 성문부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9세에서 79세로 중앙값 63세이었으며 병리학적으로 모두 편평상피암이었다.
5%)에서 국소재발을 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국소재발까지의 평균 기간은 24개월(3∼69개월)이었으며 이 중 9명은 구제수술로 치료되었으며 4명은 재발을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1명은 국소재발 없이 뼈, 간으로 전이되어 33개월에 사망하였다(Table 3).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92.
데이터처리
5개월이었으며 생존하는 환자는 최소 5년 이상 추적관찰 되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는 Chi-square법을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생존율은 Kaplan-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는 Chi-square법을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실패양상으로는 13명(18.5%)에서 국소재발을 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국소재발까지의 평균 기간은 24개월(3∼69개월)이었으며 이 중 9명은 구제수술로 치료되었으며 4명은 재발을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1∼3) 치료의 선택은 아직 논란 중이며 병의 위치와 병기, 환자의 전신상태, 의사의 철학, 환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다르다. 4) 초기 성문암의 치료에서 Mendenhall 등은 매우 적은 성문암의 경우에는 레이저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그 외의 초기 성문암은 방사선치료를 권하고 부분성문적출술은 부작용과 비용을 고려할 때 재발암에서 시행하기를 권하였다.5∼7) 수술은 방사선치료 후 재발하는 경우에 구제수술로 전후두적출술이나 부분후두적출술을 권한다.
1988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초기(1, 2기) 성문부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9세에서 79세로 중앙값 63세이었으며 병리학적으로 모두 편평상피암이었다. AJCC 병기8)로는 1기가 58명, 2기가 12명이었으며 남자가 67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5일이었다(Table 2). 국소제어의 평가는 방사선치료 후 1개월에 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종양의 증거가 보이지 않으면 완전관해로 보았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180개월로 중앙값이 77.
국소제어의 평가는 방사선치료 후 1개월에 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종양의 증거가 보이지 않으면 완전관해로 보았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180개월로 중앙값이 77.5개월이었으며 생존하는 환자는 최소 5년 이상 추적관찰 되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는 69명(98.5%)에서 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3.9%이었고 5년 무병생존율이 84.1%이었다(Fig. 1). 방사선치료 후 무병생존율과 관계되는 인자를 찾기 위해 성별, 병기, 병리적 분화정도, 전교련(anterior commissure) 침범유무, 종양의 위치(전, 후), 분할 선량, 총방사선량, 치료기간을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1명은 국소재발 없이 뼈, 간으로 전이되어 33개월에 사망하였다(Table 3).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92.8%로 1기는 93.1%, 2기는 91.7%이었다(Fig. 2). 성문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으로 1명은 국소 재발없이 뼈, 간으로 전신전이가 되어 33개월 후 사망하였고 다른 1명은 방사선치료 후 14개월에 성문하부에 재발하여 전후두적출술을 시행받고 58개월에 폐로 전이되어 71개월에 사망하였다(Table 4).
2). 성문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으로 1명은 국소 재발없이 뼈, 간으로 전신전이가 되어 33개월 후 사망하였고 다른 1명은 방사선치료 후 14개월에 성문하부에 재발하여 전후두적출술을 시행받고 58개월에 폐로 전이되어 71개월에 사망하였다(Table 4). 성문암이 아닌 원인으로 사망한 9명은 성문 암의 재발이나 전이없이 다른 질환으로 평균 73개월 후 사망하였다.
성문암이 아닌 원인으로 사망한 9명은 성문 암의 재발이나 전이없이 다른 질환으로 평균 73개월 후 사망하였다. 다른 질환 중 4명은 암으로 사망하였는데 성문 암은 모두 완치 되었으며 각각 76, 180, 75, 75개월에 폐암, 식도암, 위암, 기도암으로 사망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심각한 만기 합병증은 없었다(Table 5).
방사선치료 후 심각한 만기 합병증은 없었다(Table 5). 전체적으로 62명(88.5%) 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Fig. 3).
5,9∼12) 구제수술 후 국소제어율은 90∼95%로 보고된다. 5)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 후 5년 무병생존율이 T1기에 84.3%, T2기에 83.3%로 T1기보다 T2기의 5년무병생존율이 다른 연구와 비교할 때 다소 나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T1기는 93.
치료기간은 두경부종양의 방사선치료에서 국소제어와 중요한 관계가 있으며 치료기간이 길어지면 종양의 재증식을 야기하므로 국소제어율이 낮아질 수 있다.4) 분할선량은 치료기간 과도 관계가 있으나 전통적인 주 5회 방사선치료를 할 때는 1.8 Gy보다 2 Gy가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17,18)
본 연구에서는 분할선량과 치료기간이 국소제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1 병기는 거의 림프절전이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T2 병기는 성대마비가 있을 때는 예방적 림프절방사선치료를 권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후 70명 중 4 명(5.7%)에서 폐암, 식도암, 위암, 기도암이 생겨 사망하였다. 초기성문암의 추적 관찰 시에는 이러한 이차암의 가능성이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5) 중증도의 성문암이나 성문상부암에서 반지연골(cricoid cartilage)과 모뿔연골(arytenoid cartilage)을 신경혈관과 함께 보존하여 제거하고 설저부에 남은 성문부위를 연결하는 종양수술을 하는 경우에 음성보존이 가능하다.5) 본 연구에서는 음성보존이 88.
후속연구
5) 중증도의 성문암이나 성문상부암에서 반지연골(cricoid cartilage)과 모뿔연골(arytenoid cartilage)을 신경혈관과 함께 보존하여 제거하고 설저부에 남은 성문부위를 연결하는 종양수술을 하는 경우에 음성보존이 가능하다.5) 본 연구에서는 음성보존이 88.5%에서 가능하였으나 방사선치료 전후에 음성의 질에 대해서 평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음성의 질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우수한 장기생존율과 음성보존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성문암의 치료의 목적은?
초기 성문암의 치료는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며 최상의 국소제어율이나 생존율을 이루고 또한 음성보존을 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1∼3) 치료의 선택은 아직 논란 중이며 병의 위치와 병기, 환자의 전신상태, 의사의 철학, 환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다르다.
성문암의 수술적 치료 시 음성보존율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음성보존율은 수술의 경우에는 부분후두절제술에서 제거된 조직의 양에 따라 음성의 질이 달라지며 레이저로 치료받은 환자와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음성보존의 정도가 비슷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5) 중증도의 성문암이나 성문상부암에서 반지연골(cricoid cartilage)과 모뿔연골(arytenoid cartilage)을 신경혈관과 함께 보존하여 제거하고 설저부에 남은 성문부위를 연결하는 종양수술을 하는 경우에 음성보존이 가능하다.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후 재발할 경우에는 어떤 수술을 권하는가?
4) 초기 성문암의 치료에서 Mendenhall 등은 매우 적은 성문암의 경우에는 레이저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그 외의 초기 성문암은 방사선치료를 권하고 부분성문적출술은 부작용과 비용을 고려할 때 재발암에서 시행하기를 권하였다.5∼7) 수술은 방사선치료 후 재발하는 경우에 구제수술로 전후두적출술이나 부분후두적출술을 권한다. 6,7)
참고문헌 (19)
Mendenhall WM, Parsons JT, Million RR, et al. T1-T2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relationship of dose-fractionation factors to loc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8;15:1267-1273
Spector JG, Sessions DG, Chao KS, et al. Management of stage II (T2N0M0) glottic carcinoma by radiotherapy and conservation surgery. Head Neck 1999;1:116-123
Steiner W. Results of curative laser microsurgery of laryngeal carcinomas. Am J Otolaryngol 1993;14:116-121
Mendenhall WM, Hinnerman RW, Amdur RJ, Mancuso AA, Villaret DB, Werning JW. Larynx. In: Halperin EC, Perez CA, Brady LW,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5th ed. Philadelphia: JB Lippicott Co. 2008:975-995
Mendenhall WM, Werning JW, Pfistter DG. Cancer of the Head and Neck. In: Devita VT, Lawrence TS, Rosenberg SA, eds.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8th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 2008:809-813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Larynx. In: Cancer Staging Manual. 6th ed. New York: Springer-Verlag. 2002:47-58
Wang CC. Carcinoma of the larynx. In: Wang CC, ed.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neoplasms.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7:221-255
Le QT, Fu KK, Kroll S, et al. Influence of fraction size, total dose, and overall time on local control of T1-T2 glottic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7;39:115-126
Warde P, O'Sullivan B, Bristow RG, et al. T1-T2 glottic cancer managed by external beam radiotherapy: the influence of pretreatment hemoglobin on local contro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1:347-353
Garden AS, Forster K, Wong PF, Morrison WH, Schechter NR, Ang KK. Results of radiotherapy for T2N0 glottic carcinoma: does the '2' stand for twice-daily treatmen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3;55:322-328
Fein DA, Mendenhall WM, Parsons JT, et al. T1-T2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treated with radiotherapy: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bles potentially influencing local contro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3;25:605-611
Kim JC, Park IK. Radiotherapy results of stage I glottic cancer.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1998;16;245-250
Sombeck MD, Kalbaugh KJ, Mendenhall WM, et al. Radiotherapy for early vocal cord cancer: a dosimetric analysis of 60Co versus 6 MV photons. Head Neck 1996;18:167-173
Mendenhall WM, Parsons JT, Brant TA, et al. Is elective neck treatment indicated for T2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Radiother Oncol 1989;14:199-20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