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철원지역과 전라남도 동부지역에 서식하는 한국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의 중금속 축적 분석
Heavy Metal Accumulation Analyses of the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in Cheorwon, Gangwon Province and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4, 2009년, pp.363 - 368  

박보현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김백준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는 우리나라의 고유종으로 가장 흔한 종의 하나이다. 이 종은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자연생태계에서 초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라니는 서식지의 질을 모니터링하는데 하나의 좋은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전라남도 동부지역에서 수집된 한국고라니의 서로 다른 3가지 조직(신장, 간, 지라)에서 5가지 중금속(Fe, Cu, Zn, Cd, Pb)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중금속 농도의 분석에 따르면, 철의 농도는 구리, 아연, 카드뮴, 납에 비해 모든 조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중, 지라(286.50)가 신장(39.40)과 간($23.21\;{\mu}g\;g^{-1}$)에 비해 높은 중금속 축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중금속의 농도는 전남 동부지역에 비해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조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카드뮴과 납의 경우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러한 중금속의 농도는 지라의 철을 제외하고는 모두 백그라운드 수준(background level) 내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is an endemic species and one of the common species in Korea. The species range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herbivores in natural ecosystem. Therefore, the species could be used as a good bio-indicator to moni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고라니는 행동 권과 영역의 측면에서 유럽노루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를 위한 적합한 대상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고라니의 장기 조직에서 중금속(Fe, Cu, Zn, Cd, Pb)의 축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이 현무암은 철과 마그네슘(Mg) 등의 광물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민과 진 1999). 둘째, 철원지역에 위치한 군사시설에서의 오염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DMZ와 밀접한 철원지역은 군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형학적 위치에 있어, 이곳에서 사격과 같은 군사 활동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권과 구 1996).
  •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에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첫째, 철원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철원지역은 신생대 제4기에 활발한 화산활동에 의하여 분출된 암석인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용암대지에 위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생물지표의 대상으로 무엇을 이용했는가? 과거에는 생물지표의 대상으로 식물종을 이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동물종을 많이 이용해 오고 있다(Wittig 1993). 국외에서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는 분포범위가 넓고, 행동권이 좁으면서 고유의 영역을 가지는 유럽노루(Capreolus capreolus)를 대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Grodzinska et al.
고라니는 어디에 속하는 종인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초식동물의 하나로 고라니(Hydropotes inermis)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고라니는 소목, 사슴과, 고라니속에 속하는 종으로 전 세계적으로 두 아종만이 분포한다. 중국고라니(H.
한국고라니는 생태계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 한국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는 우리나라의 고유종으로 가장 흔한 종의 하나이다. 이 종은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자연생태계에서 초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라니는 서식지의 질을 모니터링하는데 하나의 좋은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기현, 구자건. 1996. 강원도 폐광지역 개발계획과 환경보전 대책. 환경영향평가. 5:59-70 

  2. 노관규. 2007. 순천시 환경백서. 순천시청 

  3. 민경원, 진호일. 1999. 철원지역 현무암의 암서각적 및 물리적 화학적 특성 연구. 석재연 논문집. 4:255-262 

  4. 성환후, 민관식, 박진기, 박성재, 양병철, 이장형, 장원경. 1999. 한우 황체세포의 Progesterone 및 IGF-I 분비에 대한 비장세포의 역할. 한국동물번식학회지. 23:105-111 

  5. 이상돈. 2003. 금호강에 서식하는 소형포유류의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 21:257-261 

  6. 장종식, 권오덕. 2001. 도축 사슴의 체조직에 카드뮴 함량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임학회지. 24:95-99 

  7. 철원군청. 2008. 2008 강원도 철원군 기본통계. 철원군청 

  8. 최재식, 정위현, 윤기식, 이두표. 1994. 경남지역에 서식하는 수렵조수류의 중금속 축적. 한국임학회지. 83:6-11 

  9. 환경부. 1998. 전국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보고서 2차년도, 환경부 

  10. Arndt U, W Nobel and B Schweizer. 1987. Bioindicatoren: M $\ddot{o}$ glichkeiten, Grenzen und neue Erkenntnisse. Ulmer, Stuttgart 

  11. Cooke A and L Farrell. 1983. Chinese water deer. The British Deer Society 

  12. Dauwe T, E Janssens, B Kempenaers and M Eens. 2004. The effect of heavy metal exposure on egg size, eggshell thickness and the number of spermatozoa in blue tit Parus caerulens eggs. Environ. Pollut. 129:125-129 

  13. Findo S, P Hell, J Farkas, B Mankovska, M Zilinec and M Stanovsky. 1993. Akkumulation von ausgew $\ddot{a}$ hlten Schwermetallen beim Rot-und Rehwild im zentralen Teil der Westkarpaten (Mittelslowakei). Z. Jagdwiss. 39:181-189 

  14. Grodzinska K, W Grodzinski and SI Zeveloff. 1983. Contamination of roe deer forage in a polluted forest of southern Poland. Environ. Pollut. 30:257-274 

  15. Hegstrom LJ and SD West. 1989. Heavy metal accumulation in small mammals following sewage sludge application to forest. J. Environ. Qual. 18:345-349 

  16. Hilton-Taylor C. 2000. 200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World Conservation Union, Gland, Switzerland 

  17. Honda K, BY Min and R Tatsukawa. 1986. Organ and tissu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nd age-related changes in the eastern great white egret, Egretta alba modesta, in Korea.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5:185-197 

  18. Janssen DL, T Dauwe, R Pinxten, L Bervoets, R Blust and M Eens. 2003. Effects of heavy metal exposure on the condition and health of nestling of the great tit (Parus major), a small songbirds species. Environ. Pollut. 126:267-274 

  19. J $\ddot{a}$ rup L. 2003. Hazard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ritish Medical Bulletin. Br. Med. Bull. 68:167-182 

  20. Kim J, H Lee and TH Koo. 2007. Heavy-matal concentrations in three owl species from Korea. Ecotoxicology 17:21-28 

  21. Laskey JW, GL Rehnberg, SC Laws and JF Hein. 1984. Reproductive effects of low acute doses of cadmium chloride adult male rats. Toxicol. Appl. Pharmacol. 73:250-255 

  22. Pokorny B. 2000.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as an accumulative bioindicator of heavy metals in Slovenia. Web Ecol. 1:54-62 

  23. Tataruch F. 1991. Freilebende Wildtiere als Bioindikatoren der Schwermetallkontamination. VDI Berichte 901:925-936 

  24. Wang S. 1998. China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nimals (Mammal Volume). Science Press, Bejking (in Chinese) 

  25. Webb M and AT Etienne. 1976. Studies on the toxicity and metabolism of cadmium thionein. Biochem. Pharmacol. 26:25 

  26. Wittig R. 1993. General aspects of biomonitoring heavy metals by plants. pp.3-27. In Plants as biomonitors: indicators for heavy metal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Markert B (ed.). VCH, Weinheim 

  27. Won CM and KG Smith. 1999.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mammals of the Korean peninsula. Mamm. Rev. 29:3-36 

  28. Wren CD. 1986. Mammals as biological monitors of environmental metal levels. Environ. Monit. Assess. 6:127-1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