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학생을 위한 말소리 산출 도구 프로그램 구현
Development of Speech Generation Device Program for Student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12, 2009년, pp.448 - 458  

고진복 (대전성세재활학교) ,  전병운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문자를 해득한 뇌성마비 학생들의 언어능력에 적절한 의사소통 도구를 구현할 목적으로 말소리 산출 도구(speech generation device: SGD)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SGD 프로그램은 학습 도구로써의 기능과 의사표현을 위한 수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의 AAC 도구 사용 목적과 적용이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고유한 기능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과는 차별화된다. 또한, SGD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뇌성마비 학생의 언어 능력을 측정해 볼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언어지도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콘텐츠를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기존의 관련 소프트웨어와 비교해 볼 때, 이 연구에서 구현된 SGD는 인위적 스크립트 상황이 아닌 실제 교수 학습 상황에서 SGD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를 활용하여 보완 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을 사용하는 뇌성마비 학생들에게 총체적 언어 지도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ed speech generation device(SGD) program to materialize the proper communication aids which address to language abilities by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in the stage of word recognition achievement. This SGD program aim at function of learning mediation and communication exp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을 완료한 후, 개발된 SGD가 뇌성마비 학생의 AAC 중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한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검토를 위해 지체장애학교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에게 SGD 개발의 목적과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직접 SGD를 사용해 보도록 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AC 도구가 다양한 외국에서는 AAC를 사용하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SGD 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연구들은 말소리 산출 도구의 활용이 AAC를 사용 하는 학생들의 메시지 길이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의사소통 촉진자 및 낯선 사람들에 대한 반응의 변화, 말소리 산출 도구와 다른 AAC 도구들 간의 비교와 같은 변인을 중심으로 SGD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SGD를 활용한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여 뇌성마비 학생들이 말하기·듣기· 쓰기·읽기와 같은 언어활동에 활용이 가능하며, 그 사용내역을 분석할 수 있는 SGD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문자를 해득한 뇌성마비 학생들의 언어능력에 적절한 의사소통 도구를 제공할 목적으로 SGD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SGD 관련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SGD 프로그램 개발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자를 해득한 뇌성마비 학생들에게는 어떤 중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가? 이러한 방법은 주로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거나 문자를 해득하지 못한 장애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1]. 그러나 문자를 해득한 뇌성마비 학생들에게는 그림상징이나 기능적 의사소통, 스크립트 중심의 중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들은 이미 그림상징이나 기능적인 방법으로 의사표현 하는 것 이상의 내적언어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AAC 중재에서는 별도의 스크립트를 구성하여 지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 이유는? 그러나 그동안 AAC 도구는 언어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기기로써의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즉, 학습 자료의 제시와 학습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AAC 중재에서는 별도의 스크립트를 구성하여 지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AAC 도구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였는가? 음성언어기술과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달로 AAC 도구들의 비약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그러나 그동안 AAC 도구는 언어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기기로써의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즉, 학습 자료의 제시와 학습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전병운, 고진복, "KIDS VIO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1권, 제3호, pp.145-163, 2006. 

  2. R. W. Schlosser, Efficacy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owards evidence-based practice, Academic Press, 2003. 

  3. P. Mirenda, "Toward function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Topic in Language Disorders, Vol.34, No.3, pp.203-216, 2003. 

  4. D. R. Beukelman and P. Mirenda,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2005. 

  5. J. C. Light and J. Kent-Walsh, "Fostering emergent literacy for children who require AAC," The AHSA Leader, Vol.8, No.10, pp.4-29, 2003. 

  6. A. Beck, K. Kingsbury, A. Neff, and M. Dennis, "Influence of length of augmented message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s peers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16, No.4, pp.239-249, 2000. 

  7. J. L. Bedrosian, L. Hoag, S. Calculator, and B. Molineux, "Variables influencing perceptions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n adul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user," J. of Speech and Heating Research, Vol.35, No.5, pp.1105-1113, 1992. 

  8. L. Hoag and J. Bedrosian, "The effect of speech output type, message length, and reauditorization on perception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n adult AAC user," J.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5, No.6, pp.1363-1366, 1992. 

  9. C. W. Gorenflo, D. W. Gorenflo, and S. A. Santer, "Effects of synthetic voice output on attitudes toward the augmented communicator," J.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7, No.1, pp.64-68, 1994. 

  10. M. Lilienfeld and E. Alant, "Attitudes of children toward an unfamiliar peer using an AAC device with and without voice outpu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18, No.2, pp.91-101, 2002. 

  11. D. M. Blischak, "Increases in natural speech production following experience with synthetic speech," J.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Vol.14, No.2, 44-53, 1999. 

  12. L. S. Doss, P. A. Locke, S. S. Johnston, J. Reichle, J. Sigafoos, and P. J. Charpentier, "Initi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a variety of AAC systems for order meals in fast food restaurant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7, No.4, pp.256-265, 1991. 

  13. T. Iacono, P. Mirenda, and D. R. Beukelman, "Comparison of unimodal and multimodal AAC techniqu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9, No.2, pp.83-94, 1993. 

  14. T. Iacono and J. E. Duncum, "Comparison of sig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early language intervention: Case stud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11, No.4, pp.149-259, 1995. 

  15. V. M. Dur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assistive devices: Effects on challenging behavior and affec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9, No.3, pp.168-176, 1993. 

  16. V. M. Dur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assistive devices: Recruiting natural communities of reinforcement," J.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Vol.32, No.3, pp.247-267, 1999. 

  17. R. H. Horner and H. M. Day, "The effects of response efficiency on functionally equivalent competing behaviors," J.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Vol.24, No.4, pp.719-732, 1991. 

  18. R. H. Horner, J. R. Sprague, M. O'Brien, and L. Heathfield, "The role of response efficiency i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through functional equivalence training: A case study," J.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Vol.15, No.2 pp.91-97, 1990. 

  19. S. Cataldo and N. Ellis,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spelling, reading, and phonological skills," J. of Research in Reading, Vol.11, No.2, pp.86-109, 1988. 

  20. K. Borgh and W. P. Dickson, "The effects on children's writing of adding speech synthesis to a word processor," J. of Research on Computing in Education, Vol.24, No.4, pp.533-544, 1992. 

  21. R. B. Lewis, A. W. Graves, T. M. Ashton, and C. L. Kieley, "Word processing too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strategies to increase text entry speed," Learning Disabilities Practice, Vol.13, No.2, pp.95-10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