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여성의 성격유형이 건강통제행동 및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dult Female's Personality Type on Health Control Behavior and Obesity Stres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4, 2009년, pp.358 - 365  

한인경 (신구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을 알아보고 건강통제행동 및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인천지역 소재 여성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BMI (체질량 지수)를 살펴보면 저체중 30명 (11.7%), 정상체중 170명 (66.1%), 과체중 33명 (12.8%), 비만 24명 (9.4%)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정상체중 범위가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통제행동 및 비만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관련 통제행동, 비만스트레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05),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에 비해 과체중이나 비만의 경우 식생활관련 통제행동이 강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만스트레스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성인여성의 성격유형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증, 개방성)이 건강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대해서 성실하게 철저하게 이행하며, 성취욕구가 강하고, 항상 어떤 일을 해내고자 하는 성실한 성향이 강하고 새로운 것에 개방적이고, 지적으로 민감한 특성을 지니는 개방적 성향이 강할수록 건강이나 식생활을 통한 통제행동이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못하고, 자신의 충동을 잘 조절하지 못하며,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신경증 성향이 강할수록 건강이나 식생활을 통한 통제행동은 약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성인여성의 성격유형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증, 개방성)이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못하고, 자신의 충동을 잘 조절하지 못하며,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신경증 성향이 강할수록 비만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타인을 신뢰하고 관심을 가지며, 솔직하고 순응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친화적 성향이 강할수록 비만스트레스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건강통제행동은 성격유형 중 내적 성향이 강한 성인여성이 비만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주관적 규범지각된 행동통제로 이어져 이는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 할수록 자신의 충동을 잘 조절하지 못해 스트레스 관리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performed for investigation with 257 female adult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control behavior and obesity stress by personality type. First of all, BMIs of the respondents showed 30 low weight (11.7%), 170 normal weight (66.1%), 33 overweight (12.8%) and 24 obese resp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건강통제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왜곡된 체형 인식과 객관적으로 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비만이라 판단하여 비만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여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건강통제행동 및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체형 인식과 잘못된 체중조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성격 유형에 따른 건강통제행동과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을 유지 · 증진하는데 있어 이들의 개별 특성에 맞는 보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 즉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성격 유형에 따른 건강통제행동과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을 유지 · 증진하는데 있어 이들의 개별 특성에 맞는 보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도와 사망률의 연관성은? 비만은 그 자체로도 질병이지만 각종 성인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사망률도 상승하므로 비만의 예방과 치료는 건강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4) 현재 성인여성들의 과체중 및 비만은 지나치게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현상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자기 체형보다 더 낮은 기준치를 선호하고 있다.
비만은 무엇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가? 비만은 그 자체로도 질병이지만 각종 성인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사망률도 상승하므로 비만의 예방과 치료는 건강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4) 현재 성인여성들의 과체중 및 비만은 지나치게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현상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자기 체형보다 더 낮은 기준치를 선호하고 있다.
과학적인 프로그램으로 철저하게 계획하고 실천하는 올바른 체중 조절을 위한 건강통제행동과 비만스트레스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은 그 자체로도 질병이지만 각종 성인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사망률도 상승하므로 비만의 예방과 치료는 건강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4) 현재 성인여성들의 과체중 및 비만은 지나치게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현상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자기 체형보다 더 낮은 기준치를 선호하고 있다.5)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킬뿐 만 아니라 체중조절을 위한 단식법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거나 식사량을 극도로 줄여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기도 하다.2,3) 따라서 과학적인 프로그램으로 철저하게 계획하고 실천하는 올바른 체중조절을 위한 건강통제행동과 비만스트레스관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OS. BMI, Body Attitude and Dieting Among College Women.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2002; 14(2): 257-264 

  2. Kim YH. The Factors the Fat Distribution Related in the Abdomen of Obese Women [M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3. Kim HJ. The effect of Meridian massage and Endermologie on the abdominal obesity [M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05 

  4. Lim MJ. Effects of 8 week-exercise on Fat Distribution, Cardiovascular Fitness, Lipid profiles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Elderly Obese Women. J Korean Soc Study Obes 2000; 9(4): 237-245 

  5. Lee JO. Behavior and Factor Analysis on Women’s Bodyfat management [M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4 

  6. Park SY, Kang YJ, Shin YK, Moon SI, Lee HR. Weight control behaviors of obese adolesc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0; 21(2): 254-264 

  7. Jeong SG.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 Promot 2001; 18(3): 163-175 

  8.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Charles B. Slack Inc.; 1974 

  9. Trotta P. Breast self-examination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ncol Nurs Forum 1980; 7: 13-17 

  10. Champion VL. The relationship of breast self examination to health belief model variable. Res Nurs Health 1987; 10(6): 375- 382 

  11. Bae SS. Disease prevention and medical treatment use act and attitude. Korean Soc Prev Med Spring Scientific Conference; 1993. p.51-87 

  12. Kang YJ, Hong CH, Hong YJ.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1997; 30(7): 832-839 

  13. Lee SH, Cho HS.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Behavior of Urban Residents on the Basis of Theory of Reasoned Action. J Korean Prev Med 1999; 30(3): 537-548 

  14. Lierman LM, Kasprzyyk D, Young H, Powell-cope G. Analysis of theoretical models. Paper presented at the Western Society for Research in Nursing Conference, San Diego; 1989 

  15.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 Behav Hum Decis Process 1991; 50: 179-211 

  16. Ji YO. A Study of planned behavior verification researches for the prohibition of smoking act prediction of the army smoker [D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3 

  17. Ajzen I, Madden TJ. Predici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 Exp Soc Psychol 1986; 22: 453-474 

  18. Schifter D, Ajzen I. Intention, perceived control and weight los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ed behavior. J Personality Soc Psychol 1985; 49(3): 843-851 

  19. Heon HJ. A Study on the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and it's Determinants. J Korean Soc School Health 1998; 9(1): 117-127 

  20. Lee MR. Motion intentional of the middle-aged woman who applies the act theory which is planned and kinetic prediction model. J Korean Acad Nurs 2000; 30(3): 537-548 

  21. Yu HR. A Study with sobriety act intention of part college student relation factor investigatio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0; 11(2): 347-357 

  22. Wallston KA, Wallston BS, De Vellis R.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CL) scales. Health Educ Monographs 1978; 6: 160-170 

  23. Moon SY, Kim SJ, Kim SY. Health Locus of Control and Eating Behavior of Obese High School Girls. J Nurs Acad Soc 2001; 31(1): 43-54 

  24. Costa PT Jr, McCrae RR. NEP-PI-R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25. Min BM, Lee KI, Jeong JC. NEO-PI-R. PSI Consulting; 1997 

  26. Yu TY, Kim DY. Exploratory study on the underlying factor structure of the contextual performnace in Korean work organizations. Digital Business Studies 2002; 8: 61-91 

  27. Kim MS, Kim HJ. A Study for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19(2): 127-135 

  28. Jeon YS. Influenc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Management on Obesity Stressin College Women [MS Thesis], Seoul:Sungshin Woman’s University; 2006 

  29. Pender NJ, Pender AR.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s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 Res 1986; 35(1): 15-18 

  30. Gormanous G, Lowe W. Locus of Control and Obesity. Psychol Rep 1975; 37: 30 

  31. Tobias L, MacDonald M.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weight loss: and insufficient condi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7; 45 (4): 647-653 

  32. Gierszewski SA. The relationship of weight loss,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Nurs Res 1983; 32(1): 43-47 

  33. Goldney RD, Cameron E. Locus of control as a predictor of attendance and success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Int J Obes 1981; 5: 39-43 

  34. Jeffrey DB.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xternal control and self-control on the modification and maintence of weight. J Abnorm Psychol 1974; 83(4): 404-410 

  35. Kincey JA. Compliance with a behavioural weight-loss programme: Target setting and locus of control. Behav Res & Ther 1983; 21(2): 109-114 

  36. Saltzer EB. The Weight Locus of Control (WLOC) Scale: A specific measure for obesity research. J Pers Assess 1982; 46: 110-115 

  37. Cash TF, Begley PJ. Internal-external control, achievement orientation, and physical attractiveness among college students. Psychol Rep 1976; 38: 1205-1206 

  38. Mills J. Differences in locus of control between obese adult and adolescent females undergoing weight reduction. J Psychol 1991; 125(2): 195-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