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구척의 지표성분 탐색 및 HPLC 분석
HPLC Analysis and Screening of Standard Compound on Cibotii Rhizoma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1 = no.160, 2010년, pp.48 - 53  

차배천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이은희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SB-5 preparation is a purified extract from a mixture of 6 medicinal plants(Acanthopanacis Cortex, Achyranthis Radix, Saposhnikoviae Radix, Cibotii Rhizoma, Glycine Semen Nigra, Eucommiae Cortex) that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one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11) 또한 GCSB-5에 대해 보다 완전한 품질 관리를 위해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2 종의 생약인 방풍과 구척 가운데 먼저 방풍에 대해서도 지표 성분의 설정과 함께 방풍류와 GCSB-5 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을 보고 하였다.12) 본 연구에서는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나머지 생약인 구척에 대하여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구척으로부터 지표 성분의 선정과 함께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 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척으로부터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구척 특이의 성분 또는 주성분을 단리한 후 기기 분석 등의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한 구조 결정 연구를 통하여 구척의 지표 성분을 탐색하였다.
  •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등의 골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천연물신약 GCSB-5의 품질 표준화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6종의 구성 생약 중 지표 성분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구척에 대하여 지표 물질의 선정, HPLC 분석법 개발 및 validation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표 성분이 알려져 있지 않은 구척에 있어서 GCSB-5에 포함된 다른 생약들과 구별되는 지표 성분의 설정을 위해 구척으로부터 주성분의 추출, 분리 정제 및 구조 확인에 의해 onitin-4-O-β-Dglucopyranoside를 지표 성분으로 선정하였다.
  • 계속하여 설정된 지표 성분에 대하여 구척 원생약류와 GCSB-5 원료와 GCSB-5에 있어서의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하여 확보된 구척의 지표 성분이 구척류에 적용 가능한 지표 성분 및 HPLC 분석법인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확립된 HPLC 분석법의 검증을 위해서는 ICH 가이드라인에13) 따라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 등을 고려한 validation을 수행하였으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오가피, 우슬, 방풍, 구척, 흑두 및 두충의 6종 생약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제 GCSB-5는 추나약물(양근탕, 청파전 등 자생한방병원 고유 처방)을 바탕으로 하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감소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천연물신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는 GCSB-5의 약효와 안전성 확립을 위한 품질 규격화 연구의 하나로, 6 가지 생약 중 지표 성분이 알려져 있지 않은 구척에 대하여 지표 성분의 분리와 구조 결정,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 연구를 수행하였다.
  • 1)이와 같이 다수의 생약으로 혼합된 생약복합제들은 천연물신약으로서의 약효의 유효성과 제품의 안전성 확립을 위해서는 함유된 생약들에 대한 품질 규격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GCSB-5에 함유된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 있는 오가피,2,3) 우슬,4,5) 흑두6,7) 및 두충8,9)에 대해서는 생약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 이들 지표 성분에 대하여 GCSB-5 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HPLC 분석법 및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10,11) 또한 GCSB-5에 대해 보다 완전한 품질 관리를 위해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2 종의 생약인 방풍과 구척 가운데 먼저 방풍에 대해서도 지표 성분의 설정과 함께 방풍류와 GCSB-5 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을 보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로부터 추나약물은 무슨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가? GCSB-5는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우슬(Achyranthis Radix, Achyranthes bidentata Blume), 방풍(Saposhnikoviae Radix,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 구척(Cibotii Rhizoma, Cibotium barometz J. Smith), 흑두(Glycine Semen Nigra, Glycine max Merrill) 및 두충(Eucommiae Cortex,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제로서 예로부터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등의 각종 골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추나약물(양근탕, 청파전 등 자생한방병원 고유 처방)을 바탕으로 하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감소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천연물신약이다.1)이와 같이 다수의 생약으로 혼합된 생약복합제들은 천연물신약으로서의 약효의 유효성과 제품의 안전성 확립을 위해서는 함유된 생약들에 대한 품질 규격화 연구가 필요하다.
GCSB-5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GCSB-5는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우슬(Achyranthis Radix, Achyranthes bidentata Blume), 방풍(Saposhnikoviae Radix,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 구척(Cibotii Rhizoma, Cibotium barometz J. Smith), 흑두(Glycine Semen Nigra, Glycine max Merrill) 및 두충(Eucommiae Cortex,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제로서 예로부터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등의 각종 골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추나약물(양근탕, 청파전 등 자생한방병원 고유 처방)을 바탕으로 하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감소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천연물신약이다.1)이와 같이 다수의 생약으로 혼합된 생약복합제들은 천연물신약으로서의 약효의 유효성과 제품의 안전성 확립을 위해서는 함유된 생약들에 대한 품질 규격화 연구가 필요하다.
구척에 포함된 성분은 무엇인가? 15,16) 또한 중약대사전의 기록에 의하면 구척은 진통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7) 성분으로는 triterpene 성분인 woodwardinic acid, 아스파라긴산, 탄닌 등18)과 onitin, onitin-4-O-β-D-glucopyranoside, pterosin R(4-deoxy-4- chloro-onitin)19)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onitin은 평활근 이완 작용20)과 간보호 및 free radical 소거 효과14)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척에 대하여 GCSB-5에 함유되어 있는 다른 생약의 성분들과 구별할 수 있는 지표 성분의 분리와 NMR 등의 기기 분석 실험에 의한 지표 성분의 구조 결정 및 구척류 생약과 GCSB-5 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지표 성분의 HPLC 분석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C. H., Kim, S. H., Lee, J. S., Cho, K. H., Kim, J. S., Cho, S. H. and Lee, S. M. (2005) Evaluation of the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GCSB-5, a herbal formulation. Kor. J. Pharmacogn. 36: 299-304. 

  2. Lee, S. H., Kang, S. S., Cho, S. H., Ryu, S. N. and Lee, B. J. (2005)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 B and E in various parts of Acanthopanax species. Kor. J. Pharmacogn. 36: 70-74. 

  3. Hong, S. S., Hwang, J. S., Lee, S. A., Hwang, B. Y., Ha, K. W., Ze, K. R., Seung, R. K., Ro, J. S. and Lee, K. 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side D from Acanthopanacis Cortex. Kor. J. Pharmacogn. 32: 316-321. 

  4. Shi, Q., Yan, S., Liang, M., Yang, Y., Wang, Y. and Zhang, W. (2007)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ight components in Radix Tinospor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or and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43: 994-999. 

  5. Son, K. H., Hwang, J. H., Lee, S. H., Park, J. H., Kang, S. J., Chang, S. Y. and Lee, K. S. (1999)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20-hydroxyecdysone from Achyranthis Radix. Kor. J. Pharmacogn. 30: 335-339. 

  6. Kim, K. S., Kim, M. J., Park, J. S., Sohn, H. S. and Kwon, D. Y. (2003) Composition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2: 157-160. 

  7. Fukutake, M., Takahashi, M., Ishida, K., Kawamura, H., Sugimura, T. and Wakabayashi, K. (1996) Quantification of genistein and genistin in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Food Chem. Toxicol. 34: 457-461. 

  8. Ran, X., Liang, Q., Luo, G., Liu, Q., Pan, Y., Wang, B. and Pang, C. (2006)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eniposide, baicalin, cholic acid and hyodeoxycholic acid in rat serum for the pharmacokinetic investigatio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B. 842: 22-27. 

  9. Son, K. H., Lee, J. M., Chang, S. Y. and Lee, K. 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eniposide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Kor. J. Pharmacogn. 32: 89-92. 

  10. Lee, E. H. and Cha, B. C. (2009) Quantitative analysis of Glycine Semen Nigra and Eucommiae Corte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Kor. J. Pharmacogn. 40: 18-24. 

  11. Lee, E. H. and Cha, B. C. (2008)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Kor. J. Pharmacogn. 39: 316-323. 

  12. Cha, B. C. and Lee, E. H. (2009) HPLC analysis and screening of standard compound on Saposhnikoviae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Kor. J. Pharmacogn. 40: 103-108. 

  13. 의약품평가부 (2004) 의약품 등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가이드라인. 식품의약 품안전청, 5-12. 

  14. Oh, H. C., Kim, D. H., Cho, J. H. and Kim, Y. C. (2004)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petrosins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Equisetum arvense. J. Ethnopharmacol. 95: 421-424. 

  15. 안덕균 (1998) 원색 한국본초도감, 724. (주)교학사, 서울. 

  16.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1998) 한의학대사전, 178. 도서출판 정담, 서울. 

  17.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9) 중약대사전, 477. 도서출판 정담, 서울. 

  18. Namba, T. (1993)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with Color Pictures(I), 86. Hoikusha Pub. Co., Osaka, Japan. 

  19. Murakami, T., Satake, T., Ninomiya, K., Iida, H., Yamauchi, K., Tanaka, N., Saiki, Y. and Chen, C. M. (1980) Pterosinderivate aus der Famile Pteridaceae. Phytochemistry 19: 1743-1746. 

  20. Ho, S. T., Yang, M. S., Wu, T. S. and Wang, C. H. (1985) Studies on the Taiwan folk medicine III. A smooth muscle relaxant from Onychium siliculosum, onitin. Planta Med. 51: 148-150. 

  21. Kim, S. T., Han, Y. N., Son, Y. K., Jang, H. S., Kim, S. J. and Shin, J. S. (2002) Isolation of efficacy constituent for neuronal regeneration from Cibotium barometz. Yakhak Hoeji 46: 398-404. 

  22. Satake, T., Murakami, T., Saiki, Y., Chen, C. M. and Gomez, P. L. D. (1984) 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studies on filices LI. Chemical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osta rican Ferns. Chem. Pharm. Bull. 32: 4620-4624. 

  23. Wada, H., Gaino, M. and Saito, S. (1974) Furochromones of Eranthis Pinnatifida. Phytochemistry 13: 297-299. 

  24. Banerji, A., Ramakrishnan, G. and Chadha, M. S. (1974) Onitin and onitisin, new phenolic pterosins from fern Onychium auratum. Tetrahedron Lett. 15: 1369-1370. 

  25. Wu, Q. and Yang, X. W. (2009) The constituents of Cibotium barometz and their permeability in the human Caco-2 monolayer cell model. J. Ethnopharmacol. 125: 417-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