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중서부 서해안 대호 간척지의 식생 분포와 토양 염농도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oil Salinity on Daeho Reclaimed Tidal Land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2 no.6, 2009년, pp.447 - 453  

김은규 (죽전고등학교) ,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주영규 (연세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정형근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  천소을 (연세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이승헌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간척 후 교란이 없는 대호 간척지의 식생보전지구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출현 식물 종을 분류하고, 집락 유형별로 토양 염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식생도를 작성하였다. 대호 간척지의 식물 종은 주기적인 침수가 이루어지는 갯벌 및 초기 간척지에 비해 매우 다양하였다. 출현한 식물 집락은 단일 종으로 이루어진 순수 집락과 여러 종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생 집락으로 구분되었다. 식물 집락별 출현지의 토양 염농도에 근거할 때 퉁퉁마디, 해홍나물 및 나문재의 단일 집락은 토양 염농도가 31.05 dS/m 정도인 곳에, 이들의 혼생 집락은 42.75 dS/m에 출현하여 내염성이 강하였고, 사데풀, 갯개미취, 새섬매자기 등의 단일집락은 11.73 dS/m 인 곳에, 이들의 혼생집락은 9.43 dS/m 정도인 곳에 출현하여 저염생식물군의 특성을 보였고, 띠, 레드클로버, 억새, 강아지풀 및 잠자리피의 단일집락은 2.42 dS/m 정도인 곳에 분포하여 내염성이 약한 중성식물군의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식물 집락의 분포는 토양 염농도의 영향을 받고 있어,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는 식물 집락 분포의 제한요소로 작용함을 보였다. 이 결과는 토양 염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식물 종과 식물 집락의 분포 양상이 간척지 토양의 탈염화 지표로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oil salinity were surveyed on the conservation plot in the Daeho reclaimed tidal land, in where the plants species distribution was more various than a periodically inundated tidal flat and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According to the soil salinity where the vege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호 간척지 한국농촌공사의 식생보전지구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출현 식물 종을 분류하고, 집락 유형별로 토양 염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식생도를 작성하였다.
  • 따라서 공간을 달리하여 출현하는 식물 종은 간척지토양의 변화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에 식생의 분포 양상과 토양 염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간척 후 토양 염농도의 상태와 이에 반응하는 식물상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출현 식물 종을 분류하고 (2)구분되는 식물 집락별로 토양염농도를 측정하고 (3)식물 집락의 경계를 근거로 식생도를 작성 하여, 식생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mstrong, A. C. 1986. On the fractal dimension of some transient soil properties. Soil. Sci. Soc. Am. J. 37: 641-652 

  2. Bertness, M. D. 1991a. Interspecific interactions among high marsh perennials in a New England salt marsh. Ecol. 72: 125-137 

  3. Bertness, M. D. 1991b. Zonation of Spartina patens and Spartina alterniflora in a New England salt marsh. Ecol. 72: 138-148 

  4. Burrough, P. A. 1983a. Multiscale sources of spatial variation in soil: I. The application of fractal concepts to nested levels of soil variation. Soil. Sci. Soc. Am. J. 34: 577-597 

  5. Burrough, P. A. 1983b. Multiscale sources of spatial variation in soil: Ⅱ. A non-Brownian fractal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soil.Soil. Sci. Soc. Am. J. 34: 599-620 

  6. Culberson, S. D. 2001. The interaction of physic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producing vegetation zonation in tidal mashes of the San Francisco Bay Estuary, California, USA.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California, Ecology 

  7. Eghabll, B., L. N. Mielke, G. A. Calvo, and W. W. Wilhelm. 1993. Fractal description of soil fragmentation for various tillage methods and crop sequences. Soil. Sci. Soc. Am. J. 57: 1337-1341 

  8. Flowers, T. J., P. F. Troke, and A. R. Yeo. 1977. The mechanism of salt tolerance in halophytes. Ann. Rev. of Pla. Physi. and Pla.Mole. Bio. 28: 89-121 

  9. Ihm, B. S. 2001. Distribution of halophyte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Nature Conservation 116: 9-14 

  10. Jung, Y. S., W. H. Lee, J. H. Joo, I. H. Yu, W. S. Shin, Y. Ahn, and S. H. Yoo. 2003. Use of electromagnetic inductance for salinity measurement in reclaimed saline land. Korean J. Soil Sci. Fert. 36(2): 57-65 

  11. Kang, B. H., and S. I. Shim. 1998. Screening of tolerant plants and development of biological monitoring technique for saline stress.I. Survey of vegetation in saline region and determination of saline tolerance of the plant species of the region. Korean J.Environ. Agri. 17(1): 26-33 

  12. Kim, C. S. 1983. Distribution of halophyte community. Nature conservation 41: 31-36 

  13. Kim, C, S., and T. G. Song.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IV). Korean J. Ecol. 6(3): 167-176 

  14. Kim, D. Y. and J. S. Lee.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y of the coast.Ⅱ. On the reclaimed tidal flat land of Naichodo Ri. p. 399-407. Gunsan National University 

  15. Kim, E. K., Chun, S, Joo, Y. K., Jung, Y. S., and Jung, H. G. 2008. Soil Salinity and Continuum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the Thre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1(2): 83-93 

  16. Kravchenko, A. N., C. W. Boast, and D. G. Bullock. 1999. Multifractal analysis of soil spatial variability. Agro. J. 91: 1033-1041 

  17. Lee, J. S. 198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salt marsh of the Mankyung River Estuary. Korean J. Environ. Bio. 6(1): 1-10 

  18. Lee, S. H, Y. An, S. H. Yoo, and S. M. Lee. 2000. 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Korean J. Environ. Agri. 19(4): 364-369 

  19. Lee, S. H, Ji, K. J, An Y, Ro, H. M. 2003.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Areas Korean J. Environ. Agri. 22(2): 79-86 

  20. Lee, T. B. 1999. Illustrated Flore of Korea. Hayng-Moon Publishing Co., Seoul 

  21. Lee, Y. N. 2002.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Seoul 

  22. Min, B. M. and J. H. Kim. 1997. Soil texture and desalination after land reclam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20(2): 133-143 

  23. Noordwijk-Puijk, K. V., W. G. Beeftink, and P. Hogeweg. 1979. Vegetation development on salt-marsh flats after disappearance of the tidal factor. Vegetatio 39: 1-13 

  24. Park, S. H. 2001. Foreign Naturalized plant of Korea. Dae-Won Publishing Co., Seoul 

  25. Park, S. 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Co., Seoul 

  26. Sanderson, E. W., S. L. Ustin, and T. C. Foin. 2000. The influence of tidal channels on the distribution of salt marsh plant species in Petaluma Marsh, CA, USA. Plant Ecol. 146: 29-41 

  27. SAS. 2000. The SAS system for Windows. SAS Institute, USA 

  28. Sheldrick, B. H. and C. Wang. 1993. Particle Size Distribution. p.499-511. In Carter, M. R. ed.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Lewis Publishers, London 

  29. Tran, T. S. and R. R. Simard. 1993. Mehlich III-Extractable Elements. p. 43-49. In Carter, M. R. ed.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Lewis Publishers, London 

  30. US Salinity Laboratory Staff. 1954.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USDA Handbook No. 60 

  31. USDA-ARS George E. Brown, Jr. Salinity Lab. 1999. Halophyte database salt-tolerance plants and their uses. USDA ARS by N.P.Yensen http://www.ussl.ars.usda.gov/pls/caliche/halophyte.prefce 

  32. Zhao, K., F. Hai, and I. A. Ungar. 2002. Survey of halophyte species in China. Plant Sci. 163(3): 491-4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