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내의 미생물 분리 및 특징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in the exhausted mine and Jeju Gotjawa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3 no.4, 2017년, pp.309 - 315  

김예은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고현우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소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도경탁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  박수제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산성미생물은 pH가 낮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미생물로서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하여, 금속을 포함한 물질들의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의 산성토양으로부터 배양을 통해 50여 종 이상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최종, Gamm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6종, Actin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5종, Bet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4종, Alph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2종, Bacilli 강에 속하는 미생물 2종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낮은 pH의 조건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산성토양내의 미생물들의 생리적 특징은 앞으로의 다양한 국내 미생물 자원의 활용에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acidophiles are found in the various low pH environments and affect to metal cycle through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above 50 strains as acidophiles isolated from acidic soils of exhausted mine and Jeju Gotjawal. Finally, total 19 strains obtain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 미생물은 앞으로 특수한 환경에서의 산업적 이용에 적극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 산성토양환경으로부터 미생물을 발굴하고, 자생 미생물의 생리적, 분자계통학적 특징 분석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극한환경에서 배양되는 미생물의 경우, 그 산업적 응용성에 있어 국외적으로 미생물 배양 및 특징분석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보고 되지 않은 미생물들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19종의 내산성미생물들을 폐광산 및 곶자왈 인근 토양시료로부터 분리 하여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자생 내산성미생물의 다양성, 생리적 결과와 이들 미생물의 분리 기술들은 자생미생물의 자원화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의 토양에서 채취한 미생물의 DNA는 어떤 방법으로 추출하였는가? 순수 분리된 미생물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위하여 genomic DNA extraction kit (GeneAll)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세균 16S rRNA 유전자 primer 세트인 forward primer 27F (5′-AGAGTTTGATCMTGGCTCAG-3′)와 reverse primer 1492R (5′-TACGGYTACCTTGTTACGACTT-3′) (Weisburg et al., 1991)를 사용하였다.
호산성미생물은 무엇인가? 1900년대 초 Waksman과 Joffe가 희석한 황산에서 황을 산화시키며 살아가는 미생물을 발견한 이래(Waksman and Joffe,1922), 극한 산성미생물(호산성미생물)에 대한 다양성 및 그들의 생리화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호산성미생물은 산성도가 낮은 pH (< pH3)에서 최적으로 자라는 미생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생명체에게 치명적인 금속 및 금속염의 농도를 포함하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온천, 열수구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폐광산 부근(e.g.
호산성균이 자라지 못하는 환경은? 현재 분리된 호산성미생물들은 Actinobacteria, Aquificae, Firmicutes,Proteobacteria 및 Verrucomicrobia 문에 속하며, 또한 이들의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보다 깊은 생리적 특징들이 규명되고 있다(Baker-Austin and Dopson, 2007; Oren, 2010).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호산성균은 pH 7 이상, 그리고 상당수는 자신들의 최적 pH보다 두 단위 이상 높은 pH에서는 자라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몇몇 호산성미생물은 철을 포함한 금속이온의 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drich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ker-Austin, C. and Dopson, M. 2007. Life in acid: pH homeostasis in acidophiles. Trends Microbiol. 15, 165-171. 

  2. Choi, H., Koh, H.W., Kim, H., Chae, J.C., and Park, S.J. 2016.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marine sediments of Jeju isl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surveys. J. Microbiol. Biotechnol. 26, 883-890. 

  3. Felsenstein, J. 1981. Evolutionary trees from DNA sequences: a maximum likelihood approach. J. Mol. Evol. 17, 368-376. 

  4. Fitch, W.M. 1971. Toward defining the course of evolution: minimum change for a specific tree topology. Syst. Biol. 20, 406-416. 

  5. Gonzalez, J.M. and Saiz-Jimenez, C. 2002. A flu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G+C mol% content in microorganisms by thermal denaturation temperature. Environ. Microbiol. 4, 770-773. 

  6.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7. Hedrich, S., Schlomann, M., and Johnson, D.B. 2011. The ironoxidizing proteobacteria. Microbiology 157, 1551-1564. 

  8. Kim, O.S., Cho, Y.J., Lee, K., Yoon, S.H., Kim, M., Na, H., Park, S.C., Jeon, Y.S., Lee, J.H., Yi, H., et al. 2012. Introducing EzTaxon-e: a prokaryotic 16S rRNA gene sequence database with phylotypes that represent uncultured spec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2, 716-721. 

  9. Koh, H.W., Hong, H., Min, U.G., Kang, M.S., Kim, S.G., Na, J.G., Rhee, S.K., and Park, S.J. 2015a. Rhodanobacter aciditrophus sp. nov., an acidophilic bacterium isolated from mine wastewater. Int. J. Syst. Evol. Microbiol. 65, 4574-4579. 

  10. Koh, H.W., Kim, S.J., Rhee, S.K., and Park, S.J. 2015b.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the halophilic archaea isolated from solar saltern, Gomso. Korean J. Microbiol. 51, 427-434. 

  11. Liu, Y., Tang, H., Lin, Z., and Xu, P. 2015. Mechanisms of acid tolerance in bacteria and prospects in biotechnology and bioremediation. Biotechnol. Adv. 33, 1484-1492. 

  12. Muravyov, M.I. and Fomchenko, N.V. 2013. Leaching of nonferrous metals from copper converter slag with application of acidophilic microorganisms. Appl. Biochem. Microbiol. 49, 562-569. 

  13. Oren, A. 2010. Acidophiles. John Wiley & Sons, Inc., Online Publication. 

  14.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5.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16. Waksman, S.A. and Joffe, J.S. 1922. Microorganisms concerned in the oxidation of sulfur in the soil: II. Thiobacillus, Thiooxidans, a new sulfur-oxidizing organism isolated from the soil. J. Bacteriol. 7, 239-256. 

  17. Weisburg, W.G., Barns, S.M., Pelletier, D.A., and Lane, D.J. 1991.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