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 주파수 GPS 데이터를 이용한 저궤도 위성의 정밀궤도결정
Precise Orbit Determination of LEO Satellite Using Dual-Frequency GPS Data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6 no.2, 2009년, pp.229 - 236  

황유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관제항법연구팀) ,  이병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관제항법연구팀) ,  김재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관제항법연구팀) ,  윤재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5호 체계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목적실용위성-5호는 2010년 발사를 목표로 고도 550km의 저궤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다목적실용위성-5호의 임무인 고정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성의 위치(20cm) 와 속도(0.03cm/s)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은 한국 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한 ETRI GNSS Precise Orbit Determination(EGPOD) 소프트웨어로 검증하였다. 0.1Hz 수신 주기의 SAC-C 위성 반송파위상 데이터로 정밀궤도결정을 수행하였다. 이중 주파수 GPS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신 선호의 전리층 오차를 대부분 제거하고 이중 차분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GPS 위성과 수신기의 공통된 시계 오차를 없앴다. 동역학 모델 접근 방법을 이용하였고, Batch Least Square Estimator(BLSE) 필터로 각 데이터 아크(arc) 에 해당하는 위성의 위치와 속도, 대기저항 계수, 태양풍 계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정밀한 동역학 모델을 위하여 모델 되지 않은 부정확한 가속도 항을 보충하는 경험 가속도를 추가하였다. 경험 가속도는 위성의 공전 주기(revolution) 당 한번씩 시선방향(radial), 진행방향(along-track), 수직방향(cross-track)으로 추정하고, 수직방향의 상수 항에 대해서는 해당 데이터 아크에 관하여 부가적으로 추정하였다. 정밀궤도결정 결과 검증을 위하여 EGPOD 소프트웨어에서 얻어진 결과와 JPL에서 제공하는 정밀궤도력(Precise Orbit Ephemeris)을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orea Multi-purpose SATellite(KOMPSAT)-5 will be launched at 550km altitude in 2010. Accurate satellite position(20 cm) and velocity(0.03 cm/s) are required to treat highly precise Synthetic Aperture Radar(SAR) image processing. Ionosphere delay was eliminated using dual frequency GPS data and do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009년 1 월9일부터 18일까지 10일치 데이터에 대한 정밀궤도결정 속도 결과 비교. (a) EGPOD와 JPL의 정밀궤도력 결과 비교에서 각 시선방향, 진행방향, 수직방향으로의 위성의 속도 차이, (b) EGPOD와 JPL의 정밀궤도력 결과 비교에서 3차원 개념에서 위성의 속도 차이.
  • 2。09년 1 월9일부터 18일까지 10일치 데이터에 대한 정밀꿰도결정 위치 결과 비교. (a) SAC-C 위성의 정밀궤도결정 결과로 EGPOD와 JPL의 정밀궤도력 결과 비교에서 각 시선방향, 진행방향, 수직방향으로의 위성의 위치 차이, (b) EGPOD와 JPL의 정밀궤도력 결과 비교에서 3차원 개념에서 위성의 위치 차이.
  • 먼저 전리증 오차는 L1과 L2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선형 조합으로 대부분 전리층 오차가 제거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전리층 오차의 고차 항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지만, 이 중 주파수의 선형 조합에 의해 전리층 오차는 대부분 제거되었다고 가정 한다. 전리층 오차를 없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시각에서 2개의 GPS 위성과 1개의 지상국, 그리고 저 궤 도 위 성 의 GPS데 이 터를 각각 차분하여 시 계 오차가 제거 된 새로운 관측 데 이 터 를 생 성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ck, H., Jaggi, A., Dach, R., Schaer, S., & Beutler, G. 2009, ASR, 43, 783 

  2. Colombo, O. L. 1984, NASA Technical Memorandum/Altimetry, Orbits and Tides, NASA-TM-86180 

  3. Demets, C., Gordin, R. G., Argus, D.F., & Stein, S. 1994, GRL, 21, 2191 

  4. Hedin, A. E. 1991, JGR, 96, 1159 

  5. Hwang, Y., & Born, G. H. 2005, JSR, 42, 5 

  6. Hwang, Y., Lee, B.-S, Kim, H.-Y., Kim, J., & Yoon, J -C. 2007, 25th AIAA ICSSC AIAA-2007-3131 

  7. Ijssel, J. V., Visser, P., & Rodriguez, E. P. 2003, ASR, 31, 889 

  8. Jaggi, A., Hugentobler, U., Bock, H., & Beutler, G. 2007, ASR, 39, 1612 

  9. Knocke, P. C. & Ries, J. C. 1987, CSR Technical memorandum/Earth Radiation Pressure Effects on Satellites, CSR-TM-87-01 

  10. Lee, B. -S., Yoon, J. C., Hwang, Y., & Kim, J. 2005, Acta-Astronautica, 57, 747 

  11. Lemoine, F. G., Kenyon, S. C., Factor, J. K., Trimmer, R. G., Pavlis, N. K., Chinn, D. S., Cox, C. M., Klosko, S. M., Luthcke, S. B., Torrence, M. H., Wang, Y. M., Williamson, R. G., Pavlis, E. C., Rapp, R. H., & Olson, T. R. 1998, NASA/TP-206861 

  12. Mendes, V. B., Practes, G., Pavlis, E. C., Pavlis, D. E., & Langley, R. B. 2002, GRL, 29, 1414 

  13. Montenbruck, O. 2003, AST, 7, 396 

  14. Yoon, J.-C., Lee, J.-H., Lee, S.-R., Shin, J.-M., Moon, H.-Y., Kim, B.-K., & Lee, B. -S. 2003, Proceedings of 2003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15. Yoon, J.-C., Roh, K.-M., Park, E.-S., Moon, B.-Y., Choi, K.-H., Lee, J.-S, Lee, B.-S., Kim, J., & Chang, Y.-K. 2002, JSR, 39, 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