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대상자의 우울, 주관적 건강지각 관련요인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1, 2009년, pp.86 - 94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115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3 tertiary medical center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방세동 대상자가 지각하는 우울과 주관적 건강지각에 대한 관련요인을 확인하기위해 심방세동 증상, 사회적 지지, 교육수준, 진단 후 경과기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변수가 우울과 주관적 건강지각을 각각 설명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3차 의료기관에서 심방세동을 진단받고 추후 관리 중인 성인대상자 총 115명으로서 심방세동 증상, 사회적 지지, 우울, 주관적 건강지각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심방세동 대상자의 심방세동 증상, 사회적 지지, 우울, 주관적 건강지각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심방세동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지각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색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주관적 건강지각과 연관된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할 것이므로 선행연구들(Kang, 2002; Tangkawanich, Yunibhand, Thanasilp, & Magilvy, 2008)을 통해서도 확인된 주관적 건강지각과 연관된 개념으로 신체적 측면의 증상과 정서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를 본 연구에서는 동시에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방세동 대상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면, 간호학적 의의에서 심방세동 대상자가 질병 과정에서 경험하고 지각하는 주요 개념으로 확인된 것은? 심방세동 대상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면, 간호학적 의의에서 심방세동 대상자가 질병 과정에서 경험하고 지각하는 주요 개념으로 불확실감, 우울, 불안, 삶의 질 등이 탐색되었고 관련 변수로서 교육 정도, 증상 심각도, 불확실감 평가, 공존이환(Comorbidity), 질병관리 양상 등이 확인되었다(Kang, Daly, & Kim, 2004; Ong et al., 2006; Thrall, Lip, Carroll, & Lane, 2007).
심방세동이란? 심방세동은 임상간호 현장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심장의 리듬장애로서 심방의 빠르고 불규칙한 전기적 흥분으로 인해 정상적인 동성 리듬이 소실되는 부정맥을 말한다. 심방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흥분은 분당 400 - 600회의 심방박동을 유발하며 이는 방실 결절에서 걸러져서 불규칙한 심실의 박동수가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ubien, R. S., Kay, G. N., & Jenkins, L. S. (1993). Test specifications for symptom checklist: Frequency and severity. Milwauke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2. Cha, Y. M., Friedman, P. A., Asirvatham, S. J., Shen, W. K., Munger, T. M., Rea, R. F., Brady, P. A., Jahangir, A., Monahan, K. H., Hodge, D. O., Meverden, R. A., Gersh, B. J., Hammill, S. C., & Packer, D. L. (2008). Catheter ablation for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obesity. Circulation, 117(20), 2583-2590. 

  3. Charlson, M. E., Prompei, P., Ales, K. L., & Mackenzie, C. R. (1987).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40(5), 373-383. 

  4. Friberg, J., Buch, P., Scharling, H., Gadsbphioll, N., & Jensen, G. B. (2003). Rising rates of hospital admissions for atrial fibrillation. Epidemiology, 14(6), 666-672. 

  5. Go, A. S., Hylek, E. M., Phillips, K. A., Chang, Y., Henault, L. E., Selby, J. V., & Singer, D. E. (2001). Prevalence of diagnosed atrial fibrillation in adults: national implications for rhythm management and stroke prevention: the AnTicoagulation and Risk Factors in Atrial Fibrillation (ATRIA) Study. JAMA, 285(18), 2370-2375. 

  6. Jang, M. G., Lee, J. Y., Kim, S. G., Cho, K. H., Yang, Y. S., Yoon, D. S., & Chae, S. H. (2001). Prevalence of atrial fibrillation in general population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Acad Fam Med, 22(2), 178-183. 

  7. Kang, Y. (2002).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seriousness of illness, social support, appraisal of uncertainty,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atrial fibril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Ohio. 

  8. Kang, Y. (2005).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depression, anxie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17(2), 1-14. 

  9. Kang, Y., Daly, B., & Kim, J. (2004). Uncertainty and its antecede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est J Nurs Res, 26(7), 770-783. 

  10. Lee, Y. J., Ham, E. H., & Kim, K. S. (2001). A correlation study on uncertainty, coping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4(4), 529-544. 

  11. Miyazaki, S., Kuwahara, T., Takahashi, A., Kobori, A., Takahashi, Y., Nozato, T., Hikita, H., Sato, A., Aonuma, K., Hirao, K., & Isobe, M. (2008). Effect of left atrial abla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Circ J, 72(4), 582-587. 

  12. Ong, L., Cribbie, R., Harris, L., Dorian, P., Newman, D., Mangat, I., Nolan, R., & Irvine, J. (2006). Psychological correlates of quality of life in atrial fibrillation. Qual Life Res, 15(8), 1323-1333. 

  13. Parse, R. R. (1987). Nursing science: Major paradigms. theories, and critique.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14. Radlolff, L. S. (1977). The CES-D scale: A new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3), 385-401. 

  15. Tangkawanich, T., Yunibhand, J., Thanasilp, S., & Magilvy, K. (2008). Causal model of heal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the northern region of Thailand. Nurs Health Sci, 10(3), 216-221. 

  16. Thrall, G., Lip, G., Carroll, D., & Lane, D. (2007).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Chest, 132(4), 1259-1264. 

  17. Tolosana, J. M., Hernandez M. A., Brugada, J., Sitges, M., Garcia, B. I., Fernandez, L. I., Martinez, F. J., Quesada, A., Macias, A., Marin, W., Escudier, J. M., Gomez, A. A., Gimenez, A. M., Tamborero, D., Berruezo, A., Mont, L., & SPARE Investigators. (2008). Comparison of benefits and mortality in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versus patients in sinus rhythm. Am J Cardiol, 102(4), 444-449. 

  18. Ware, J. E., Kosinski, M., & Keller, S. K. (1994). SF-36 physical and mental health summary scales: a user's manual. Boston: New England Medical Center. 

  19.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 Assess, 52(1), 30-41. 

  20. Zimet, G. D., Powell, S. S., Farley, G. K., Werkman, S., & Berkoff, K. A. (1990).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 Assess, 55(3-4), 610-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