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면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수면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leep Promoting Program on Sleep and Immune Response in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2, 2009년, pp.167 - 178  

홍세훈 (차의과학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김숙영 (차의과학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leep promoting program on sleep and the immune response in the elderly with insomnia.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irty two elders who suffered from insomnia (16 exper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불면을 호소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면위생 교육과 점진적 근이완요법으로 구성된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수면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사전 측정을 한 후에 연구자가 실험군에게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집단교육한 후 개인별로 방법을 확인하고 숙지시켰다. 매일 전화로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격려하여 피드백을 주고, 원할 때는 언제든지 연구자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집단교육은 4주간 매 주 1회 실험군이 소속된 교회에서 수면위생교육 자료와 점진적 근이완요법이 녹음된 테이프로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 복합중재법의 요소로는 인지치료, 행동치료, 각종 이완기술 그리고 수면위생 교육 등 다양한 중재법(Hwang & Kim, 2008; Jin & Kim, 2005; Song & Ahn, 2008)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면 습관 및 환경을 개선하여 수면 중 방해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면위생 교육과 이완을 유도하여 수면 진입에 도움을 주며 선행연구결과 면역반응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난 점진적 근 이완요법으로 구성된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복합중재법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불면을 호소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면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3월부터 9월까지였고, 경기도 소재 교회에 등록된 노인 중 연구대상에 적합한 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이었다.
  • 본 연구는 수면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수면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실험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수면위생 교육(sleep hygiene)은 불면증의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양호한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어떤 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수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소음, 빛, 온도, 배고픔, 낮잠, 수면일정, 수면제 복용, 태도 등과 같은 마음의 준비와 행동방식을 알려주는 교육적 지침을 말한다(Hauri, 1977). 본 연구에서는 Zarcone(2000)의 수면위생 지침을 바탕으로 노인 대상자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집단 및 개별 교육한 것을 의미한다.
  • , 1999), Simeit 등 (2004)도 단일 중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복합적 중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불면을 호소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면 중 방해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면위생 교육과 수면 도입에 도움을 주고 면역반응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난 점진적 근이완훈련으로 구성된 복합적 중재인,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수면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증진 프로그램이 불면을 호소하는 노인의 수면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독자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면역반응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1.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만족도 점수가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면증에 대한 비약물요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비약물적 방법으로,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양호한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습관과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수면위생 교육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인지 행동적 치료지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Stepanski & Wyatt, 2003), 또한 안전하고 경제적인 이완요법이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Simeit, Deck & Conta-Marx, 2004). 이완요법은 수면 외에도 면역반응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가 보고되어(Jeong, 2004) 이완요법이 면역반응을 강화함을 알 수 있었다.
수면위생 교육이란 무엇인가? 수면위생 교육(sleep hygiene)은 불면증의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양호한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어떤 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수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소음, 빛, 온도, 배고픔, 낮잠, 수면일정, 수면제 복용, 태도 등과 같은 마음의 준비와 행동방식을 알려주는 교육적 지침을 말한다(Hauri, 1977). 본 연구에서는 Zarcone(2000)의 수면위생 지침을 바탕으로 노인 대상자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집단 및 개별 교육한 것을 의미한다.
수면-각성 주기의 역할은 무엇인가? 수면-각성 주기는 면역체계, 면역조절, 신경 행동학적 기능의 조절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면은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를 증가시켜(Lange, Dimitrov, Fehm, Westermann, & Born, 2006) 수면 동안 인터루킨-2와 인터루킨-12가 증가한 반면 인터루킨-10의 수는 감소하여 수면은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킨다(Lang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ssi, C. A., Marin, J. L., Webber, A. P., Cynthia, K. E., Harker, J. O., & Josephson, K. R. (2005)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abnormal sleep/wake patterns in nursing home residents. J Am Geriatr Soc, 53(5), 803-810. 

  2. Bennett, M. P., Zeller, J. M., Rosenberg, L., & McCann, J. (2003). The effect of mirthful laughter on stress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ltern Ther Health Med, 9(2), 38-45. 

  3. Cho, H. M. (2002). Effect of foot-reflexo-massage on stress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Drake, C. L., Roehrs, T., & Roth, T. (2003). Insomnia causes, consequences, and therapeutics: An overview. Depress Anxiety, 18(4), 163-176. 

  6.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 of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 Nurs, 16(5), 238-243. 

  7. Hauri, P. (1977). Current concepts: The sleep disorders. Michigan: The Upjohn Company. 

  8. Hauri, P. J. (1993). Consulting about insomnia: A method and some preliminary data. Sleep, 16(4), 344-350. 

  9. Hwang, E. H., & Kim, M. Y.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therapy on sleep quality and mood state of insomniac adul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 21-32. 

  10. Jacobson, E. (1974). Progressive relax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Janeway, C. A., Travers, P., Walport, M., & Shlomchik, M. J. (2002). Immunobiology (5th ed.). Seoul: Lifescience. 

  12. Jeong, I. S. (2004).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using biofeedback on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immune response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4(2), 213-224. 

  13. Jin, S. J., & Kim, Y. K. (2005).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massage on sleep and fatigue of elderly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7(3). 493-502. 

  14. Kamel, N. S., & Gammack, J. K. (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Am J Med, 119(6), 463-469.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Retrieved from http://www.nso.go.kr. 

  16. Lai, H. L., & Good, M. (2005). Music improves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J Adv Nurs, 49(3), 234-244. 

  17. Lange, T. L., Dimitrov, S., Fehm, H., Westermann, J., & Born, J. (2006). Shift of monocyte function toward cellular immunity during sleep. Arch Intern Med, 166(16), 1695-1700. 

  18. LeBourgeois, M. K., Giannotti, F., Cortesi, F., Wolfson, A. R., & Harsh,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reported sleep quality and sleep hygiene in Italian and American adolescents. Pediatrics, 115(1 Suppl), 257-265. 

  19. Montgomery, P., & Dennis, J. A. (2002). Parkinsonism related disorder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leep problems in adults aged 60+. The Cochrane Library, 8(3), 193-197. 

  20. Morgan, K., Dixon, S., Mathers, N., Thompson, J., & Tomeny, M. (2003). Psychological treatment for insomnia in the management of long-term hypnotic drug use: A pragmatic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 J Gen Pract, 53(497), 923-928. 

  21. Morin, C. M., Hauri, P. J., Espie, C. A., Spielman, A. J., Buysse, D. J., & Bootzin, R. R. (1999). Non-pharmacologic treatment of chronic insomni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review. Sleep, 22(8), 1134-1156. 

  22.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J Korean Acad Nurs, 28(3), 563-572. 

  23. Palma, B. D., Tiba, P. A., Machado, R. B., Tufik, S., & Suchechki, D. (2007). Immune outcomes of sleep disorder: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s a modulatory factor. Rev Bras Psiquiatr, 29(1 Suppl), 33-38. 

  24. Pilcher, J. T., Ginter, D. R., & Sadowsky, B. (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 between and measure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 Psychosom Res, 42(6), 583-596. 

  25. Simeit, R., Deck, R., & Conta-Marx, B. (2004). Sleep management training for cancer patients with insomnia. Support Care Cancer, 12(3), 176-183. 

  26. Song, R. Y., & Ahn, S. H. (2008).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back pain, physical fitness, sleep,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back pain. J Korean Acad Adult Nurs, 20(2), 269-279. 

  27. Stepanski, E. J., & Wyatt, J. K. (2003). Use of sleep hygiene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Sleep Med Rev, 7(3), 215-225. 

  28. Tsai, S. L. (2004). Audio-viaual relaxation training for anxiety, sleep, and relaxation among Chinese adults with cardiac disease. Res Nurs Health, 27(6), 458-468. 

  29. Weiss, M. D., Wasdell, M. B., Bomben, M. M., Rea, K. J., & Freeman, R. D. (2006). Sleep hygiene and melatonin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and initial insomni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45(5), 512-519. 

  30. Zarcone, V. P. (2000). Sleep hygiene.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hiladelphia: WB Saunde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