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
Knowled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Regarding Foot Care among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4, 2009년, pp.413 - 422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regarding foot care among elderly diabetes mellitus (DM)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46 elderly with DM. The data collected from February to October 2008 were analyzed us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기존의 당뇨병 교육이라 말하는 주입식 교육은 노인들의 지적인 능력과 술기 능력 등이 고려되지 않은 게 현실이다 (Kim, 2006). 이에 본 연구는 당뇨병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 환자가 지각하는 발 관리에 대한 지식 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추후 효율적인 노인 당뇨병 환자의 발 합병증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 였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 이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8년 2월부터 10월까지였고,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2개의 보건소, 1 개의 개인병원에서 당뇨병 진단을 받고 추후 관리를 받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대상자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를 동의한 자이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발 관리의 지식, 자기 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당뇨병을 경험하는 노인의 발 합병증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지식과 자기효능감은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의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또한 Gu(1992)와 Delamater (2006)의 연구에서는 지식, 자기조절 및 자기효능감은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 변수임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노인 당뇨병 환자의 발 관리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은 발 관리에 대한 자가간호 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기존의 당뇨병 교육이라 말하는 주입식 교육은 노인들의 지적인 능력과 술기 능력 등이 고려되지 않은 게 현실이다 (Kim, 200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일련의 행동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Bandura, 1986; Lee, 2007)으로 Cho(2004)가 사용한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10문항 중 발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일반적 당뇨관리인 약물, 운동, 규칙적인 식사, 자가혈당검사, 주기적인 병원 방문, 혈당조절에 관하여 각각 1문항, 발관리 2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은 Likert 4점 척도의 총 8문항으로 내용타당도를 위해 간호학 교수 1인, 내분비 내과 교수 1인, 당뇨 교육 간호사 1인의 자문을 구하였다.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의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 행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노인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 및 당뇨 관련 특성에 따른 발 관리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노인 당뇨병 환자가 지각한 발 관리의 지식, 자기 효능감, 자가간호 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다. • 노인 당뇨병 환자의 발 관리와 관련된 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발 관리의 지식과 자기효능감의 영향정도를 파악한다.
노인 당뇨병 환자가 적극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덜 인지하고 있는 이유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만성 합병 증에 대한 정보를 알고, 어떠한 어려움에도 포기하지 않고, 그에 따른 행위를 실천하고자 하는 굳세고 질긴 의지가 필요하다(Kim, 2008). 한편 노인 당뇨병 환자는 젊은 환자에 비해 당뇨병 관리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보다 많이 요구되고, 남은 생이 당뇨병의 합병증을 염려할 정도로 길지 않다는 점 등의 이유로 적극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덜 인지하고 있다. 실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실태를 살펴보면, 경구혈당강하 제나 인슐린 주사 처방에 대한 수행을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음주, 식사관리, 흡연, 운동, 발 관리는 잘 수행되지 않고 있었으며, 이중 특히 발관리는 가장 잘 수행되고 있지 않은 영역으로 확인되 었다(Choi, Jang, & Na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6). Standard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29(4), 828.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3. Cho, Y. I. (2004).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4. Choi, G. A., Jang, S. M., & Nam, H. W. (2007).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ournal, 32(3), 280-289. 

  5. Chung, C. H., Kim, D. J., Kim, J. Y., Kim, H. Y., Kim, H. Y., Min, K. W., Park, S. W., Park, J. H., Baik, S. H., Son, H. S., Ahn, C. W., Oh, J. Y., Lee, S. H., Lee, J. Y., Choi, K. M., Choi, I. J., & Park, I. B. (2006). Current status of diabetic foot in Korean patient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Korean Diabetes Journal, 3(5), 372-376. 

  6. Cooper, H. C., Booth, K., & Gill, G. (2003). Patients' perspectives on diabetes health care educa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18(2), 191-206. 

  7. Delamater, A. M. (2006). Improving patient adherence. Clinical Diabetes, 24(2), 71-77. 

  8. Gill, G. S. (2004). Study on the knowledge, perceived seriousness and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 on chronic com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9. Gu, M. O. (1992). A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Jang, S. H.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are behavior, hemoglobin A1C and blood lipids of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Nursing Science, 19(2), 10-20. 

  11. Kim, C. G., & Chung, C. H. (2002).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2), 306-314. 

  12. Kim, H. J., & Ahn, C. W. (2007). Elderly diabetes mellitus. Korean Clinical Diabetes Journal, 8(1), 6-7. 

  13. Kim, J. H. (2006). Guidelines for education of diabetes in the elderly. Journa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30(2), 297-301. 

  14. Kim, J. Y., Lee, K. T., Young, K. W., & Hwang, S. K. (2007). A clinical study on the diabetic foot wound. Korean Diabetes Journal, 31(1), 89-95. 

  15. Kim, M. A., & Kim, E. Y.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elf-care agency in adults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8(2), 227-243. 

  16. Kim, S. G. (2008). Factors influencing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 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32(1), 77-82. 

  17. Kim, Y. J. (2002). The relationship among diabetes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nam 

  18. Koh, N. K. (2002). Foot car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oh, N. K., & Song, M. S, (2006). Foot ulcer risk, foot care knowledge and foot care practi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1), 81-91. 

  20. Lee, H. J., & Park, K. Y. (2005). Body weigh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self-efficacy of diabetic control among obese type II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5), 787-797. 

  21. Lee, H. J., Park, K. Y., & Park, H. S. (2005). Self care activity, metabolic contro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of clients with type 2 diabetic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2), 283-291. 

  22. Lee, N. H. (2005).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won. 

  23. Lee, T. J. (2007).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on. 

  24. Lee, Y. H. (2004).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and the change after foot-reflexo-massage education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2), 222-232. 

  25. Nwasuruba, C. M., Khan, M., & Egede, L. E. (2007). Racial/ethnic differences in multiple self-care behaviors in adults with diabete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2(1), 115-220. 

  26. Park, M. Y. (2008). The study related to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Pyrot, M., & Rubin, R. (2007). Behavioral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diabetes: A conceptual review. Diabetes Care, 30(10), 2433-2440. 

  28. Ryu, E. K.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 in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29. Singh, N., Amstrong, D. G., & Lipsky, B. A. (2005). Preventing for ulcers in pati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2), 217-228. 

  30. Song, M. S., & Kim, H. S. (2008). Effects of diabetes education and telephone counseling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3), 481-4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