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 교육에 따른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기관리행위의 변화: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등록자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s among Diab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of Sejong Center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Management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2 no.4, 2017년, pp.234 - 243  

정진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정은영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  김아련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  박현진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  김윤정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  반영화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  김종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윤석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김순영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안순기 (충남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실) ,  남해성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 당뇨병 등록교육센터에서 교육 받은 당뇨병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질환, 영양, 운동 등에 관한 내용으로 2일 동안 2회의 세션(세션 당 45 분)으로 구성되었다. 교육 전에 당뇨병에 관한 지식, 자기효능감, 자기관리행위 등을 평가하였고, 교육 직후에 지식과 자기효능감 평가, 교육 후 12주째에 자기관리행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병 지식 점수(10점 만점)는 프로그램 전후 평균 5.72점에서 8.2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자기효능감 점수(10점 만점)는 프로그램 전후 6.88점에서 8.1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자기관리행위 점수는 프로그램 전 5점 만점 중 3.59점이었던 것이 프로그램 종료 12주째에 4.3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본 프로그램은 당뇨병 지식, 자기효능감, 자기관리행위 등의 향상을 통해 등록환자의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abetes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a commun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education center. Methods: Participants were thirty nine diabetic patients who received the education program in the center from May 2014 through May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 당뇨병 등록교육센터에서 교육받은 당뇨병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제2형 당뇨병에 대한 질환, 영양, 운동 등에 관한내용으로 2일 동안 2회의 세션(세션 당 45 분)으로구성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 당뇨병등록 교육센터에서 시행하는 당뇨병 관리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당뇨병에 관한 지식,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자기효능감의 개선,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자기관리행위 등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교육에 따른 자기관리행위의 향상이 지식 및 자기효능감 향상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고혈압 당뇨병등록 교육센터에서 시행하는 당뇨병 관리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당뇨병에 관한 지식,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자기효능감의 개선,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자기관리행위 등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교육에 따른 자기관리행위의 향상이 지식 및 자기효능감 향상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교육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자기관리행위의 선행 요인이 되는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평가지표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14-18]. 자기효능감이란 각자의 역량을 어느 정도로 발휘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을 의미하며, 개인의 능력과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이다. 즉 개개인이 가진 지식과 이러한 지식들을 실행으로 옮기는 역량을 의미한다[19].
미국 가정의학 교육자 협의회에서 정의하는 환자 교육이란 무엇인가? 환자 교육이란 “의료 제공자와 환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르침과 배움의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7]. 미국 가정의학 교육자 협의회[8]에서는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데 요구되는 환자의 지식, 태도와 기술의 변화를 유발시키고 환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으로 환자 교육을 규정하고 있다. 환자 교육의 효과는 교육의 유형, 대상, 최종 목표 등의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환자 교육이 다양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당뇨병 관리에서 환자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당뇨병은 병 자체보다는 질병 경과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으며, 엄격한 혈당 조절을 통해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그러나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지속적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적고[5], 자기관리에 대한 실천율이 낮아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유발되고 있는 현실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Tight blood pressure control and risk of macrovascular and complications I type 2 diabetes: UKPDS 38. BMJ 1998;317(7160):703-713 

  2. Stratton IM, Adler AI, Neil HA, Matthews DR, Manley SE, Cull CA, Hadden D, Turner RC, Holman RR. Association of glyc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2000;321(7258):405-412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2006;29(Suppl1):S4-S42 

  4. Pham DT, Fortin F, Thibaudeau MF. The role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amputees' self-evaluation of adherence to diabetes self-care behaviors. Diabetes Educ 1996;22(2):126-132 

  5. Yoon K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Food Ind Nutr 1999;4(1):73-82 (Korean) 

  6. Goudswaard AN, Stolk RP, Zuithoff NP, de Valk HW, Rutten GE. Long-term effects of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aking maximal oral hypoglycemic therapy: a randomized trial in primary care. Diabet Med 2004;21(5):491-496 

  7. Cheong YS. Patient education and compliance. In: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editor. Textbook of family medicine. 2nd ed. Seoul, Hankuk Medical Publishing Co, 2003, pp.171-189 (Korean) 

  8. Robert BK, Donna RF. Patient education. In: Robert ER, editor. Text book of family practice. 6th ed. New York: Saunders Co, 2002, pp.253-262. 

  9. Norris SL, Lau J, Smith SJ, Schmid CH, Engelgau MM.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glycemic control. Diabetes Care 2012;25(7):1159-1171 

  10. Park CO, Baik HY, Lee HK, Min HK. The effect of Knowledge and dietary compliance on diabetic control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J Korean Diabetes Assoc 1988;12(1):79-88 (Korean) 

  11. Kim HS, Yoon KH, Yoo YS, Oh JA, Song MS, Shin MO, Kim KH, Song BR. Effects of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on glycemic control, the knowledge on the diseas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Korean Clinical Diabetes J 2002;3(1):76-86 (Korean) 

  12. Song MS, Song KH, Ko SH, Ahn YB, Kim JS, Shin JH, Cho YK, Yoon KH, Cha BY, Son HY, Lee DH. The long-term effect of a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for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 a 4-year follow-up. J Korean Diabetes Assoc 2005;29(2):140-150 (Korean) 

  13. Lee YW, Hwang WS, Choe SJ, Lee DH, Kim DH, Lee EH, Hong EG, Noh HL, Chung YS, Lee KW, Kim HM. The effect of intensive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Korean Soc Endocrinol 2003;18:63-72 (Korean) 

  14. Kim SY, Cho BH, Nam HS. Effect of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s and glycometabolic control in patient with diabete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8;33(2):232-242 (Korean) 

  15. Oh DK, Kim YM, Lim JY, Cheong W.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effects of community based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2012;19(1):74-82 (Korean) 

  16. Aljasem LI, Peyrot M, Wissow L, Rubin RR. The impact of barriers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 2001;27(3):393-404 

  17. Paek KS, Kim MH.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ick-rol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J Korean Comm Nurs 1998;9(1):128-142 (Korean) 

  18. Kim JH, Kim KY, Lee SJ, Bae SG, Ryu DH, Lee WK. A Study on sustainability of knowledge, self care behavior, and self-efficacy after self-help group program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J Health Info Stat 2017;42(3):276-284 (Korean) 

  19.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82;37(2):122-147 

  20. Ko IS, Kim GS, Lim MH, Lee KJ, Lee TW, Park HS, Lee HS, Kim JA, Kim EY, Chung SK, Choi JM.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12;19(1):74-82 (Korean) 

  21. Byun DH, Kim EJ, Park MB, Son HR, Park HK, Kim CB. Accessible strategy of the registration &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roug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Hongcheon-gun cas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3; 30(4): 1111-123 (Korean) 

  22. Baek KS.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for self-efficacy in diabetic management [dissertation]. Daegu, Kyoungbuk National University, 1996 (Korean) 

  23. Kim YO.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self-care behavior in diabetics. J Korean Acad Nurs, 1998;28(3), 625-637 (Korean) 

  24. Gil GS, Jeong IS. Knowledge, perceived seriousness and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s on chronic com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5;5(2):78-89 (Korean) 

  25. Yang NY. Knowled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regarding foot care among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9;21(4):413-422 (Korean) 

  26. Kang KJ, Yu SJ, Seo HM, Yu M, Park MS, Jang HC. Factors influencing self management behavio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adults. J Korean Biol Nurs Sci 2012;14(2):112-121 (Korean) 

  27. Lally P, van Jaarsveld CHM, Potts HWW, Wardle J. How are habits formed: modelling habit formation in the real world. Eur J Soc Psychol 2010;40(6):998-1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