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미술의 비평적 재조명-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전망
Critical Re-illumination of Modern Art-a Prospect beyond the Postmodernism 원문보기

미술이론과 현장 =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v.8, 2009년, pp.123 - 144  

심상용 (동덕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of ar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last decade was founded the discussion with highly impressive and confident. The art might establish its unique area based on self recognition at that era. The self-confidence of modern art may be possible on enlightenment, which is the firm relation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논의는 첫째,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담론이 어떻게 ‘그 이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피고, 둘째, 이로부터 그 이후의 전망을 논의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가설 설정

  • 부클로가 말하는 “모순과 갈등이 소멸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상황”은 이 같은 역설적 과정의 축적물이다.8) 포스트모던 미술의 파괴적 언설들에 의해 모더니즘 미술의 경계와 구분은 더욱 되돌아오고, 불확실성이 선포되는 것에 의해 그 미적 가치는 더욱 확고한 것으로 경직되고 마는 것이다. 이것이 지속적으로 ‘자신으로 되돌아옴’과 출구(해방)의 부재를 실현하는 출구(담론)로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상황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랑스의 비평가 니콜라 부리오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무엇으로부터 왔는가? 프링스의 비평가 니콜라 부리오(Nicilas Bourriaud, 1965-)를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은 1970년대의 석유파동으로부터 왔다.
포스트모던 미술은 어떤 의미에서 다분히 모스트모던적(most-modern)이라 할 수 있는가? 포스트모던 미술은 스스로 종말을 고할수록 훨씬 더 극적으로 모더니즘의 신화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다분히 ‘모스트모던적(most-modern)’이라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던적 상황이 모던적 구분을 완화했다는 것은 다만 선언적 차원에 지나지 않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치료가 놀라울정도로 실체와 무관한 이유는 무엇인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치료는 놀라울 정도로 실체와 무관하다. 그것이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가 말한 바 있는 ‘모조품(Simulacrum)’의 차원, 곧 포화실재적(Hyper-realist)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화실재문화는 이 시대 전반에 만연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