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
Post-Medium and Postproduction: Contemporaneity of Contemporary Art 원문보기

미술이론과 현장 =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v.14, 2012년, pp.187 - 215  

정연심 (홍익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studies of art historical methodology, such as Critical Terms for Art History and The Art of Art History, subjectivity, identity, abjection, and other terms have been placed safely in the genealogy of contemporary art history. This paper questions the contemporaneity in the story of con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본 논문은 ‘당대성’이라고 규정하는 동시대적 조건을 살펴보고, 현대미술에 등장하기 시작한 ‘포스트-미디엄’이라는 용어를 논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동시대미술의 현상에 대해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을 ‘포스트미디엄,’ ‘동시대성,’ ‘포스트프로덕션’이라는 각기 다른 용어로 접근해봄으로써, 일반화의 오류를 벗어나 개념적으로 서로 관통하는 지점이 있는지를 역으로 추적하고 싶었다.
  • 실증적인 관점에서 ‘동시대적인 것(the contemporary)’은 어느 시점부터 현대미술이 출발하느냐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지만, 본 논문은 연대기적 관점에서 동시대성을 논하기 보다는, 오늘날의 미술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져볼만한 논점들, 개념들을 다룰 것이다.
  • 먼저, 본 논문은 ‘당대성’이라고 규정하는 동시대적 조건을 살펴보고, 현대미술에 등장하기 시작한 ‘포스트-미디엄’이라는 용어를 논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당대성의 현상 중 한 가지 요소로 부각되는 포스트프로덕션의 방법론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포스트프로덕션에 대한 논의에서는 다음 두 논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작품의 전시방식, 소비방식(컬렉팅의 방식)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전통미술의 오브제나 미니멀리즘의 사물성과는 다른 패러다임을 형성한다. 포스트프로덕션 방식으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이 현저하게 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 개념이 서구 예술분야에서는 언제부터 논의되기 시작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2

가설 설정

  • 둘째, 포스트프로덕션이라는 방식 속에서 미술가들이 레디메이드나 차용과는 달리 기존의 이미지나 제작 방식을 하나의 ‘데이터(data)’로 접근하는 방식을 논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사 로슬러는 누구인가? 대표적인 페미니스트 미술가인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는 세계적인 [비엔날레] 전시들이 전지구화라는 최근의 전개 하에 중요한 컬렉터들이나 주체성(subjectivity)을 논하는 이론가들을 위해 봉사하는 격이라고 비판했으며, 이러한 대형 글로벌 비엔날레 전시들은 시장의 논리를 따르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로슬러는 이러한 비엔날레에 출품하는 전시 작가를 선정하는 것도 상당히 제도화되었으며, 작가선정은 파워풀한 갤러리나 큐레이터들과 같은 이해관계가 얽힌 집단에 의해 행사되고, 이는 바로 투자와 판매를 만족시킨다고 피력했다.
당대성을 학술적으로 접근한 논문은? 그럼에도 ‘당대성’을 학술적으로 접근한 논문들은 계속 출판되고 있다. 테리 스미스와 엔위저(Okwui Enwezor) 등이 쓴 『예술과 문화의 안티노미: 모더니티, 포스트모더니티, 동시대성(Antinomies of Art and Culture: Modernity, Postmodernity, Contemporaneity)』이라는 저서가 그 중 한 예인데, 본래 2004년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개최된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논문을 앤솔로지 형식으로 출판한 책이다.4 이 책은 복수형으로 존재하는 모더니즘(multiple modernisms)을 제안하며, 19세기와 20세기에 전개된 서구 중심의 모더니즘에서 벗어나 서구와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모더니티를 구축한 ‘더블, 유사-모더니티들(double, para-modernities)’을 구축하는 현 이론의 지형도를 보여준다.
국내에서 현대에 대한 한영번역은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가? 1990년대 중반이후, 미술대학을 비롯해 미술관 등에서 ‘동시대미술, 혹은 현대미술(contemporary art)’이라는 용어는 미술관에서는 현대미술분과라는 이름으로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현대미술강의 등으로 중요하게 부각되어 왔다. 국내에서 ‘현대’에 대한 한영번역은 ‘modern’이나 ‘contemporary’라는 두 용어를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