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사의 자질 및 업무에 대한 인식도 분석
The Perception of Nutrition Teacher's Competency and Du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3, 2009년, pp.316 - 326  

이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은주 (대룡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a nutrition teach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as a nutrition teacher a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for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54 preliminary teachers and a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문항은 선행 연구(Park 1992; Kim 2005)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기존 설문지는 교육을 이미 실시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각 문항에 대해 교사 자신의 행동 일치도로 측정하였으나 본 연구는 영양교사가 배치되기 이전 시점에 조사되었으므로 예비교사로서 향후 교사로서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질의 중요도로 측정하였다. 영양 교사로서의 자질은 Yoon 등(2002a)의 연구를 참고하여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영양교사제도의 도입이 결정되고 영양교사가 배치되기 위해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2006년에 조사된 것으로, 예비영양교사가 기대하는 영양교사의 미래에 대해 평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2007년부터 영양교사가 배치되어 아직까지 50% 이하의 배치율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제도 도입 이전과 이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다면 향후 영양교사제도의 정착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가 배치되기 이전 시점에서 예비 영양교사인 학부생, 양성과정생, 석사과정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사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교사로서 또한 영양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영양교사의 업무를 분석하며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영양교사제도 도입이 오래되지 않아서 선행연구는 주로 학교 영양사로서의 업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Kwak & Kim 1994; Koo 등 1999; Kwon 1999; Song & Kim 1999; Chang 2001; Lee 등 2002; Moon & Jang 2002; Park & Kim 2002; Yang 등 2002a; Yang 등 2002b), 영양교사제도(Cha & Seo 2006a; Cha & Seo 2006b)나 영양교사의 업무에 대한 연구(Shin 등 2006b; Lee 등 2008)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가 배치되기 이전 시점에서 예비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사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교사로서 또한 영양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영양교사의 업무를 분석하며 전문성 신장 방안에 대해 모색해 봄으로써 영양교사 제도의 정착화 및 역할 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에게 만성질환의 급증을 가져오는 식습관은 무엇인가? 청소년들의 편식과 불규칙한 식생활,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 사용의 증가는 저체중과 과체중 비만은 물론 만성질환의 급증을 가져와 사회적 문제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식습관과 건강한 식생활은 실천적 측면의 영양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확립될 수 있다(Cha & Seo 2006a).
영양교사제도가 도입된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의 영양교육에서 실천적 측면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 영양사임에도 불구하고 2006년까지는 교사신분이 아닌 식품위생직 공무원으로 되어 있어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영양 교육과 지도ㆍ상담을 하는데 한계가 있고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교사로부터의 업무협조를 얻기도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불균형을 개선하고 학생의 건강관리와 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며 학교급식 전문인력으로서 위상정립과 급식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영양교사제도가 도입되었다. 2003년 7월 25일 일부개정된 학교급식법 제7조에서는 현재 학교급식 전담직원인 영양사를 순차적으로 초ㆍ중등교육법상의 영양교사로 배치하도록 규정하여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이에 따른 영양교사의 배치는 학교의 영양사가 급식관리라는 기존 업무 뿐 만 아니라 영양교육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야 하는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을 의미한다.
영양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영양교사의 업무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예비영양교사들은 영양교사화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가능해지고(47.0%), 급식과 영양교육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상승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38.2%). 2. 교사로서 필요한 자질에 대해서는 ‘경험적ㆍ분석적 패러다임(4.19)’, ‘실제적ㆍ해석적 패러다임(4.13)’, ‘비판적ㆍ해방적 패러다임(4.15)’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요인별로는 ‘경험적ㆍ분석적 패러다임’ 중 ‘지식’ 관련 자질(4.38)과 ‘비판적ㆍ해방적 패러다임’ 중 ‘태도’ 관련 자질(4.23)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특히 교사로서의 전문성(4.38)과 자질 향상에 노력하는 것(4.30)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 영양교사로서 필요한 자질에 대해서는 전공 관련 지식을 보유하고(4.59) 학생들을 건강한 식생활로 이끌 수 있는 능력(4.59)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4. 예비영양교사들은 ‘영양관리(4.60)’와 ‘위생관리(4.60)’ 업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영양상담(3.83)’과 ‘영양교육(3.78)’ 업무가 가장 어렵다고 여겼다. 격자분석 결과, 중요도와 난이도 모두 높은 항목은 ‘영양교육’, ‘영양 상담’, ‘위생관리’로 이에 대한 업무 계발 노력과 교육과학기술부 및 교육청의 업무적 지원이 필요하다. 5. 영양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영양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영양교육을 위한 참고자료와 프로그램 개발(37.5%)’과 ‘영양교사 관련연수 이수(30.2%)’가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2005):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4): 393-404 

  2. Cha MH, Seo SH (2006a): Comparison analysi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work valu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expectation to be a nutrition teacher. Korean J Community Nutr 11(3): 361-373 

  3. Cha MH, Seo SH (2006b): Influence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work valu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ing effect of expectation to the institution of nutrition teachers. J Korean Soc Food Culture 21(6): 702-713 

  4. Chang UJ (2001):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Seoul. Korean J Diet Culture 16(5): 423-430 

  5. Cho YN (2001): Study on the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effectiveness. J Elementary Education 14(3): 243-267 

  6. Choo YJ, Lee JH, Yoon J, Ryu SH (2005):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dietitians'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10(4): 546-554 

  7. Kim HY (2007): The quality of a good teacher. Korean J Philosophy Education 38: 27-46 

  8. Kim JS, Kim JC, Seo JH, Jung WH, Jung JC, Kim SY (1995): The Newest Theory of Teachers, Educational Science Co., Seoul 

  9. Kim JY (2005):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valuation on their competency as a teacher. MS thesis.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oo JO, Kim KW, Kim CY, Park DY, Park HR (2007): Nutrition Education & Practice, Power Book Publishing Co., Seoul 

  11. Koo NS, Park JY, Park CI (1999): Study on foodservice management of dietitia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aejon and Chung Nam. J Korean Diet Assoc 5(2): 117-127 

  12. Kwak TK (2003): The broader role and attitude of school dietitian as a nutrition teacher. Nutr & Diet 9: 15-17 

  13. Kwak TK, Kim JL (1994): Evaluation of central commiss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practices and their dietitians' job duties. Korean J Diet Culture 9(2): 159-170 

  14. Kwon YS (1999): A job analysis in common management dietitian of school foodservice : Centering around Kyoungsangbuk-do. J Korean Diet Assoc 5(2): 182-193 

  15. Lee HJ (2003): Policy Research of School Foodservice on the Viewpoint of Education. Policy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of National Assembly Educational Committee 

  16. Lee MJ, Jang MS, Lee J (2008): Analysis of recognized changes in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dietitians transposed to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3(3): 243-258 

  17. Lee YE, Yang IS, Cha JA (2002): The importance and categorization of task element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 Korean J Nutr 35(6): 668-680 

  18. Martilla JA,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eting 41(1): 77-79 

  1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The Remedy of Teacher Training System for Promoting the Educational Level in Schoo 

  20. Moon HK, Jang YJ (2002): Analysis of the dietitian's Job description in the school. J Korean Diet Assoc 8(2): 143-153 

  21. Park EJ, Kim KN (2002): Job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8(2): 163-174 

  22. Park HG (2007): The Plan for Raising School Foodservice Satisfaction 2007.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p. 1-10 

  23. Park KM (199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haracteris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School Meal Service Act. [Enforcement 2006. 3. 1] [Act no. 6935, 2003. 7.25, Partial amendment] 

  25.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a):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 89-101 

  26. Shin KH, Shin EK, Park YH, Kim HH, Bae IS, Lee YK (2006b):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to set up the job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2): 105-117 

  27. Song ES, Kim MS (1999): Job analysis of school and hospital dietitians: Factor analysis of human attributes. Korean J Community Nutr 4(3): 431-440 

  28.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 [Enforcement 2008. 6.22] [Act no. 8915, 2008. 3.21, Partial amendment] 

  29. Yang IS, Lee YE, Cha JA, Yoo TY, Chung L (2002a): The development of standard and disposition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of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 Korean J Nutr 35(7): 800-817 

  30. Yang IS, Lee YE, Cha JA, Yoo TY, Chung L (2002b): Work measurement of dietetic staff through work sampling methodolog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 35(2): 263-271 

  31. Yoon JG, Lee IG, Kim KM (2002a): Basic Study on Public Officials of Food & sanitation's Need to Convert into a Nutrition Teacher.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32. Yoon JI, Song GC, Cho DS, Kim BJ (2002b): The Issue of Educational Policy in Korea, Educational Science Co.,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