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박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with Magnolia officinalis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5 no.2, 2009년, pp.117 - 123  

김현주 ((주)래디안) ,  이여명 ((주)래디안) ,  김연향 (한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  원선임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성아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신욱 ((주)래디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후박추출물은 중국 원산인 당후박에서 제조되며,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알려져 있다. 후박의 성분으로는 폴레페놀인 honokiolmagnolol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후박추출물이 triglyceride (TG)의 축척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는 표면적인 결과를 얻었다. 또한, 후박 추출물이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고 adipocyte에 specific한 transcription factors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gamma}$의 단백질과 mRNA 수준을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후박추출물이 항비만제로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와 그들의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gnolia extract, prepared from the Chinese herb Magnolia officinalis, is known for its pote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report, we showed that Magnolia extract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evidenced by reduced triglyceride (TG) accumulation. Also, Magnolia ex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인체에 무해하고 효능 성분을 보다 쉽게 인체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박 추출물에 대한 것으로,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을 감소시켜 세포의 크기를 줄이거나 지방세포에 분화에 관여하는 인자를 통해 지방 형성을 감소시키는 효능에 대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적은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쉽게 접근이 가능한 천연물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 조직은 어떤 기관인가? 지방 조직(adipose tissue)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관으로, 음식물 섭취 등으로 인해 과도하게 섭취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triglyceride (TG)를 형성한다. TG는 chylomicrons과 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입자를 통해 이동하며 extracellular lipoprotein lip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glycerol과 free fatty acid (FFA)를 생성한다.
지방 조직은 정상 성인의 총 몸무게의 몇 %를 차지하는가? 또한 FFA는 지방세포(adipocytes)에 의해 fatty acyl-CoA로 변환되어 glycerol-3-phosphate와 함께 세포 내에 TG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순환된다[1]. 이러한 지방 조직은 정상 성인의 총 몸무게의 15 ~ 20 %를 차지하며, 신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2]. 3T3-L1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분화 유도인자들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분화촉진인자(insulin, dexamethasone, 1-methyl-3-isobutylxanthine, prostaglandin F2α 등)을 첨가함으로써 세포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triglyceride는 어떻게 glycerol과 free fatty acid (FFA)를 생성하는가? 지방 조직(adipose tissue)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관으로, 음식물 섭취 등으로 인해 과도하게 섭취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triglyceride (TG)를 형성한다. TG는 chylomicrons과 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입자를 통해 이동하며 extracellular lipoprotein lip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glycerol과 free fatty acid (FFA)를 생성한다. 또한 FFA는 지방세포(adipocytes)에 의해 fatty acyl-CoA로 변환되어 glycerol-3-phosphate와 함께 세포 내에 TG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순환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P. B. Snyder, J. M. Esselstyn, K. Loughney, S. L. Wolda, and V. A. Florio, The role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in the regulation of adipocyte lipolysis, J. Lipid Res., 46, 494 (2005) 

  2. D. S. Gray, Diagnosis and prevalence of obesity, Med. Clin. North Am., 73, 1 (1989) 

  3. G. Ailhaud, P. Grimaldi, and R. Negrel, Cellular and aspects of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nu. Rev. Nutr., 12, 207 (1992) 

  4. F. M. Gregoire, C. M. Smas, and H. S. Sul,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 783 (1998) 

  5. X. Guo and L. Kan, Analysis gene expression profile during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Gene., 251, 45 (2000) 

  6. Z. Cao, R. M. Umek, and S. L. McKnight,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Genes Dev., 5(9), 1538 (1991) 

  7. W. C. Yeh, Z. Cao, M. Classon, and S. L. McKnight, Cascade regulation of terminal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hree members of the C/EBP familly of leucine zipper proteins, Genes Dev., 9(2), 168 (1995) 

  8. Q. Q. Tang, M. S. Jiang, and M. D. Lane, Repressive effect of Sp1 on the C/EBP $\alpha$ gene promoter: role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Mol. Cell. Biol., 19(7), 4855 (1999) 

  9. J. Y. Yang, M. A. Della Fera, S. Rayalam, and C. A. Baile, Enhanced effects of xanthohumol plus honokiol on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Obesity, 16(6), 1232 (2008) 

  10. S. W. Choi, C. S. Kim, M. S. Choi, B. H. Kim, H. S. Kim, and D. S. Choi, The study for antioxidative effec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extract as a new cosmetics ingredients using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1), 73 (2005) 

  11.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 Methods, 65, 55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