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공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피부 각질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Taraxaci Herba and Protective Effects on Human HaCaT Keratinocyt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4 no.3, 2009년, pp.103 - 108  

김형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김병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임세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김현영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이숙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  조수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김영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effects of Taraxaci Herba (TH) and protective effects on Human HaCaT keratinocyte. Methods : Anti-oxidative effects were measured by estimating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In additi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 작용을 가진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을 측정하고 인간 유래 정상 피부 각질세포를 직접적으로 보호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蒲公英 추출물(TH)의 항산화 효과 및 피부 각질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작용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고, DPPH 자유 산소라디칼 제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인간 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지 관찰하였다.
  • 2).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정상 세포 내에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정상 세포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는 산소를 이용한 세포 내 호흡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이며, 다양한 세포 실험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생성하는 자극원으로 사용된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蒲公英이란 무엇인가? 蒲公英(Taraxaci Herba, TH)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및 동속 근연식물의 전초로 淸熱解毒, 消腫散結, 利尿通淋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서 疔瘡腫毒, 乳癰, 瘰癧 등 피부의 염증 질환에 다용되어 왔다1).
플라보노이드란 무엇인가? 이들은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8,9).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음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계통의 색소로 페닐(phenyl)기 2개가 C3사슬에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로 되어 있으며,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에서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최근 부 등13)은 동양 각국에 자생 또는 재배하는 여주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ABTS 양이온 소거 활성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최 등14)은 紫菀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가 superoxide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포공영의 대표적인 성분은 무엇인가? 포공영은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약초 및 식품으로 이용되고2), 뿌리는 커피 대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북미에서는 전통적인 민간약초로 알려져 있다. 蒲公英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taraxastenol, taraxarol, taraxerol 등이 보고되어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전국본초학교수 공저. 본초학. 서울 : 영림사. 2007 : 243-4 

  2. 천순주, 김영훈, 황연경, 이진태, 박경숙, 조우아, 최은영.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의 항산화 활성 및 화장품소재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007 ; 13(1) : 293-7 

  3. 천순주, 조우아, 김영훈, 장민정, 성지연, 강보연, 최은영, 손준호, 백욱진, 이창언, 안봉전. 포공영(浦公英)의 항산화 및 화장품약리학적 활성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6 ; 21(4) : 109-13 

  4. 백흠영. 포공영의 자유라디칼 소거 및 간세포 보호활성. 생약학회지. 2003 ; 34(4) : 324-6 

  5. 김준한, 김태헌, 류영수, 고재황. 중추신경계에서 포공영의 항염증작용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 ; 11(2) : 11-21 

  6. Sander CS, Chang H, Salzmann S, Muller CS, Ekanayake-Mudiyanselage S, Elsner P, Thiele JJ. Phothoaging is associated with protein oxidation in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2002 : 618-25 

  7. Ozeki Y, Davies E, Takeda J. Structure and expression of chalcone synthesis gene in carrot suspension cultured cells regulated by 2.4-D. Plant Cell Physiology. 1993 ; 34(7) : 1029-37 

  8. Giovannini C, Scazzocchio B, Vari R, Santangelo C, D'Archivio M, Masella R. Apoptosis in cancer and atherosclerosis: polyphenol activities. Ann Ist Super Sanita. 2007 ; 43(4) : 406-16 

  9. Khan N, Afaq F, Saleem M, Ahmad N, Mukhtar H. Targeting multiple signaling pathways by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Cancer Res. 2006 Mar 1 ; 66(5) : 2500-5 

  10. Yamamoto Y, Gaynor RB. Therapeutic potential of inhibition of the NF- $_{\kappa}$ B pathway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cancer. J Clin Invest. 2001 ; 107(2) : 135-142 

  11. Cushnie TPT, Lamb AJ.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2005 ; 26(5) : 343-56 

  12. 정창호, 강수태, 주옥수, 이승철, 신영희, 심기환, 조성환, 최성길, 허호진. 국내 시판 녹차, 보이차, 우롱차 및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9 ; 16(2) : 230-7 

  13. 부희옥, 이현화, 이장원, 황성진, 박상언. 여주 품종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9 ; 17(1) : 15-20 

  14. 최두연, 최은진, 김청룡, 신지은, 우은란. 자원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의 생리활성. 생약학회지. 2009 ; 40(2) : 123-7 

  15. Mari M, Seiji K, Kenji F, Airo T and Toshimasa N.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ctivities of some pesticides and their combinations using MtT/Se cell proliferation assay.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6 ; 209(5) : 413-21 

  16. Swain T, Hillis WE.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 The quantiti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959 ; 10 : 63-8 

  17.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SH. Standard food analysis. Seoul : Jigu-moonwha Sa. 2002 : 381-2 

  18. 강병수, 이장천, 주영승, 오수석, 박용기. 원색한약도감. 대구 : 동아문화사. 2008 : 910-1 

  19. Park HJ, Kim HJ, Lee JY, Cho BK, Gallo RL, Cho DH. Adreno-corticotropin hormone stimulates interleukin-18 expression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2007 May ; 127(5) : 1210-6 

  20. Mi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and Milner A.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1993 ; 84 : 407-12 

  21.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ung JS and Song J. Antioxidatives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3 ; 11 : 127-34 

  22.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 Biol Med. 1996 ; 20 : 933-56 

  23.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and Son JH.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4 ; 47 : 244-50 

  24. Bi J, Jiang B, Liu JH, Lei C, Zhang XL, An LJ. Protective effects of catalpol against $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in astrocytes primary cultures. Neurosci Lett. 2008 Sep 19 ; 442(3) : 2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