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슬랙스 패턴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Slacks Pattern Grading Rule for Middle-aged Abdominal Obese Wome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5, 2009년, pp.771 - 778  

임지영 (대전대학교 응용산업대학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  김양원 (대전대학교 응용산업대학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may be some problems in size fitness for ready-made-clothes purchasers with fatty body shape especially for them with abdominal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Middle-aged women slacks by setting grading points and developing grading rules proper to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를 기초로 복부비만 중년여성 40~50대의 하반신 치수분포를 고찰하고 슬랙스 각 부위별 그레이딩 증감량을 조사하여 비만 체형의 특성에 따른 그레이딩 포인트 설정 및 그레이딩 룰을 개발함으로써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슬랙스 착용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복부비만 중년여성 40~50대의 하반신 체형특성에 따른 그레이딩 포인트 설정 및 그레이딩 룰을 개발함으로써 표준체형에서 벗어난 복부비만 체형의 슬랙스 착용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경우 허리둔부둘레비가 몇 이상이어야 복부비만인가? 중년의 비만 유형은 전신비만, 상체비만, 하체비만 등 여러 가지로 진행되는데 개체차 및 연령 증가에 따라 변화가 큰 부위는 하반신 동체부(문지연, 2002)로 하반신 변화는 허리와 배 부위가 비만해지고 엉덩이가 처지는(김경인, 1985) 복부비만형으로 점차 변화하게 된다. 복부비만은 허리둔부둘레비가 여성의 경우 0.8이상으로 여성생식기에 악성종양의 위험을 높이는 등(이득주 외, 1996) 여러 가지 신체적인 질병을 유발함으로써 정상 체중에 비해 사망률이 더 크며(Jee et al., 2006) 비만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 앞에 나서기를 주저하게 된다.
중년의 비만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연령층과 BMI 집단과의 관계를 보면 비만과 고도비만의 비율은 중년기인 40, 50대와 노년초기인 60대 여성에게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효숙, 이명희, 2008). 중년의 비만 유형은 전신비만, 상체비만, 하체비만 등 여러 가지로 진행되는데 개체차 및 연령 증가에 따라 변화가 큰 부위는 하반신 동체부(문지연, 2002)로 하반신 변화는 허리와 배 부위가 비만해지고 엉덩이가 처지는(김경인, 1985) 복부비만형으로 점차 변화하게 된다. 복부비만은 허리둔부둘레비가 여성의 경우 0.
본 연구는 복부비만 중년여성 40~50대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그레이딩 포인트 설정 및 그레이딩 룰을 개발함으로써 표준체형에서 벗어난 복부비만 체형의 슬랙스 착용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1.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의 치수분포조사 결과 허리둘레-엉덩이둘레 호칭에서 하드롭은 -6 cm~18 cm로 허리가 굵은 체형에 속하는 하드롭 -6 cm~12 cm 구간에 전체인원의 94.32%인 166명이 분포되었으며 하드롭 9 cm(25.57%), 하드롭6 cm(23.31%), 하드롭 3 cm(18.75%)에 해당되는 구간에 피험자가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2. 하드롭에 따라 분류된 3개 그룹 11개의 사이즈에 대하여 슬랙스원형을 제도하고 각 부위의 치수를 계측한 결과 하드롭 값이 큰 그룹은 비만이면서도 허리~엉덩이까지 굴곡이 있는 체형으로 하드롭 값이 적어 굴곡이 없는 H형 체형에 비해 엉덩이둘레에서의 증감량이 하드롭 값에 비례하여 점차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체형별 혹은 연령별로 적합한 그레이딩 룰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3. 그레이딩 패턴의 착의시 외관에 대한 평가 결과 전체적인 문항에서 평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룹내에서 사이즈간에 그레이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결그레이딩에 의한 밑위부위의 평균점수는 다른 부위의 평균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곡선부위에서 정확한 그레이딩 증감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그레이딩 룰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경인. (1985). 노년여성의 Bodice 원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선옥, 권수애, 유정자. (2009). 복부 비만 노년 여성을 위한 슬랙스 패턴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57-166 

  3. 김효숙, 이명희. (2008). 40, 50, 60대 비만체형 여성의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4), 618-629 

  4. 김희숙. (2001). 성인여성의 경부 및 견부의 유형에 따른 길원형 및 칼라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5), 770-782 

  5. 남상명, 하은희, 서영주, 박혜숙, 장문희, 서주희, 김병미. (2008).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 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7(1), 20-28 

  6. 문지연. (2002). 노년여성의 하반신 체형분류 및 하의류 치수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보고서 

  8. 성민정, 김희은. (2001). 비만 판정지수에 의한 여대생의 체형분류 및 체형인지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3), 227-234 

  9. 성옥진, 하희정. (2006). Plus-size 여성의 상반신 체형연구. 복식, 56(2), 101-111 

  10. 손부현, 김소영. (2008). 3차원을 이용한 중년 비만 여성용 스커트 설계 방법론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852-862 

  11. 송부경, 이정란. (2001). 슬랙스 구성요인에 따른 원형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303-1313 

  12. 심정희. (2003). 중년여성의 체형에 대한 자기평가. 한국의류학회지, 27(1), 18-28 

  13. 이득주, 김상만, 이은주, 권혁찬, 조남한, 정윤석. (1996). 여성에서 허리둔부 둘레비와 비만 관련 질환의 예측, 대한비만학회지, 5(1), 41-48 

  14. 이진희. (2000). 비만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2), 237-244 

  15. 이진희. (2002). 성인여성의 체형에 따른 기성복 적합성에 따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2), 189-197 

  16. 임지영. (2002). CAD 시스템을 활용한 여중생의 슬랙스 패턴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1-9 

  17. 임지영. (2008). 40.50대 중년여성의 기성복 구매 및 치수만족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335-341 

  18. 조훈정. (1993). 중년층 여성의 비만체형을 위한 스커트 원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영순. (2001). 체중조절 관심도에 따른 기성복 불만족에 관한 연구 -비만체형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0(3), 291-301 

  20. 하희정. (2008). 플러스사이즈 여성 온라인 의류 쇼핑몰의 정장 바지 사이즈 현황 및 맞음새 분석, 복식, 58(1), 133-150 

  21. Jee SH, Sull JW, Park J, Lee SY, Ohrr H, & Guallar E. (2006).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 Engl J Med, 355(8), 779-7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