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njugated linoleic acid의 섭취와 운동여부가 체지방 함량이 높은 여대생의 체중과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or Exercise on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in College Women with High Body Fat Mas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3 = no.205, 2009년, pp.307 - 312  

손세진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지은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박은교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백은영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지은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  김영재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태욱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대한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종혁 (부천대학교 생활스포츠과) ,  정인경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정현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체중이 정상이면서 체지방률 함량이 30%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CLA 보충과 운동 여부가 체지방함량과 체중 및 혈당,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2세였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들은 식이 조절을 하지 않았다. 실험 대상자들의 실험 후 체중과 BMI, 체지방 함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CLA-운동군이 placebo-비운동군에 비해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작았으며, 체지방 함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부지방을 나타내는 허리둘레도 CLA-운동군이 placebo-비운동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CLA를 섭취하고 운동을 하는 것이 운동을 하거나, CLA만 섭취하는 것보다 체중 조절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평균 공복혈당, TG, total cholesterol, LDL-C, HDL-C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고, CLA를 섭취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 혈중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LA와 운동을 병행하는 경우 상승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 CLA를 보충함으로써 체중 조절을 하는 것보다는 CLA와 운동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체중 조절에 효과적이며,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or exercise on body fat mass and weight, college women of normal weight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정상체중이며 체지방이 과다한 경우, 대사적으로 비만인 사람들과 비슷하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증상이 유발되기 쉽고, 스스로 인지하기 어려워 이를 치료·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 함량이 높은 정상체중의 여성을 대상으로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CLA의 보충과 운동 여부가 체지방의 축적과 체중 및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CLA와 운동에 의한 체중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실험 시간전 조사 대상자들에게 식이 섭취량 감소나 식이패턴 변화에 의한 체중 감소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시로 주의를 시켰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전·후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 대상자들의 영양소 및 열량 섭취 수준이 실험전과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질환의 원인이 되는가? 3%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2). 특히 비만은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암과 같은 여러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예방·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3-5).
비만은 무엇에 의해 초래되는가? 일반적으로 비만은 섭취하는 에너지와 소비하는 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는데, 섭취하는 에너지가 소비하는 에너지에 비해 높은 경우 체내에 잉여분의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어 유발된다. 따라서, 식이요법을 통해 섭취에너지를 줄이거나, 운동처치를 통해 소비에너지를 늘려 체중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6,7).
체중 조절을 도와주는 기능성 식품이나 보조 식품 중 CLA는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최근에는 체중 조절을 도와주는 기능성 식품이나 보조 식품이 각광받고 있으며, 여러 기능성 식품들이 제조·판매되고 있다. 이중 conjugated linoleic acid(CLA)는 지방의 연소를 돕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을 억제하는 지방산으로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기능성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CLA는 18개의 탄소에 2개의 이중결합 갖고 있는 linoleic acid의 isomer로 육류, 우유 및 유제품에 함유된 지방산이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health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2006) 

  2. Park YS, Lee DH, Choi JM, Kang YJ, Kim JH. Trend of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in Seoul over th past 23 years. J. Korean Oriental Pediatr. 43: 247-257 (2004) 

  3. Kahn SE, Zinman B, Haffner SM, O'Neill MC, Kravitz BG, Yu D, Freed MI, Herman WH, Holman RR, Jones NP, Lachin JM, Viberti GC. Obesity is a major determinant of the association of C-reactive protein level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es. Diabetes 55: 2357-2364 (2006) 

  4. Kurth T, Gaziano JM, Rexrode KM, Kase CS, Cook NR, Manson JE, Buring JE. Prospective study of body mass index and risk of stroke in apparently healthy women. Circulation 111: 1992-1998 (2005) 

  5. Giovannucci E, Rimm EB, Liu Y, Leitzmann M, Wu K, Stampfer MJ, Willett WC. Body mass index and risk of prostate cancer in U.S. health professionals. J. Natl. Cancer. Inst. 95: 1240-1244 (2003) 

  6. Lakka TA, Bouchard C.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andb. Exp. Pharmacol. 170:137-163 (2005) 

  7. Jakicic JM, Clark K, Coleman E, Donnelly JE, Foreyt J, Melanson E, Volek J, Volpe SL.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for adults. Med. Sci. Sport Exer. 33: 2145-2156 (2001) 

  8. Kelishadi R, Cook SR, Motlagh ME, Gouya MM, Ardalan G, Motaghian M, Majdzadeh R, Ramezani MA. Metabolically obese normal weight and phenotypically obese metabolically normal youths: The CASPIAN Study. J. Am. Diet Assoc. 108: 82-90 (2008) 

  9. De Lorenzo A, Martinoli R, Vaia F, Di Renzo L. Normal weight obese (NWO) women: An evaluation of a candidate new syndrome. Nutr. Metab. Cardiovas. 16: 513-523 (2006) 

  10. St-Onge MP, Janssen I, Heymsfield SB. Metabolic syndrome in normal-weight Americans: New definition of the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individual. Diabetes Care 27: 2222-2228 (2004) 

  11. Ruderman N, Chisholm D, Pi-Sunyer X, Schneider S. The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individual revisited. Diabetes 47: 699-713 (1998) 

  12. Keno Y. Matsuzawa Y, Tokunaga K, Fujioka S, Kawamoto T, Kobatake T, Tarui S. High sucrose diet increases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VMH-lesioned obese rats. Int. J. Obesity 15: 205-221 (1991) 

  13. Katsuki A, Suematsu M, Gabazza EC, Murashima S, Nakatani K, Togashi K, Yano Y, Sumida Y. Decreased high-molecular weight adiponectin-to-total adiponectin ratio in sera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n Japanese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men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Diabetes Care 29: 2327-2328 (2006) 

  14. Succurro E, Marini MA, Frontoni S, Hribal ML, Andreozzi F, Lauro R, Perticone F, Sesti G. Insulin secretion in metabolically obese, but normal weight, and in metabolically healthy but obese individuals. Obesity 16: 1881-1886 (2008) 

  15. Hayes C, Kriska A.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diabetes management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108: S19-S23 (2008) 

  16. Nicoletti G, Giugliano G, Pontillo A, Cioffi M, D'Andrea F, Giugliano D, Esposito, K.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program of weight reduction on endothelial functions in obese women. J. Endocrinol. Invest. 26: RC5-RC8 (2003) 

  17. Zanella MT, Kohlmann O. Jr, Ribeiro AB. Treatment of obes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syndrome. Hypertension 38: 705-708 (2001) 

  18. Kelley DS, Erickson KL. Modulation of body composition and immune cell functions by conjugated linoleic acid in humans and animal models: Benefits vs. risks. Lipids 38: 377-386 (2003) 

  19. Kim JH, Hubbard NE, Ziboh V, Erickson KL. Conjugated linoleic acid reduction of murine mammary tumor cell growth through 5-hydroxyeicosatetraenoic acid. Biochim. Biophys. Acta 1687: 103-109 (2005) 

  20. Kim JH, Hubbard NE, Ziboh V, Erickson KL. Attenuation of breast tumor cell growth by conjugated linoleic acid via inhibition of 5-lipoxygenase activating protein. Biochim. Biophys. Acta 1736: 244-250 (2005) 

  21. Kim JH, Hubbard NE, Lim D, Erickson KL. Conjugated linoleic acid reduc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 murine mammary tumor cells through alteration of prostaglandin E2. J. Food Sci. Nutr. 11: 1-5 (2006) 

  22. Park Y, Albright KJ, Storkson JM, Liu W, Pariza MW.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events body fat accumulation and weight gain in an animal model. J. Food Sci. 72: S612-S617 (2007) 

  23. Risrus U, Berglund L, Vessby B.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reduced abdominal adipose tissue in obese middle-aged men with signs of the metabolic syndrom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 1129-1135 (2001) 

  24. Lambert EV, Goedecke JH, Bluett K, Heggie K, Claassen A, Rae DE, West S, Dugas J, Dugas L, Meltzeri S, Charlton K, Mohede I. Conjugated linoleic acid versus high-oleic acid sunflower oil: effects on energy metabolism, glucose tolerance, blood lipids, appetite and body composition in regularly exercising individuals. Brit. J. Nutr. 97: 1001-1011 (2007) 

  25. Bhattacharya A, Rahman MM, Sun D, Lawrence R, Mejia W, McCarter R, O'Shea M, Fernandes G. The combination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treadmill exercise lowers gain in body fat mass and enhances lean body mass in high fat-fed male Balb/C mice. J. Nutr. 135: 1124-1130 (2005) 

  26. Colakoglu S, Colakoglu M, Taneli F, Cetinoz F, Turkmen M. Cumulativ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exercise on endurance development, body composition, serum leptin and insulin levels. J. Sports Med. Phys. Fitness 46: 570-577 (2006) 

  27. Diaz ML, Watkins BA, Li Y, Anderson RA, Campbell WW. Chromium picolinat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do not synergistically influence diet- and exercise-induc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health indexes in overweight women. J. Nutr. Biochem. 19: 61-68 (2008) 

  28. Gaullier JM, Halse J, Høivik HO, Hoye K, Syvertsen C, Nurminiemi M, Hassfeld C, Einerhand A, O'Shea M, Gudmundsen O. Six months supplement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induces regional-specific fat mass decreases in overweight and obese. Brit. J. Nutr. 97: 550-560 (2007) 

  29. Choi SM, Chung NY, Song CH, Kim SR.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 841-847 (2007) 

  30.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 259-271 (2007) 

  31. Cho DS, Lee JY.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13: 280-289 (2007) 

  32. Ma Y, Olendzki BC, Li W, Hafner AR, Chiriboga D, Hebert JR, Campbell M, Sarnie M, Ockene IS. Seasonal variation in food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body weight in a predominantly overweight population. Eur. J. Clin. Nutr. 60: 519-528 (2006) 

  33. Drickamer LC. Seasonal variation in litter size, bodyweight, and sexual maturation in juvenile female house mice. Lab. Animal 11: 159-162 (1977) 

  34. Plasqui G, Westerterp KR. Seasonal variation in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physical activity in Dutch young adults. Obesity Res. 12: 688-694 (2004) 

  35.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Waist circumference and not body mass index explains obesity-related health risk. Am. J. Clin. Nutr. 79: 379-38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