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체중감량 제품 복용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ake of Weight Loss Produ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456 - 467  

고상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송주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주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하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황현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 사회에서 외모가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가치로 부상함에 따라 날씬함이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이 체중감량 제품 복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과 7월에 온라인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20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료분석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체중감량 제품의 복용군과 비복용군 사이에는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든 변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체중감량 제품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OR=1.15, CI=1.03~1.29), 비만 스트레스(OR=1.13, CI=1.06~1.20), 다이어트 행동(OR=1.21, CI=1.10~1.33)과 체중감량 제품에 대한 부작용 지식(OR=3.86, CI=1.62~9.2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한 체중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체중감량 제품 복용이 필요한 경우, 제품의 성분, 부작용에 대한 적절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earance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oneself in modern society, and women often desire to lose weigh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e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weight loss need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ir body image, sociocultural attitude, body stres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생명윤리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여 연구목적, 방법, 연구 대상자 권리보장 및 설문지에 대한 사전 검증과정을 거친 후 실시되었다. 자발적인 의사에 의한 연구 참여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목적과 방법, 자료 수집 과정, 연구 참여 비밀 보장, 소요시간 등을 명시한 설명서에 동의한 후 설문을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 및 다이어트 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체중감량 제품의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이 체중감량 제품 복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체중감량 제품의 복용 정도를 알아보고, 체중감량 제품 복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식이 교육에 대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체중감량 제품 복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의 부담이 높은 여대생을 대상[4,8]으로 체중조절행동에 영향을 주는 체질량지수, 체형인식, 만족도 등[5,6,10]을 일반적 특성으로, 신체상[10],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16], 비만스트레스[9], 다이어트 행동[16]등을 연구변수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체중감량 제품의 복용 실태를 파악하고, 신체상,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비만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행동이 체중감량 제품의 복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여대생의 올바른 체중 인식과 체중조절 방법의 교육에 대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적인 외모를 이상적 실현의 기준으로 함에 따라 날씬한 사람과 게으른 사람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게 되는가? 또한 아름다움에 대해 개인의 개성보다는 TV나 잡지와 같은 대중매체에서 보여주는 획일적인 기준에 따라 판단되면서, 대중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적인 외모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상적 실현의 기준이 되었다.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날씬한 몸매를 가진 사람에게는 찬사를, 비만인에 대해서는 희화화하며 게으르거나 자기관리가 부족한 사람으로 평가하기도 한다[1-3]. 또한 대다수 문화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의 비만에 대해 더욱 폄하하거나 미의 기준이 더욱 엄격하게 적용되는 경향이 있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청소년기부터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더 많이 느끼고 체중감량 시도를 더하게 된다[4].
최근에는 어떤 체형이 미(美)의 기준으로 여겨지는가? 시대에 따라 미(美)의 기준은 조금씩 변화되어 오면서 최근에는 마른 체형이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아름다움에 대해 개인의 개성보다는 TV나 잡지와 같은 대중매체에서 보여주는 획일적인 기준에 따라 판단되면서, 대중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적인 외모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상적 실현의 기준이 되었다.
여성들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이유는? 또한 대다수 문화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의 비만에 대해 더욱 폄하하거나 미의 기준이 더욱 엄격하게 적용되는 경향이 있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청소년기부터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더 많이 느끼고 체중감량 시도를 더하게 된다[4]. 이러한 사회적 잣대와 압박과 함께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신체외형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날씬한 몸매를 갖고자 하는 여성들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Kim, M. Kim, "Effect of self-esteem, body image and external factors of body type on die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22, no. 4, pp. 65-75, 2010. 

  2. Y. K. Jung, Y. S. Tae, "Factors affecting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16, no. 4, pp. 646-666, 2004. 

  3. J. Kim,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d on weight control diet experience of the fe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0, no. 1, pp. 19-24, 2008. 

  4. Y. Lee, "Slender women and overweight men: Gender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gradient in body weight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vol. 16, pp. 202, 2017. DOI: https://doi.org/10.1186/s12939-017-0685-9 

  5. J. Wardle, A. M. Haase, A. Steptoe,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 30, no. 4, pp. 644-651, 2006.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3050 

  6. M. O. Kim, J. G. Eun, U. J. Chang, "Recognition of body weight and body part satisfa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 22, no. 2, pp. 205-214, 2009. 

  7. M. O. Kim, U. J. Chang,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 22, no. 1, pp. 110-122, 2009. 

  8. M. K. Jo, E. J. Choi, J. W. Lee, Y. N. Lee, J. Y. Choi, "Correlations in appearance,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0, no. 2, pp. 114-150, 2013. 

  9. J. I. Kim, "Predictors of weight 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BMI, perception of body shape, obesity stress,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6, pp. 438-448,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6.438 

  10. M. B. Schwartz, K. D. Brownell, "Obesity and body image", Body Image, vol. 1, no. 1, pp. 43-56, 2004. DOI: https://doi.org/10.1016/S1740-1445(03)00007-X 

  11. H. S. Won, H. J. Lee, J. S. Kwak, J. Kim, M. K. Kim, O. Kwon, "Study on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or health/functional food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 45, no. 6, pp. 541-551, 2012. DOI: https://doi.org/10.4163/kjn.2012.45.6.541 

  12. H. J. Lee, H. S. Won, J. S. Kwak, M. K. Kim, O. Kwon,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control or functional health food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44, no. 3, pp. 243-254, 2011. DOI: https://doi.org/10.4163/kjn.2011.44.3.243 

  13. H. J. Hong, Case study on body weight control drug use of Korean adult women [master's thesis]. p.1-43.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0. 

  14. D. H. Kim, W. S. Shin, D. H. Kim, Y. J. Jeong, H. B. Im, W. H. Park, Y. Y. Cha, "An analysis of domestic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 -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ol. 13, no. 1, pp. 1-9, 2013. 

  15.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nternet]. Rockville (M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2017[cited 2018 Jan 6]. Available From: https://ods.od.nih.gov/factsheets/WeightLoss-HealthProfe ssional/. 

  16. H. K. Kwon, C. J. Lee, S. K. Jin, K. H. Seo, J. E. Lee, "The relationship of diet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college women (On body dissatisfaction, self-esteem, eating attitud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vol. 15, no. 3, pp. 3-25, 1996. 

  17. J. S. Kim, Y. M. Lee, "Impacting factors on weight control steps with respect to diet experience and body mass index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23, no. 4, pp. 250-256, 2014. DOI: https://doi.org/10.7570/kjo.2014.23.4.250 

  18. J. C. Rosen, A. Jones, E. Ramirez, S. Waxman, "Body shape questionnaire: Studi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 20, no. 3, pp. 315-319, 1996. DOI: https://doi.org/10.1002/(SICI)1098-108X(199611) 20:3 3.0.CO;2-Z 

  19. M. Y. Shin,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ocultural influence for appearance and dietary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f body image and cognitive distor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12, no. 2, pp. 183-198, 2012. 

  20. L. J. Heinberg, J. K. Thompson, S. Storm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 17, no. 1, pp. 81-89, 1995. DOI: https://doi.org/10.1002/1098-108X(199501)17:1 3.0.CO;2-Y 

  21. S. S. Lee, K. J. Oh, "Validation study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2, no. 4, pp. 913-926, 2003. 

  22. D. I. Ben-Tovim, M. K. Walker, "The development of the Ben-tovim walker body attitudes questionnaire (BAQ), a new measure of women's attitudes towards their own bodies", Psychological Medicine, vol. 21, no. 3, pp. 775-784, 1991. DOI: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22406 

  23. M. S. Kim,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obesity stress,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s by actual overweight status and overestimated self body image [master's thesis]. p.1-48. Pocheon: Daejin University, 2010. 

  2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p.1-191, Chungwoon Publishers, 2014. 

  25. M. H. Blanck, M. K. Serdula, C. Gillespie, D. A. Galuska, P. A. Sharpe, J. M. Conway, L. K. Khan, B. E. Ainsworth, "Use of nonprescription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s common among American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 107, no. 3, pp. 441-447, 2007. DOI: https://doi.org/10.1016/j.jada.2006.12.009 

  26. Korea Consumer Agency. Diet food side effects survey [Internet].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Korea Consumer Safety Center, c2011[cites 2018 Jan 25], Available From: http://tprice.go.kr/brd/m_62/view.do?seq304&page20. 

  27. L. M. Gianini, J. E. Smith, "Body dis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in female undergradu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Consultation and Therapy, vol. 4, no. 1, pp. 48-60, 2008. DOI: https://doi.org/10.1037/h0100831 

  28. E. Doris, Ia. Shekriladze, N. Javakhishvili, R. Jones, J. Treasure, K. Tchanturia, "Is cultural change associated with eating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ating and Weight Disorders, vol. 20, no. 2, pp. 149-160, 2015. DOI: https://doi.org/10.1007/s40519-015-0189-9 

  29. Y. S. Kwon, "A study on obesity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9, no. 3, pp. 431-442, 2008. 

  30. E. H. Wee, "A study on differences in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mong adolescent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by sex and ag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27, no. 1, pp. 13-2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