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산화탄소가 잎새버섯의 자실체 발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arbon Dioxide on the Fruiting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Grifola frondos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7 no.1, 2009년, pp.60 - 64  

지정현 (한경대학교 생물환경 정보통신전문대학원) ,  김정한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주영철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서건식 (한국농업대학 특용작물학과) ,  강희완 (한경대학교 생물환경 정보통신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잎새버섯의 자실체 원기 발달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실체 원기는 500과 800 ppm에서 각각 100, 96%가 자실체로 발달되었으나 1,000과 1,500 ppm에서는 각각 68, 63%만이 자실체로 발달하였다. 초발이 소요일수도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하에서는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나 자실체 생육은 시험한 이산화탄소 범위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재배일수는 500과 800 ppm에서 57일, 1,000 ppm에서 62일, 1,500 ppm에서 64일이 소요되었다. 1 kg 봉지 당 수확량은 500과 800 ppm에서 227 g, 1,000 ppm에서 191 g, 1,500 ppm에서 205 g으로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자실체의 형태는 500과 800 ppm에서는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균일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1,000 ppm에서는 형태가 불균일하고, 1,500 ppm에서는 기형으로 성장하여 잎새버섯의 고품질 생산을 위해서는 800 ppm 이하로 생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CO_2$ concentration (500, 800, 1,000 and 1,500 ppm) o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fruit body of Grifola frondosa on sawdust cultivation were studied. Optimum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for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ruit body showed the ranges from 50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잎새버섯의 안정적 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재배 환경 중 생육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잎새버섯 자실체의 발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를 기초로 고품질버섯 다수확을 위한 생육 기간 중 최적의 환기조건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자균류의 형태 형성은 어떤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담자균류의 형태 형성은 광,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등과 같은 환경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중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농도, 각종 휘발성 물질, 풍속 등은 담자균류의 자실체의 형태 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古川, 1992).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버섯균이 생장하면서 호흡작용을 통하여 산소를 이용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재배사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쉽게 고농도로 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별 잎새버섯의 자실체는 어떤 형태로 성장하는가? 1 kg 봉지 당 수확량은 500과 800 ppm에서 227 g, 1,000 ppm에서 191 g, 1,500 ppm 에서 205 g으로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자실체의 형태는 500과 800 ppm에서는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균일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1,000 ppm에서는 형태가 불균일하고, 1,500 ppm에서는 기형으로 성장하여 잎새버섯의 고품질 생산을 위해서는 800 ppm 이하로 생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잎새버섯은 어떤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는가?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항암작용(Wu et al., 2006; Kodama et al., 2005), 항바이러스작용(Nanba et al., 2000), 혈당강하작용(Talpur et al., 2002), 혈압강하작용(Choi et al., 2001), 콜레스테롤 억제작용(Fukushima et al., 2001), 항산화작용(Mau et al., 2002) 등의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고, 주산지인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생산과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9년에 잎새버섯 우량계통인 ‘잎새1호’가 육성되었고 인공재배법이 개발되었으나(정과 주, 1989), 재배용 배지에서 균사 생장률과 수량성이 낮아 농가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정한, 원선이, 지정현, 주영철. 2006. 잎새버섯 균주선발 및 생리특성 연구. 경기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 617-629. 

  2. 김정한, 최종인, 지정현, 원선이, 서건식, 주영철. 2008. 잎새버섯 봉지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 연구. 한국균학회지 36: 26-30. 

  3. 정환채, 주현규. 1989. 잎새버섯 우량계통 육성과 인공재배법 개발. 농사시험연구논문집 31: 43-47. 

  4. 古川久彦. 1992. きのこ學. 共立出版株式會社. 

  5. 大森淸壽, 小出博志. 2006. キノコ栽培全科. pp. 97-109. 社團法人 農山漁村文化協會. 

  6. Choi, H. S., Cho, H. Y., Yang, H. C., Ra, K. S. and Suh, H. J. 2001.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Grifola frondosa. Food Res. Intl. 34: 177-182 

  7. Fukushima, M., Ohashi, T., Fujiwara, Y., Sonoyama, K. and Nakano, M. 2001.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maitake (Grifola frondosa) fiber, shiitake(Lentinus edodes) fiber, and enokitake(Flammulina velutipes) fiber in rats. Soc. Exp. Biol.Med. 226: 758-765 

  8. Hintikka, V. and Korhonen, K. 1970. Effect of carbon dioxide on the growth of lignicolous and soil-inhabiting Hymenomycetes. Communicationes Instituti Forestalis Fenniae. 62(5): 1-29. 

  9. Ingold, C. T. and Nawaz, M. 1967. Carbon dioxide and fruiting in Sphaerobolus. Ann. Bot. (N. S.) 31: 351-357. 

  10. Kinugawa, K., Suzuki, A., Takamatsu, Y., Kato, M. and Tanaka, K. 1994. Effect of concentrated carbon dioxide on the fruiting of several cultivated basidiomycetes (II). Mycoscience 35: 345-352. 

  11. Kinugawa, K., Takamatsu, Y., Suzuki, A., Tanaka, K. and Kondo, N. 1986. Effect of concentrated carbon dioxide on the fruiting of several cultivated basidiomycetes. Trans. mycol. Soc. Japan 27: 327-340. (In Japanese.) 

  12. Kodama, N., Murata, Y., Asakawa, A., Inui, A., Hayashi, M., Sakai, N. and Nanba, H. 2005. Maitake D-fraction enhances antitumor effects and reduces immunosuppression by mitomycin-C in tumor-bearing mice. Nutrition 21: 624-629 

  13. Long, P. E. and Jacobs, L. 1974. Aseptic fruiting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Trans. Br. Mycol. Soc. 63: 99-107. 

  14. Mau, J. H., Lin, H. C. and Song, S. 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l. 35: 519-526 

  15. Nanba, H., Kodama, N. Schar, D. and Turner, D. 2000. Effects fo maitake(Grifola frondosa) glucan in HIV-infected patients. Mycoscience 41: 293-295 

  16. Niederpruem, D. J. 1963. Role of carbon dioxide in the control of fruiting of Schizophyllum commune. J. of Bacteriol. 85: 1300-1308. 

  17. Taber, W. A. 1966. Morphogenesis in basidiomycetes. In: "The Fungi," (ed. by Ainsworth, G. C. and Sussman, A. S.) Vol. 2, pp. 387-412. Academic Press, New York. 

  18. Talpur, N. A., Echard, B. W., Fan, A. Y., Jaffari, O., Bagchi, D. and Preuss, H. G. 2002. Antihypertensive and metabolic effects of whole maitake mushroom powder and its fractions in two rat strains. Mol. Cell. Biochem. 237: 129-136. 

  19. Tschierpe, H. J. 1959. Der Einfluss von Kohlendioxyd auf die Fruchtkorperbildung und die Fruchtkorperform des Kulturchampignons. Mush. Sci. 4: 235-250. 

  20. Tschierpe, H. J. and Sinden. 1964. Weitere Untersuchungen uer die Bedeutung von Kohlendioxyd fur die Fructifikation des Kulturchampignons, Agaricus campestris var. bisporus (L) Lge. Arch. Mikrobiol. 49: 405-425. 

  21. Wu, M. J., Cheng, T. L., Cheng, S. Y., Lian, T. W., Wang, L. Grifola frondosa in submerged culture. J. Agric. Food Chem. 54: 2906-29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