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루궁뎅이버섯류의 톱밥재배와 항산화물질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awdust Cultivation and the Antioxidants of Hericium spp.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7 no.1, 2009년, pp.80 - 85  

유성열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이위영 (국립산림과학원 생물공학과) ,  가강현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품종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써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보존중인 노루궁뎅이류의 균주를 이용하여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온도, 신갈나무에 톱밥재배, 황산화 활성물질인 ergothioneine와 polyphenols에 대해 조사하였다. 노루궁뎅이의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0^{\circ}C$에서 KFRI 842, $25^{\circ}C$에서 5개 균주(KFRI 507, 508, 509, 843, 845), $30^{\circ}C$에서 2균주(KFRI 582, 844) 이었다. 산호침버섯의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circ}C$ 이었다. 노루궁뎅이류 9개 균주중 4개(KFRI 508, 843, 844, 713)는 $25^{\circ}C$에서 20일내에 직경 85 mm의 페트리디쉬 PDA 배지를 채웠다. 그리고 나머지 균주들은 페트리디쉬를 채우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노루궁뎅이의 버섯 생산량은 $149{\sim}205$ g 범위 이었고 자실체 건물율은 $7{\sim}9%$ 이었다. 산호침버섯은 261 g 이었고 건물율은 10% 이었다. 노루궁뎅이의 ergothioneine과 polyphenols는 $1.6{\sim}3.7$ mg/g과 $5.9{\sim}7.8$ mg/g 이었고, 균주별로 차이가 있었다. 산호침버섯은 1.7mg/g의 ergothioneine과 3.9mg/g의 polyphenols를 함유하고 있었다. Ergothioneine과 polyphenols은 균주 간 두 성분의 함량 차이는 나타났으나 함량비는 차이가 없었다($R^2$= 0.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develop new varieties of Hericium spec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to figure out the applicability to sawdust cultivation on Quercus mongolica substrate, and to analyz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erg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적 가치가 높은 노루궁뎅이류 수집 균주들에 대하여 앞으로 신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 자실체 발생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ergothioneine과 polyphenols 함량을 조사하였다.
  • 신품종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써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보존중인 노루궁뎅이류의 균주를 이용하여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온도, 신갈나무에 톱밥재배, 황산화 활성물질인 ergothioneine와 polyphenols에 대해 조사하였다. 노루궁뎅이의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0℃에서 KFRI 842, 25℃에서 5개 균주(KFRI 507, 508, 509, 843, 845), 30℃에서 2균주(KFRI 582, 844)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분포하고 있는 노루궁뎅이 버섯류로 어떤 종이 있는가? , 2004; Flck, 1995). 우리나라에서는 노루궁뎅이 버섯류 4종(H. caput-medusae, H. coralloides, H. erinaceus, H. ramosum)이 알려져 있지만(이와 이, 2000), H. caput-medusae는 H. erinaceus이고, H. ramosum은 H. coralloides로 정정되어 실제는 2종이 분포하고 있다(http:// www.indexfungorum.
항산화 물질인 ergothioneine 생합성은 어떤 생물에서 일어나는가? 항산화물질인 ergothioneine (ERG)은 버섯에서 생합성이 이루어지나, 인간을 비롯한 동물 및 고등식물에서는 합성하지 못한다(Audley and Tan, 1968; Melville et al, 1956). 그래서 인체에서 직접적인 활성산소를 소거작용 하는 ERG는 버섯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인체에서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한다(Arduino et al.
노루궁뎅이류 버섯을 소재로 어떤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노루궁뎅이는 균사 생장 및 자실체 발생(Ko et al., 2005; 고 등, 2004), 배양특성(고 등, 1997), 추출공정(이 등, 2007), 추출물(최 등, 2003; 정 등, 2007), 추출물의 제형가공(박 등, 2006) 등 다양한 연구가 국내에서 시도되고 있다. 아울러 노루궁뎅이에서 새로운 물질구명(Zhang et al., 2007), erinacines의 구조동정(Kawagishi et al., 2006; Kenmoku et al., 2000), 다당류 구조동정(Wang et al., 2004) 등이 연구되었고, 이들 물질들에 대한 신경세포 활성(Shimbo et al., 2005), 황산화 활성; Mau et al., 2002; 정 등, 2007), 대식세포 활성(Son et al., 2006)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한규, 김동명, 박원목. 1997. 노루궁뎅이버섯 (Hericium erinaceus)의 새로운 균사배양기의 조성. 한국균학회지 25: 369-376. 

  2. 고한규, 박혁구, 김성환, 박원목. 2004. 톱밥 및 농업부산물 이용 배지상에서 노루궁뎅이버섯 (Hericium erinaceum)의 균사생장 및 자실체형성. 한국균학회지 32: 89-94. 

  3. 김광포, 김한경, 박정식, 유영복, 유창현, 전창성, 정종천, 조세연. 2000. 최신병해충방제도감 -재배기술과 이론-. 한국버섯연구회. p699-710. 

  4. 김양섭, 석순자, 원항연, 이강효, 김완규, 박정식. 2004. 한국의 버섯 -식용버섯과 독버섯-. 동방미디어(주). 

  5. 박수정, 홍주현, 윤광섭, 최용희. 2006.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제형가공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569-573. 

  6. 이경아, 정지은, 최용희. 2007. 노루궁뎅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 최적화. 산업식품공학 11: 195-202. 

  7. 이태수, 이지열. 2000. 한국 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63호. 

  8. 장현유, 노문기. 1999. 노루궁뎅이버섯의 재배방법에 따른 수량성. 한국균학회지 27: 249-251. 

  9. 정재현, 이광호, 이신영. 2007. Hericium erinaceum 균사체와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몇몇 in-vitro 및 in-vivo 생물활성. 한국생물공학회지 22: 22-29. 

  10. 최미애, 박난영, 우승미, 정용진, 신승렬. 2003. 노루궁뎅이 버섯 및 추출물의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0: 560-564. 

  11. 大森 淸壽. 2000. きのこ登錄品種200. 全國食用きのこ種菌協會. 

  12. 森喜美男. 1992. 最新シイタケのつくり方. 日本きのこ硏究所. 

  13. Audley B. G. and Tan, C. H. 1968. The uptake of ergothioneine from the soil into the latex of Hevea brasiliensis. Phytochemistry 7: 999-2000. 

  14. Akanmu D., Cecchini, R., Aruoma, O. I. and Halliwell, B. 1991. The antioxidant action of ergothioneine. Arch Biochemical and Biophysics 288: 10-16. 

  15. Arduino A., Eddy, L. and Hochstein, P. 1990. The reduction of ferryl myoglobin by ergothioneine: a novel function for ergothioneine. Arch Biochemical and Biophysics 281: 41-43. 

  16. Aruoma O. I., Whiteman, M. E. and Halliwell, B. 1997. The antioxidant action of L-ergothioneine. Assessment of its ability to scavenge peroxynitrit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31: 389-391. 

  17. Chang, S. T. and Miles, P. G. 2004. Mushrooms: Cultivation, nutritional value, medicinal effect, and environmental impact. CRC Press. 

  18. Cui Y., Kim, D. S. and Park, K. C. 2006. Antioxidant effect of Inonotus obliqu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6: 79-85. 

  19. Dubost, N. J., Ou, B. and Beelman, R. B. 2007. Quantification of polyphenols and ergothioneine in cultivated mushrooms and correlation to total antioxidant capacity. Food Chemistry 105: 727-735. 

  20. Dubost N. J., Beelman R., D. and Royse D. 2006.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ergothioneine in cultivated mushroom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al Mushrooms 8: 215-222. 

  21. Fu, H.Y., Shieh, D.E. and Ho, C.T. 200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Journal of Food Lipids 9: 35-46. 

  22. Flck, M. 1995. Welcher Pilz ist das?. Franckh-Kosmos Verlags-GmbH & Co. 

  23. Hall, I. R., Stephenson, S. L., Buchanan, P. K., Wang, Y. and Cole, A. L. J. 2004. Edible and poisonous mushrooms of the world. Timber Press. 

  24. Kawagishi, H., Masui, A., Tokuyama, S. and Nakamura, T. 2006. Erinacines J and K from the mycelia of Hericium erinaceum. Tetrahedron 62: 8463-8466. 

  25. Kenmoku, H., Sassa, T. and Kato, N. 2000. Isolation of erinacine P, a new parental metabolite of cyathane-xylosides, from Hericium erinaceum and its biomimetic conversion into erinacines A and B. Tetrahedron Letters 41: 4389-4393. 

  26. Ko, H. G., Park, H. G., Park, S. H., Choi, C. W., Kim, S. H. and Park, W. M. 2005. Comparative study of mycelial growth and basidiomata formation in seven different species of the edible mushroom genus Hericium. Bioresource Technology 96:1439-1444. 

  27. Mau, J.-L., Lin, H.-C. and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 519-526. 

  28. Melville D. B., Genghof, D. S., Inamine, E. and Kovalenko. 1956. Ergothioneine in microorganism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3: 9-17. 

  29. Sakrak O., Kerem, M., Bedirli, A., Pasaoglu, H., Akyurek, N., Ofluoglu, E. and Gltekin, F. A. 2008. Ergothioneine modulate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heat shock protein 70 in mesenteri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144: 36-42. 

  30. Shimbo, M., Kawagishi, H. and Yokogoshi, H. 2005. Erinacine A increases catecholamine and nerve growth factor conten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rats. Nutrition Research 25: 617-623. 

  31. Son, C. G., Shin, J. W., Cho, J. H., Cho, C. K., Yun, C. H., Chung, W. and Han, S. H. 2006. Macrophage activ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by water soluble components of Hericium erinaceum.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6: 1363-1369. 

  32. Wang, Z., Luo, D. and Liang, Z. 2004. Structure of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Pers. Carbohydrate Polymers 57: 241-247. 

  33. Zhang, A.-Q., Sun, P.-L., Zhang, J.-S., Tang, C.-H., Fan, J.-M., Shi, X.-M. and Pan, Y.-J. 2007. Structural investigation of a nevel fucoglucogalactan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ies of the fungus Hericium erinaceus. Food Chemistry 104: 451-4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