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G-stim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2, 2009년, pp.1 - 8  

조인술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장종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경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욱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  박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G-stim related to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an intensive massed practice protocol. Methods: The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EMG-stim group (n=10) or sham treatment group (n=10). Both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EMG‐stim을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목과 손의 신전근에 적용하여, 단기간 집중적인 치료의 적용이 상지의 운동학 및 기능적 능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 일상생활동작의 과제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한 뇌졸중 환자의 궁극적인 치료는 상지 운동 기능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치료사들은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더 이상 회복을 보이지 않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주 5회, 하루에 30분씩 2회 손목과 손의 신전근에 EMG‐stim을 적용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적용하였고, 집중적인 치료 후 상지의 임상적 및 기능적 능력의 회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란? 현재 뇌졸중 환자의 상지의 운동회복을 위해 건측의 운동제한을 이용한 치료법(constraint induced therapy), 관절운동추적훈련(joint motion tracking training), EMG 바이오피드백, 고유수용성신경근 촉진법, 보바스 치료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5‐8 그 중의 하나가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EMG trigger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EMG‐stim)이다.9 EMG‐stim은 기존의 단순 반복적인 전기자극치료와는 달리, 환자의 능동적 의지가 개입되는 전기자극치료로서, 대상 근육의 수의적 근수축 신호가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할 때 기계로부터 전기자극이 유발되어 환자는 좀 더 강한 근수축과 관절가동범위의 증가를 경험하게 된다.9,10 즉, 수의적 개시는 전기자극을 유발하기 위한 자극원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 역할은 매우 강조된다.
운동기능을 손상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것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운동기능을 손상시키는 주된 원인들 중의 하나이다. 뇌졸중 환자들의 운동기능의 손상은 손상된 대뇌 반구의 반대측 절반이 마비되어 감각 및 운동장애가 나타나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대단위 운동기능(gross motor function), 소단위 운동기능(fine motor function), 공동 운동패턴(synergic movement pattern)이나 반응의 지연성(slowness) 등의 장애로 일상생활의 기능적 활동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보행이나 상지의 부드러운 운동에 제한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 환자들의 운동기능의 손상 장애에는 무엇이 있나? 뇌졸중은 운동기능을 손상시키는 주된 원인들 중의 하나이다. 뇌졸중 환자들의 운동기능의 손상은 손상된 대뇌 반구의 반대측 절반이 마비되어 감각 및 운동장애가 나타나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대단위 운동기능(gross motor function), 소단위 운동기능(fine motor function), 공동 운동패턴(synergic movement pattern)이나 반응의 지연성(slowness) 등의 장애로 일상생활의 기능적 활동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보행이나 상지의 부드러운 운동에 제한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뇌졸중 환자의 물리치료는 마비측의 감각운동기능, 운동제어, 체간의 균형 등과 같은 움직임의 기능적 향상을 위해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Outcome and time course of recovery in stroke. Part II: Time course of recovery.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5):406-12. 

  2. Feys HM, De Weerdt WJ, Selz BE et al.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1998;29(4):785-92. 

  3. Cooper BY, Glendinning DS, Vierck CJ. Finger movement deficits in the stumptail macaque following lesions of the fasciculus cuneatus. Somatosens Mot Res. 1993;10(1):17-29. 

  4. Chollet F, DiPiero V, Wise RJ et al. The functional anatomy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in humans: A study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n Neurol. 1991;29(1):63-71. 

  5. Armagan O, Tascioglu F, Oner C.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the hemiplegic hand: A placebo-controlled stud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11):856-61. 

  6. Chung YJ, Cho SH, Lee YH. Effect of the knee joint tracking training in closed kinetic chain condition for stroke patients. Restor Neurol Neurosci. 2006;24(3):173-80. 

  7. Lee MK, Kim JM, Kim WH. The effects of pnf leg patterns on activation of biceps and triceps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1):1-7. 

  8. Szaflarski JP, Page SJ, Kissela BM et al. Cortical reorganization following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 study of 4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8):1052-8. 

  9. Bolton DA, Cauraugh JH, Hausenblas HA.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and stroke motor recovery of arm/hand functions: A meta­analysis. J Neurol Sci. 2004;223(2):121-7. 

  10. Park RJ, Oh JR.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sitting balance in cerebral palsy. J Kor Soc Phys Ther. 2002;14(4):204-13. 

  11. Ghez C, Gordon J, Ghilardi M et al. Contribution of vision and proprioception to accuracy in limb movement In: Gazzaniga M, eds, The cognitive neuroscience Bost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95. 

  12. Chae J, Yu DT.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motor restoration in hemiparesis. Top Stroke Rehabil. 2002;8(4):24-39. 

  13. Powell J, Pandyan AD, Granat M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of wrist extensors in poststroke hemiplegia. Stroke. 1999;30(7):1384-9. 

  14. Cauraugh J, Light K, Kim S et al. Chronic motor dysfunction after stroke: Recovering wrist and finger extension by electromyography-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Stroke. 2000;31(6):1360-4. 

  15. de Kroon JR, MJ IJ.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upper extremity in stroke: Cyclic versus emg-triggered stimulation. Clin Rehabil. 2008;22(8):690-7. 

  16. Gregson JM, Leathley MJ, Moore AP et al.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muscle tone and muscle power in stroke patients. Age Ageing. 2000;29(3):223-8. 

  17. Cromwell FS. Occupational therapist's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CA, Fair Oaks printing, 1976. 

  18.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et al.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 J Occup Ther. 1985;39(6):386-91. 

  19. Chai KJ, Lee HS.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 Kor Soc Occup Ther. 1997;5(1):52-7. 

  20.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13-31. 

  21.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 Ther. 1983;63(10):1606-10. 

  22. Jebsen RH, Taylor N, Trieschmann RB et al.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1969;50(6):311-9. 

  23. Carey JR, Anderson KM, Kimberley TJ et al. Fmri analysis of ankle movement tracking training in subject with stroke. Exp Brain Res. 2004;154(3):281-90. 

  24. Francisco G, Chae J, Chawla H et al.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improving the arm function of acute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5):570-5. 

  25. Sheffler LR, Chae J.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n neurorehabilitation. Muscle Nerve. 2007;35(5):562-90. 

  26. Inglis J, Donald MW, Monga TN et al.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and physical therapy of the hemiplegic upper limb. Arch Phys Med Rehabil. 1984;65(12):755-9. 

  27. Jang SH, Kim YH, Cho SH et al. Cortical reorganization associated with motor recovery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Neuroreport. 2003;14(10):1305-10. 

  28. Kwon YH, Lee MY, Park JW et al. Differences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between cortical and corona radiata infarct. Neurosci Lett. 2007;417(2):138-42. 

  29. Bonifer NM, Anderson KM, Arciniegas DB. Constraintinduced therapy for moderate chronic upper extremity impairment after stroke. Brain Inj. 2005;19(5):323-30. 

  30. Tarkka IM, Pitkanen K, Sivenius J. Paretic hand rehabilitation wit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5;84(7):501-5. 

  31. Shin HK, Cho SH, Jeon HS et al. Cortical effect and functional recovery by the electromyography-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Neurosci Lett. 2008;442(3):1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