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CIMT using PNF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3, 2018년, pp.451 - 460  

방대혁 (원광대학교 익산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송명수 (Dr. Song's 재활과학연구소) ,  조혁신 (익산미소재활요양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Methods: Fourteen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Hammer & Lindmark, 2009)과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적절한 수축 순서와 정확한 방향, 저항 등을 이용한 움직임 촉진과 운동학습을 위한 다양한 기법 등을 추가적 제공하면 상지 기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 치료가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mCIMT방법이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를 바탕으로 mCIMT만 수행한 방법보다 상지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 주고 있다.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PNF를 이용한 mCIMT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mCIMT만 수행한 방법보다 외부적 자극의 제공을 통한 정확한 움직임과, 수축 순서와 협응 등의 되먹임을 제공하면서 수행한 mCIMT방법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중재 방법의 하나로 고려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 상지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ARAT와 상지 손상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FMA-UE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ARAT점수는 25.
  • 하지만,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수축 순서와 정확한 방향, 저항 등을 이용한 움직임의 촉진과 운동 학습을 위한 다양한 기법 등을 추가적 제공하면 뇌졸중 환자의 상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와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상지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란 무엇인가?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는 뇌 손상으로 기능이 저하된 상지를 집중적, 반복적인 사용을 통한 기능 향상에 초점을 둔 중재 방법이다(Zhu et al., 2016).
훈련의 효과가 입증되어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2018). 대표적으로 동작관찰훈련(action observational training)(Kim et al., 2016), 과제 지향 훈련(task-oriented training)(Grimm et al., 2016),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Corbetta et al., 2010)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고유수용성촉진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유수용성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은 5가지의 철학(philosophies), 기본 절차(procedures)와 원리(principles), 기법(techniques)들을 바탕으로 고유수용기들을 자극하여 특정 근육군의 안정, 강화, 이완, 협응 능력 향상을 통한 기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다(Alder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der S, Becker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Heidelberg. Springer. 2008. 

  2. Ali M, Atula S, Bath PM, et al. Stroke outcome in clinical trial patients deriving from different countries. Stroke. 2009;40(1):35-40. 

  3. Bang DH, Shin WS, Choi HS.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with trunk restraint in early stroke patient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8;42(1):29-35. 

  4. Bang DH, Shin WS, Choi SJ.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trunk restraint in subacute stroke: a doub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5;29(6):561-569. 

  5. Brunner I, Skouen J, Strand L. Is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ore effective than bimanual training in improving arm motor function in the subacute phase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2;26(12):1078-1086. 

  6. Cirstea MC, Levin MF. Compensatory strat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2000;123(Pt 5):940-953. 

  7. Cohen J. Stas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San diego. C.A. academic press, lawrence Erlbam. 2017. 

  8. Corbetta D, Sirtori V, Castellini G,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upper extremities in people with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2015;(10):CD004433. 

  9. Corbetta D, Sirtori V, Moja L,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Rehabilitation Medicine. 2010;46(4):537-544. 

  10. Franceschini M, Agosti M, Cantagallo A, et al. Mirror neurons: action observation treatment as a tool in stroke 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Rehabilitation Medicine. 2010;46(4):517-523. 

  11.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75;7(1):13-31. 

  12. Grimm F, Naros G, Gharabaghi A. Closed-loop task difficulty adaptation during virtual reality reach-to-grasp training assisted with an exoskeleton for stroke rehabilita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2016;10:518. 

  13. Hammer AM, Lindmark B. Effects of forced use on arm function in the subacute phase after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pilot study. Physical Therapy. 2009;89(6):526-539. 

  14. Hobart JC, Thompson AJ. The five item barthel index.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01;71(2):225-230. 

  15. Kim T, Kim S, Lee B.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plus brain-computer interface-bas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paretic arm motor recovery in patient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016;23(1):39-47. 

  16. Lang CE, Edwards DF, Birkenmeier RL, et al. Estimating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s of upperextremity measures early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8;89(9):1693-1700. 

  17. Lyle RC. A performance test for assessment of upper limb function in physical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81;4(4):483-492. 

  18. Nazzal M, Sa'adah MA, Al-Ansari D, et al. Stroke rehabilitatio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in an arab communit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1;23(1):36-42. 

  19. Nijland R, van Wegen E, van der Krogt H, et al. Characterizing the protocol for early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the explicit-stroke trial. Physiotheray Research International. 2013;18(1):1-15. 

  20. Portney L, Wakin M. Foundation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8. 

  21. Sanford J, Moreland J, Swanson LR, et al.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ical Therapy. 1993;73(7):447-454. 

  22. Schaechter JD, Kraft E, Hilliard TS, et al. Motor recovery an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2; 16(4):326-338. 

  23. Sirtori V, Corbetta D, Moja L,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upper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2009;(4):CD004433. 

  24. Taub E, Crago JG. Constrained-induced movement therapy: a new approach to treatment in physic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1989;4(3):152-179. 

  25. Taub E, Uswatte G, Pidikiti R.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 new family of techniques with broad application to physical rehabilitation-a clinical review.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1999;36(3):237-251. 

  26. Timmermans AA, Verbunt JA, van Woerden R, et al.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improvement of function and daily activity performance of the upper extrem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3;14(3):204-212. 

  27. Zhu Y, Zhou C, Liu Y, et al.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the lower extrem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6;38(19):1893-18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