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편마비측 손기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Improvement of Hand Function in Hemiplegic Sid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2, 2009년, pp.9 - 14  

유인태 (대전을지대학병원 재활의학과) ,  황병용 (용인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지혜 (그린필병원 물리치료실) ,  정상미 (신성대학 작업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on improving the hand function in hemiplegic side. Methods: Ten subjects without a control group were given CIMT to the hemiplegic side for 3 weeks. The effects of their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were exam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에 주된 영향을 미치 면서도 하지에 비해 회복이 느린 상지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상지기능 회복에 초점을 둔 CIMT를 적용한후 10명의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CIMT가 마비측 손 기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보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IMT를 편마비 환자에 적용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보고한 마비측의 손 기능과 아울러, 수부의 기능적 측면에서 미세한 작업에 손을 사용하는 능력을 알아보고자 각각의 손가락에 이점감별력을 추가하여, 손기능과 감각기능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논문의 자료분석에서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한 목적은? 통계학적 분석은 SPSS for windows 10.0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CIMT를 적용하기 전, 후의 손의 기능에 대한 2개 항목과 손의 감각기능에 대한 5개 항목의 증진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 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 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들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0.
감각 결손이 초래하는 문제점은? 3 또한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는 감각 결손을 갖게 된다. 감각 결손은 올바른 움직임을 방해하고 감각 입력(sensory input)이나 피드백에 기초한 움직임을 감소시킨다. 감각 결손이 있는 환자들은 움직임을 피하게 되며, 움직인다 하여도 그 움직임이 둔하고 조화롭지 못하다.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가 지금까지의 보존적 재활이 하지에 비해 상지에서 특히 부족하다고 보고 되고 있는 이유는?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는 환자가 지금까지의 보존적 재활이 하지에 비해 상지에서 특히 부족하다고 보고하고 있다.12 그 이유는 보행에는 최소한의 회복만이 요구되는데 비해 상지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쥐기, 잡기, 물건을 조정하는 등 보다 섬세한 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13 또한 한쪽 다리가 건강하면 정상 다리만으로 체중을 지탱하며 걸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마비된 쪽의 다리도 강제로 움직이게 되지만, 상지에서는 정상 팔의 움직임이 마비된 팔의 운동에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ung MJ. The degre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the Quality of Life(QL) of the CVA Patients. Kyunghe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0. 

  2.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54. 

  3. Wilkison PR, Wolfe CD, Warburton FG et al. A long-term follow-up of stroke patients. Stroke. 1997;28(3):507-12. 

  4. Mauguiere F, Desmedt JE, Courjon J. Astereognosis and dissociated loss frontal or parietal components of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hemiparetic lesions. Brain. 1983;106:271-311. 

  5. Lee TY, Oh JK, Lee KS et al. The effects of the involved upper extremity's function on the dexterity of uninvolved hand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Occup Ther. 1999;7(1):55-7. 

  6. Trombly CA.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lkins, 1989:161-82. 

  7. Jeannerrod M. The neural and behavioral organization of goal-directed movements. Oxford, Clarendon, 1988:171-208. 

  8. Kusoffsky A, Wadell I, Nilsso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impairment and motor recover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cand J Rehabil Med. 1982;14(1):27-32. 

  9. Loo Ck, Hall LA, Mccloskey DI et al. Proprioceptive contributions to tactile identification of figure; Dependence on figure size. Behav Brain Res. 1983;7(3):383-6. 

  10. McClatchie G. Survey of the rehabilitation outcome of strokes. Med J Aust. 1980;1(13):649-51. 

  11. Cho YH, Hwang YT, Lee MY et al. The Effect on Grip Strength in Change of Wrist Position of Normal Adults. J Kor Soc Phys Ther. 2007;19(2):33-9 

  12. Basmajian JV. The winter of our discontent: breaking intolerable time locks for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2):92-4. 

  13. Van der Lee, Johanna H, Wagenar RC et al. Force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Result from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1999;30(11):2369-375. 

  14. Taub E, Uswatte G, Pidikiti R.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 new family of techniques with broad application to physical rehabilitation - A clinical review. J Rehabil Res Dev. 1999;36(3):237-51. 

  15. Davies PM. Steps to follows: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erlin, Springer-Verlag, 1985. 

  16. Carmick J. Clinical use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 2: Upper extremity. Phys Ther. 1993;73(8):514-22. 

  17. Powell J, Pandyan D, Granat M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of wrist extensors in poststroke hemiplegia. Stroke. 1999;30(7):1384-9. 

  18. Duncan PW. Synthesis of intervention trials to improve motor recovery following stroke. Stroke Rehabil. 1997;3(4):1-20. 

  19. Katrak P, Bowring G, Conroy P et al. Predicting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the place of early shoulder and hand movement. Arch Phys Med Rehabil. 1998;79(7):758-61. 

  20. Boissy P, Bourbonnais D, Carlotti MM et al. Maximal grip force in chronic stroke subjects and its relationship to global upper extremity function. Clin Rehabil. 1999;13(4):354-62. 

  21. Folsten MF,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3):189-98. 

  22. Kwon YC, Park J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 Korean Nouropsychiatr Assoc. 1989;28:508-13. 

  23. Page SJ, Levine P, Sisto S et al. Stroke patients' and therapists' opinions of constraint-inducedmovement therapy. Clin Rehabil. 2002;16(1):55-60. 

  24. Chai KJ, Lee HS.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 Kor Soc Occup Ther. 1997;5:52-7. 

  25. Liepert J, Miltner W, Bauder H et al. Motor cortex plasticity during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Neuroscience Letter. 1998;250(1):5-8. 

  26. Koop A.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effects of two plasticizers used in medical devices and toys: A report from the American Council on Science and Health, Med Gen Med. 1999;22:E14 

  27. Taub E, Wolf S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echniques to facilitate upper extremity use in stroke patients. Stroke Rehabil. 1997;3(4):38-61. 

  28. Miltner W, Bauder H, Sommer M et al.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stroke: a replication. Stroke. 1999;30(3):586-92. 

  29. Blanton S, Wolf SL. An application of upper-extremity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Phys Ther. 1999;79(9):847-53. 

  30. Liepert J, Bauder H, Miltner W et al.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2000;31(6):1210-6. 

  31. Kunkel A, Kopp B, Mller G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motor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6):624-8. 

  32. Trombly CA, Scott Ad.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and func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Co, 1997:235-42. 

  33. Kim HW, Ko YJ, Kang SY et al. The relationship of MMSE to functional improvement in brain injured patients. J Korean Acad Rehabil Med. 1998;22(6):1179-84. 

  34. Mackinnon SE. Comparative analysis of nerve injury of the face and hand.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1992;4:483. 

  35. Henry JB, Mohr JP, Bennenett MS et al. Stroke.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6:3-55. 

  36. Mayo NE.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for children with motor delay and cerebral palsy. Amer Phys Med Rehabil. 1991;70(5):258-67. 

  37. Degagi GA, Royeen CB. Current practice among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ssociation members. Amer J Occup Ther. 1994;48(9):803-9. 

  38. Kim CH. The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on hemiplegia.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