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경두개 직류 자극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결합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Impa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Wit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8 no.4, 2019년, pp.7 - 18  

김선호 (원주 영광 병원 작업치료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경두개 직류 자극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결합된 중재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회복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및 근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PubMed, NDSL 등을 이용하여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0년간 온라인 데이터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tDCS',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r 'CIMT', 'Upper extremity function', 'Upper limb', 'Stroke'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본 연구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부합하는 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경두개 직류 자극의 적용 전류의 세기, 적용시간 등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프로토콜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경두개 직류 자극 직 후 CIMT를 시행하는 중재 절차는 동일하게 시행되었다.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대뇌피질 활성도 평가 등이 사용되었다. 경두개직류 자극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결합된 중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경두개 직류 자극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결합된 중재 적용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경두개 직류 자극의 자극시간과 전류의 세기, 전극의 부착 위치 등에 대한 일반화가 필요할 것이며 가장 적절한 강제 유도 운동 치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관찰을 포함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wit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PubMed and NDSL databases were employed to review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9 and De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10년간 외국 학술지에 실린 tDCS와 CIMT의 결합된 중재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회복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tDCS와 CIMT의 결합된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및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현재 국내외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tDCS의 효과와 CIMT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tDCS와 CIMT의 결합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tDCS와 CIMT의 결합 중재의 효과에 관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 6편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대뇌피질 활성도 회복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경두개 직류 자극과 강제 유도 운동 치료의 결합된 중재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회복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및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DCS의 장점은 무엇인가? ,2009; Stagg & Nitsche, 2011). tDCS는 자극 부위가 넓어 국소자극이 어렵지만, 이동이 간편하고 장비 가격이 저렴하며 소음이 적고 통증이나 불편감이 적은 장점이 있어 최근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Jo et al.,2009).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원리는? 뇌졸중 발병 이후 자발적인 신체 기능의 회복은 뇌안에서 신경가소성의 변화에 의하게 되는데, 재활 훈련 중 하나인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therapy; CIMT)는 건측의 제한을 통해 동측 대뇌반구의 흥분성을 억제 시키고, 환측의 집중적인 과제훈련을 통해 손상 측 대뇌반구의 흥분성을 증가시키는 원리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시행되고 있으며(Liepert,2000), 많은 연구를 통해 대뇌피질의 활동성 변화와 더불어 상지 기능의 회복을 보고하고 있다 (Brunneret al., 2012; Hammer & Lindmark, 2009).
경두개 직류 자극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tDCS는 비침습적 뇌 자극기법으로 자극 부위에서 직접적으로는 전위의 흥분성을 변화시키고, 간접적으로 반대편 대뇌에 일치하는 부위에서의 흥분성을 변화시켜 대뇌피질의 신경가소성을 변화를 유도하여 환측의 운동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Nowak et al.,2009; Stagg & Nitsch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rade, S. M., Batista, L. M., Nogueira, L. L. R. F., de Oliveira, E. A., de Carvalho, A. G. C, Lima, S. S., ... Fernandez-Calvo, B. (2017).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premotor cortex improves motor function in severe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habilitation Research and Practice, 1-9. doi: 10.1155/2017/6842549 

  2. Ateia, A., Talat, W., Nawito, A., & Elkafrawy, N. (2017).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Pharmacy Education & Research, 7(4), 486-490. 

  3. Bashir, S., & Yoo, W. K. (2013). Cheap technology like transcrin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could help in stroke rehabilitation in south Asia. Basic Clinical Neuroscience, 4(3), 188-189. 

  4. Boggio, P. S., Castro, L. O., Savagim, E. A., Braite, R., Cruz, V. C., Rocha, R. R., ... Fregni, F. (2006). Enhancement of non-dominant hand motor function by andal transct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Neuroscience Letters, 404(1), 232-236. doi: 10.1016/j.neulet.2006.05.051 

  5. Boggio, P. S., Nunes, A., Rigonatti, S. P., Nitsche, M. A,, Pascual-Leone, A., & Fregni, F. (2007). Repeated sessions of noninvasive brain DC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motor function improvement in stroke patients.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5(2), 123-129. 

  6. Bolognini, N., Vallar, G., Casati, C, Latif, L. A., El-Nazer1, R., Williams, J., ... Fregni, F. (2011). Neu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effects of tDCS combined wit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post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9), 819-829. doi: 10.1177/1545968311411056. 

  7. Brem, A. K., Unterburger, E., Speight, I., & Jancke, L. (2014). Treatment of visuos patial neglect with biparietal tDCS and cognitive training: A single-case study. Frontiers in Systems Neuroscience, 8(180), 1-9. doi: 10.3389/fnsys.2014.00180 

  8. Brunner, I., Skouen, J., & Strand, L. (2012). Is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ore effective than bimanual training in improving arm motor function in the subacute phase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6(12), 1078-1086. doi: 10.1177/0269215512443138 

  9. Butts, R. J., Kolar, M. B., & Newman-Norlund, R. D. (2014). Enhanced motor skill acquisition in the non-dominant upper extremity using intermittent theta burst stimulation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8(451), 1-9. doi: 10.3389/fnhum.2014.00451. 

  10. de Aguiar, V., Paolazzi, C. L., & Miceli, G. (2015). tDCS in post-stroke aphasia: Therole of stimulation parameters, behavioral treatment and patient characteristics. Cortex, 63C, 296-316. doi:10.1016/j.cortex.2014.08.015. 

  11. de Morton, N. A. (2009). The PEDro scale is a valid measure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clinical trials: A demographic study.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5(2), 129-133, doi: 10.1016/S0004-9514(09)70043-1 

  12. Figlewski, K., Blicher, J. U., Mortensen, J., Severinsen, K. E., Nielsen, J. F., & Andersen, H. (2017).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otentiates improvements in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ceiving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Stroke, 48(1), 229-232. doi: 10.1161/STROKEAHA.116.014988 

  13. Hammer, A. M., & Lindmark, B. (2009). Effects of forced use on arm function in the subacute phase after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pilot study. Physical Therapy, 89(6), 526-539. doi:10.2522/ptj.20080017 

  14. Hummel, F., Celnik, P., Giraux, P., Floel, A., Wu, W. H., Gerloff, C., & Cohen, L. G. (2005). Effects of non-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on skille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Brain, 128(3), 490-499. doi: 10.1093/brain/awh369 

  15. Jo, J. M., Kim, Y. H., Ko, M. H., Ohn, S. H., Joen, B., & Lee, K. H. (2009). Enhancing the working memory of stroke patients using tDC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8(5), 404-409. doi: 10.1097/PHM.0b013e3181a0e4cb. 

  16. Liepert, J., Bauder, H., Wolfgang, H. R., Miltner, W. H, Taub, E., & Weiller, C. (2000).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31(6), 1210-1216. doi:10.1161/01.STR.31.6.1210 

  17. Nitsche, M. A., Cohen, L. G., Wassermann, E. M., Priori, A., Lang, N., Antal, A., ... Pascual-Leone, A. (2008).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ate of the art 2008. Brain Stimulation, 1(3), 206-223. doi:10.1016/j.brs.2008.06.004. 

  18. Nowak, D. A., Grefkes, C., Ameli, M., & Fink, G. R. (2009). Interhemispheric competition after stroke: Brain stimulation to enhance recovery of function of affected hand.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7), 641-656. doi: 10.1177/1545968309336661 

  19. Page, S. J., Sisto, S., Johnston, M. V., & Levine, P. (2002).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after subacute stroke: A preliminary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6(3), 290-295. doi: 10.1177/154596830201600307 

  20. Peurala, S. H., Kantanen, M. P., Sjogren, T., Paltamaa, J., Karhula, M., & Heinonen, A. (2012). Effectivenes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ical Rehabilitation, 26(3), 209-223. doi:10.1177/0269215511420306 

  21. Rocha, S., Silva, E., Foerster, A., Wiesiolek, C., Chagas, P. A., Machado, G., ... Monte-Silva, K. (2016). The impa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combined with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8(7), 653-660. doi: 10.3109/09638288.2015.1055382. 

  22. Rushworth, M. F., Johansen-Berg, H., Gobel, S. M., & Devlin, J. T. (2003). The left parietal and premotor cortices: Motor attention and selection. Neuroimage, 20(l1), 89-100. 

  23. Sawaki, L., Wu, C. W., Kaelin-Lang, A., & Cohen, L. G. (2006).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on use-dependent plasticity in chronic stroke. Stroke, 37(1), 246-247. doiI: 10.1161/01.STR.0000195130.16843.ac 

  24. Schlaug, G., Renga, V., & Nair, D. (2008).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stroke recovery. Archives of Neurology, 65(12), 1571-1576. 

  25. Stagg, C. J., & Nitsche, M. A. (2011). Physiological basi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Neuroscientist, 17(1), 37-53. doi: 10.1177/10738584103 86614 

  26. Takebayashi1, T., Takahashi, K., Moriwaki, M., Sakamoto, T., & Domen, K. (2017).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deficit after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and without preconditioning stimulation using dual-hemispher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peripheral neuromuscular stimul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rontiers in Neurology, 8(568), 1-8. doi: 10.3389/fneur.2017.00568. 

  27. Uy, J., & Ridding, M. C. (2003). Increased cortical excitability induced by transcranial DC and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27(2), 93-97. doi:10.1016/S0165-0270(03)0014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