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소 교뇌 경색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에서 장기적인 운동기능 회복에 관한 사례보고
Longitudinal Motor Function Recovery in Stroke Patients with Focal Pons Infarction: Report of 4 case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4, 2009년, pp.111 - 115  

박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fundamental information regarding clinical prognosis and clinical criteri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stroke patients with focal pons infarction. Methods: Four stroke patients (male: 2, female: 2) who were diagnosed with pons infarction were recr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소적인 교뇌 경색으로 인한 뇌졸중환자에서 운동 기능 회복의 변화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임상적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운동의 기능적인 회복 양상을 통해 치료적 중재에 있어 임상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소적인 교뇌 경색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초기 발병 시 운동 기능의 평가로부터 최종 평가까지 약 8∼11개월의 장기간 동안 근력(MI), MBC, FAC, BI 등의 평가를 통하여 운동 기능 회복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 본 사례연구는 국소적 교뇌 경색으로 인한 4명의 뇌졸중 환자에서 장기간 동안 정기적인 근력 및 운동 기능의 수행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적인 운동 기능 회복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모든 환자의 사례에서 운동 기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운동 기능을 평가함에 있어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50% 이상이 후유증으로 인해 겪는 것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50% 이상이 후유증으로 인하여 운동 기능의 심각한 결손을 나타내며,1 손상된 운동 기능 장애로 근력의 약화, 비정상적인 운동 패턴, 불규칙적인 근긴장도, 운동조절 능력의 저하 등을 보인다.2 운동 기능의 손상은 기능적 활동의 수행 능력을 제한하며, 일상적인 신체적 기능수준과 삶의 질에 영향을미친다.
국소적 교뇌 경색으로 인한 4명의 뇌졸중 환자에서 장기간 동안 정기적인 근력 및 운동 기능의 수행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적인 운동 기능 회복의 양상을 알아본 결과와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본 사례연구는 국소적 교뇌 경색으로 인한 4명의 뇌졸중 환자에서 장기간 동안 정기적인 근력 및 운동 기능의 수행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적인 운동 기능 회복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모든 환자의 사례에서 운동 기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운동 기능을 평가함에 있어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에 대한 예후는 손상 부위나 환자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회복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며, 특히 교뇌 경색을 진단받은 환자의 사례가 드물어 특징적인 징후가 나타나는 병변의 예후를 판단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교뇌 경색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 양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뇌 경색이라는 특정한 병변에 대한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적합한 물리치료적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운동 기능의 손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50% 이상이 후유증으로 인하여 운동 기능의 심각한 결손을 나타내며,1 손상된 운동 기능 장애로 근력의 약화, 비정상적인 운동 패턴, 불규칙적인 근긴장도, 운동조절 능력의 저하 등을 보인다.2 운동 기능의 손상은 기능적 활동의 수행 능력을 제한하며, 일상적인 신체적 기능수준과 삶의 질에 영향을미친다.3 뇌졸중 환자의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운동 기능의 회복에 대한 예후는 매우 중요하며, 이는 환자의 평가와 치료적인 중재의 계획과 방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uncan PW, Goldstein LB, Matchar D et al. Measure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Outcome assessment and sample size requirements. Stroke. 1992;23(8):1084-9. 

  2. Kautz SA, Patten C. Interlimb influences on paretic leg function in poststroke hemiparesis. J Neurophysiol. 2005;93 (5):2460-73. 

  3. Kwon MJ. Daily physic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7;19(5):87-96. 

  4. Weller P, Wittsack HJ, Siebler M et al. Motor recovery as assessed with isometric finger movements and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acute ischem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6;20(3):390-7. 

  5. Kwakkel G, Kollen B, Twisk J. Impact of time on improvement of outcome after stroke. Stroke. 2006;37(9): 2348-53. 

  6. Chen CL, Tang FT, Chen HC et al. Brain lesion size and location: Effects on motor recovery and functional outcome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 447-52. 

  7. Jang SH. A review of the ipsilateral motor pathway as a recovery mechanism in patients with stroke. NeuroRehabilitation. 2009;24(4):315-20. 

  8. Jang SH. A review of motor recovery mechanisms in patients with stroke. NeuroRehabilitation. 2007;22(4):253-9. 

  9. Jang SH, Cho SH, Kim YH et al. Motor recovery mechanism of diffuse axonal injury: A combined study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nd functional mri. Restor NeurolNeurosci. 2005;23(1):51-6. 

  10. Nannetti L, Paci M, Pasquini J et al. Motor and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post-stroke depression. DisabilRehabil. 2005;27(4):170-175. 

  11. Brown JA. Recovery of motor function after stroke. Prog Brain Res. 2006;157:223-8. 

  12. Jang SH. The role of the corticospinal tract in motor recovery in patients with a stroke: A review. NeuroRehabilitation. 2009;24(3):285-90. 

  13. Bassetti C, Bogousslavsky J, Barth A et al. Isolated infarcts of the pons. Neurology. 1996;46(1):165-75. 

  14. Nighoghossian N, Ryvlin P, Trouillas P et al. Pontine versus capsular pure motor hemiparesis. Neurology. 1993;43(11): 2197-201. 

  15. Kumral E, Bayulkem G, Evyapan D. Clinical spectrum of pontine infarction. Clinical-mri correlations. J Neurol. 2002; 249(12):1659-70. 

  16. Kim JS, Lee JH, Im JH et al. Syndromes of pontine base infarction. A clinical-radiological correlation study. Stroke. 1995;26(6):950-5. 

  17. Kataoka S, Hori A, Shirakawa T et al. Paramedian pontine infarction. Neurological/topographical correlation. Stroke. 1997;28(4):809-15. 

  18. Erro ME, Gallego J, Herrera M et al. Isolated pontine infarcts: Etiopathogenic mechanisms. Eur J Neurol. 2005;12(12): 984-8. 

  19. Ahn YH, You SH, Randolph M et al. Peri-infarct reorganization of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pontine infarct. NeuroRehabilitation. 2006;21(3):233-7. 

  20. Park JW, Kim SH, Kim YW et al. Motor control via spared peri-infarct corticospinal tract in patients with pontine infarct. J Comput Assist Tomogr. 2008;32(1):159-62. 

  21. Liang Z, Zeng J, Zhang C et al. Progression of pathological changes in the middle cerebellar peduncle by diffusion tensor imaging correlates with lesser motor gains after pontine infarc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7):692-8. 

  22. Bellelli G, Morghen S, Tirelli V et al. Motor recovery after rehabilitation and long-term clinical outcomes. J Am Geriatr Soc. 2009;57(7):1300-1. 

  23. Hamzat TK, Peters GO. Motor function recovery and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survivors in ibadan, nigeria. A 6-month follow-up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2009;45(2):179-83. 

  24. Jang SH, Kwon YH. 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Yeungnam Univ J of Med. 2005;22(2):119-30. 

  25. Schmahmann JD, Ko R, MacMore J. The human basis pontis: Motor syndromes and topographic organization. Brain. 2004; 127(6):126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