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인공판막 심내막염은 자연판막 심내막염보다 초기 임상양상이 불량하고, 심내막의 감염 뿐 아니라 주변 조직으로 염증 파급이 용이하다. 특히, 합병증을 동반하여 악화된 임상양상으로 술 전 충분한 항생제 치료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활동성 심내막염)에서 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만족스럽지 못한 술 후 예후를 가진다. 본 연구는 활동성 인공판막 심내막염의 임상 양상, 검사 소견 및 중기 수술 성적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 및 수술이 이루어진 276명의 환자 중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는 31명이었다. 이 중 24명의 활동성 인공판막 심내막염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열감이 가장 흔한 임상증상이었으나, 전신성 색전증을 동반한 경우도 8예(33.3%)였으며, 이 중 5예(20.8%)는 중추신경계가 이환되었다. 경식도 초음파 검사상 우종(vegetation)이 가장 많이 관찰된 소견이며,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species)이 배양된 주된 원인 균주였다. 42.1$\pm$36.9달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조기사망 4예, 만기사망 4예 있었으며, 누적 생존율은 1년 후에는 79%, 3년 후에는 73%, 5년 후에는 66%, 7년 후에는 49.5%였다. 결론: 악화된 임상양상 등의 이유로 술 전 충분한 항생제 치료를 기대할 수 없는 활동성 인공판막 심내막염은 술 후 불량한 예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 수술은 물론, 정상 조직이 노출이 될 때까지 광범위한 염증 조직 제거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usually presents with clinical symptoms that are more severe than native valve endocarditis, an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shows the spread of infection into the surrounding tissue as well as into the superficial endocardial layers. The postoperativ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준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그외, 인공판막기능 부전으로 인한 폐쇄 (obstruction) 혹은 역류(regurgitation)의 증상이 악화되거나, 색전증, 판막 주변부 농양 및 방실 전기 전도계 차단 등의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또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액 배양 검사상 지속적인 균주가 동정되거나 색전증이 발생하는 경우, 그리고 빈번히 감염이 재발되는 경우 등을 수술의 적응증으로 간주하.여 조기에 수술 시행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한편, 동정된 균주가 항생제 내성을 가지거나, 항생제 치료가 용이하지 않은 진균종인 경우는 심장 내과및 감염 내과와 상의하여 수술시행 여부 및 수술시점을 결정하였다.
  • 대동맥 근저부의 감염으로 염증조직 제거 후 결손이 발생하면 가급적 신선 자가 심낭(autologus pericardium) 우심낭(bovine RFicardimn)으로 채건 혹은 배제(exclusion) 하였으며, 염증의 파급으로 대동맥 근부의 혈관벽이 약해진 경우는 동종이식편(homograft) 혹은 인공판막복합이식편(aortic val.,ed composite graft)을 이용하여 판막, 대동맥 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함께 치환하였다승모판막-대동맥판막간 섬유체(mitral aortic interval.
  • 중추 신경계를 제외한 색전증으로, 대퇴부 동맥 색전증, 상장간막동맥 색전증, 신장 경색증 등이 각각 1예 있었다. 대퇴부동맥 색전증 환자는 색전 제거술을 판막 치환술과 함께 받았으며, 상장간막 동맥 색전증 환자와 신장 경색 환자는 판막 치환술 후 항생제 치료하면서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다.
  • 수술 방법으로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제거 후, 판막 주변부 결손 부위의 재건 및 인공판막의 재치환을 원칙으로 하였다. 대동맥 근저부의 감염으로 염증조직 제거 후 결손이 발생하면 가급적 신선 자가 심낭(autologus pericardium) 우심낭(bovine RFicardimn)으로 채건 혹은 배제(exclusion) 하였으며, 염증의 파급으로 대동맥 근부의 혈관벽이 약해진 경우는 동종이식편(homograft) 혹은 인공판막복합이식편(aortic val.
  • ,ed composite graft)을 이용하여 판막, 대동맥 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함께 치환하였다. 승모판막-대동맥판막간 섬유체(mitral aortic interval.,ular fibrosa)가 침범된 경우는 우심낭을 이용하여 대동맥판막륜, 승모판막륜 및 판막간 섬유체를 정상조직이 노출될때까지 일괄 제거 후 채건하여 인공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 그외, 인공판막기능 부전으로 인한 폐쇄 (obstruction) 혹은 역류(regurgitation)의 증상이 악화되거나, 색전증, 판막 주변부 농양 및 방실 전기 전도계 차단 등의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또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액 배양 검사상 지속적인 균주가 동정되거나 색전증이 발생하는 경우, 그리고 빈번히 감염이 재발되는 경우 등을 수술의 적응증으로 간주하.조기에 수술 시행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한편, 동정된 균주가 항생제 내성을 가지거나, 항생제 치료가 용이하지 않은 진균종인 경우는 심장 내과및 감염 내과와 상의하여 수술시행 여부 및 수술시점을 결정하였다.
  • 우선 대상 환자수가 적어, 이로 인하여 위험인자 등의 통계분석이 가능하지 않았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비교 . 분석 하였던 점은 본 연구가 지닌 한계점이라들 수 있겠다.
  •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진 인공판막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들 중, 활동성 심내막염의 환자들의 임상양상 및 중 - 단기적 수술 성적을 의무기록 분석 및 전화통화를 통해 후향적으로 비교 .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심내막염 환자는 31명이었다. 31명의 인공 판막 신내막염 환자들 중 활동성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진단 및 수술이 시행된 환자 2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 인공 대동맥 판막 재치환술 후 각각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와 다발성 장기부전을 동반한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로 사망하였다. 다른 1예는 Takayasu 혈관염으로 장기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던 환자로, 원인균은 연쇄상구균이었으며, 이전에 자연판막 심내막염으로 대동맥판막 및 승모판막을 모두 치환했으나 술 25개월 후에 재발하여 다시 재 치환술을 실시, 저심박출증으로 사망한 경우였다. 술 전 원인균이 동정되지 않았던 인공 승모판막 심내막염 환자로, 술 후 간부전을 동반한 폐렴으로 사망한 경우도 1예 있었다.
  • 그러나, 두정엽(parietal lobe)에 뇌농양을 동반한 1예와, 뇌간(brain stem)에 색전증을 동반한 1예는 술 후 조기 사망하였다. 마지막 1예는 두정엽 및 측두엽(temporal lobe)경계부에 발생한 다량의 뇌농양으로 의식 저하 및 운동능력 소실을 보였던 환자로, 뇌농양 배액술을 응급으로 시행, 경과 관찰상 뒤늦게 원발병소(primary focus)로 인공판막 심내막염이 발견되어 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였다. 이 경우, 의식 회복 및 상당한 운동능력 회복을 보였으나 잔여 신경학적 결손 증상이 남아있는 상태이며, 추적 뇌 영상 검사상 이환된 뇌 병변 부위는 뇌세포연화(encephalomalacia) 소견을 보였다.
  • 본원에서 1998년 1월 1일부터 2008년 7월 31일까지 수술이 이루어진 276명의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들 중 인공판막 심내막염 환자는 31명이었다. 31명의 인공 판막 신내막염 환자들 중 활동성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진단 및 수술이 시행된 환자 2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 다른 1예는 Takayasu 혈관염으로 장기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던 환자로, 원인균은 연쇄상구균이었으며, 이전에 자연판막 심내막염으로 대동맥판막 및 승모판막을 모두 치환했으나 술 25개월 후에 재발하여 다시 재 치환술을 실시, 저심박출증으로 사망한 경우였다. 전 원인균이 동정되지 않았던 인공 승모판막 심내막염 환자로, 술 후 간부전을 동반한 폐렴으로 사망한 경우도 1예 있었다.
  • 재원 기간 중 사망한 경우도 4예 있었다. 이 중 2예는 뇌색전증을 동반한 복잡 심내막염인 경우로 MRSA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Hmreits) 가 원인균으로 동정되었던 환자였다. 인공 대동맥 판막 재치환술 후 각각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와 다발성 장기부전을 동반한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로 사망하였다.
  • 7%)이었다(Table 1). 이 중 타병원에서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진단 받고 본원으로 전원 된 환자는 총 7예였다. 6예는 4번째 판막치환술(4th time)이었으며, 1예는 5번째 판막치환술(5th time)이었다.

데이터처리

  • 자료 분석은 SPSS (SPSS for Windows 14.0, SPSS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속변수 자료는 평균±표준편차로, 비 연속변수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Vongpatanasin W, Hillis LD, Lange RA. Prosthetic heart valve. N Engl J Med 1996;335:407-416 

  2. Romano G, Carozza A, Della Corte A, et al. Native versus primary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nd long-term outcome in 353 patients. J Heart Valve Dis 2004;13:200-208 

  3. Aranki SF, Santini F, Adams DH, et al. Aortic valve endocarditis. Determenants of early survival and late morbidity. Circulation 1994;90;175-182 

  4. Calderwood SB, Swinski LA, Karchmer AW, et al.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utcome of therapy. J Thorac Cardiovasc Surg 1986;92: 776-783 

  5. Piper C, Kopfer R, Horskotte 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Heart 2001;85:590-593 

  6. Lopez J, Revilla A, Vilacosta I, et al. Definition, clinical profile, microbiological spectrum, and prognostic factors of early-onset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Eur Heart J 2007;28:760-765 

  7. Douglas JL, Cobbs CG.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In: Kaye D. Infective endocarditis. 2nd ed. New York: Raven Press. 1992;375-396 

  8. Calderwood SB, Swinski LA, Waternaux CM, et al.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Circulation 1985;72:31-37 

  9. Horstkotte D, Follath F, Graevenitz A, et al. Late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Eur Heart J 1995;16(suppl B):39-47 

  10. Moon MR, Miller DC, Moore KA, et al. Treatment of endocarditis with valve replacement: the question of tissue versus mechanical prosthesis. Ann Thorac Surg 2001;71: 1164-1171 

  11. Vlessis AA, Khaki A, Grunkemeier GL, Li HH, Starr A. Risk,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 review. J Heart Valve Dis 1997;6:443-465 

  12. Fang G, Keys TF, Gentry LO, et al.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resulting from nosocomial bacteremia.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nn Intern Med 1993;119: 560-567 

  13. Ivert TS, Dismukes WE, Cobbs CG, Blackstone EH, Kirklin JW, Bergdahl LA.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Circulation 1984;69:223-232 

  14. Hyde JA, Darouiche RO, Costerton JW. Strategies for prophylaxis against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 review article. J Heart Valve Dis 1998;7:316-326 

  15. Salgado AV, Furlan AJ, Keys TF, Nickols TR, Beck GJ. Neurologic complications of endocarditis: a 12-year experience. Neurology 1989;39:173-178 

  16. Wilson WR, Danielson GK, Giulani ER, Geraci JE.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Mayo Clin Proc 1982;57:155-161 

  17. Vilacosta I, Graupner C, San Roman JA, et al. Risk of embolization after institution of antibiotic therapy for infective endocarditis. J Am Coll Cardiol 2002;39:1489-1495 

  18. Wilson WR, Geraci JE, Danielson GK, et al. Anticoagulation therapy and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Circulation 1978;57:1004-1007 

  19. Davenport J, Hart RG.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1976- 1987: antibiotics, anticoagulation, and stroke. Stroke 1990; 21:993-999 

  20. Carpenter JL, McAllister CK. Anticoagulation in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South Med J 1983;76:1372-1375 

  21. Ruttmann E, Willeit J, Ulmer H, et al. Neurological outcome of septic cardioembolic stroke after infective endocarditis. Stroke 2006;37:2094-2099 

  22. Piper C, Wiemer M, Schulte HD, Horstkotte D. Stroke is not a contraindication for urgent valve replacement in acute infective endocarditis. J Heart Valve Dis 2001;10:703-711 

  23. Eishi K, Kawazoe W, Kuriyama Y, Kitoh Y, Kawashima Y, Omae T. Surgical management of infective endocarditis associated with cerebral complications.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n Japa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110: 1745-1755 

  24. Gillinov AM, Shah RV, Curtis WE, et al.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endocarditis and neurologic deficit. Ann Thorac Surg 1996;61:1125-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