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동맥도관이 정맥도관에 비해 개통률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재관상동맥 우회술시 동맥도관의 이용은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일차 관상동맥 우회술에 비해 재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는 동맥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 우회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에서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동맥도관을 이용하여 시행한 33예의 재관상동맥 우회술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6$\pm$9.0세(41$\sim$75)였고 25명(75.8%)은 남자였다. 첫 수술로부터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100.1$\pm$67.3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평균 좌심실 구출률은 52$\pm$12.5%였다. 수술은 인공심폐기 보조하에서 24예(심정지액을 사용한 경우가 17예, 심박동하 7예)를 시행하였고 인공심폐기의 보조없이 심박동하에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은 7예, 최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은 2예였다. 사용된 도관은 내흉동맥(34예: 우측내흉동맥 28예, 좌측내흉동맥 6예), 요골동맥(14예), 우위대망동맥(14예), 복재정맥(4예) 등이었고, 목표 원위부는 좌전하행지가 23예, 사선분지가 10예, 둔각분지가 25예, 원위 우관상동맥이 4예, 후하행지가 16예, 후측분지가 8예, 중간지(ramus intermedius)가 5예였다. 26명의 환자에서 동맥 복합도관을 이용하여 수술하였고 이들 중 5예에서는 원위치 이식 도관(in situ)으로 좌측 내흉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다른 동맥과 복합도관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10예에서는 일차 관상동맥 우회술 시 사용되어진 좌측내흉동맥을 재이용하였다. 또한 5명에서는 원위치 이식 도관으로서 우측내흉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6명에서는 다양한 동맥 유리 도관(arterial free graft)으로 대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하여 복합도관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평균 원위 문합수는 2.8$\pm$0.9였다. 결과: 수술 사망 및 주요 상처감염은 없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1.1$\pm$22.7개월이었고 4명은 추적관찰 중 사망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심근 경색이 2예(6%),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을 한 환자가 1예(3%), 심방세동이 5예(15.1%), 신경학적 합병증이 3예(9.1%) 있었다. 수술 후 3년 및 5년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각각 87.04%였다. 결론: 현재 심근 보호법과 수술 수기의 발달 및 경험 축적 등으로 인해 다양한 동맥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 우회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lthough the reports on re-operative coronary revascularization (redo-CABG) have increased, there are only limited reports on redo-CABG using arterial graf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using various arterial grafts for redo-CABG. Material and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동맥 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우회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 심정지를 하지 않는 재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시 관상동맥 차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관상동맥내 단락(intra-lu-minal shunt)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는 개통성이 유지되는 좌측 내흉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복합도관을 만들어 사용할 때도 관상동맥내 단락을 사용하여 복합도관 형성 중에도 혈류를 유지하려 하였다.

가설 설정

  • 세 번째는 사용 가능한 도관이 이전 수술로 인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이미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복합도관(composite graft)이나 연쇄문합(sequential anastomosis)은 장기 개통률 면에서 단일 내흉동맥과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JS, Kim HG, Chang WI, Kim KB. Early and midterm results after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4;37:146-153 

  2. Yau TM, Borger MA, Weisel RD, Ivanov J. The changing pattern of reoperative coronary surgery: trends in 1230 consecutive reoperations. J Thorac Cardiovasc Surg 2000;120: 156-163 

  3. Mauro, MD, Iaco AL, Contini M, et al. Reopera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alysis of early and late outcomes. Ann Thorac Surg 2005;79:81-87 

  4. Sabik III JF, Blackstone EH, Houghtaling PL, Walts PA, Lytle BW. Is reoperation still a risk factor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nn Thorac Surg 2005;80:1719-1727 

  5. Yamamuro M, Lytle BW, Sapp SK, Cosgrove DM, Loop FD, McCarthy PM. Risk factors and outcomes after coronary reoperation in 739 elderly patients. Ann Thorac Surg 2000; 69:464-474 

  6. He GW, Acuff TE, Ryan WH, He YH, Mack MJ. Operative mortality in reopera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110:971-978 

  7. Christenson JT, Schmuziger M, Simonet F. Reoperative coronary artery bypass procedures: risk factors for early mortality and late survival. Eur J Cardiothorac Surg 1997; 11:129-133 

  8. Ferrari ER, von Segesser LK. Arterial grafting fo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how better is it? Curr Opin Cardiol 2006; 21:584-588 

  9. Cosgrove DM, Loop FD, Lytle BW, et al. Predictors of reoperation afte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1986;92:811-821 

  10. Loop FD, Lytle BW, Cosgrove DM, et al. Influence of the internal-mammary-artery graft on 10-year survival and other cardiac events. N Engl J Med 1986;314:1-6 

  11. Pick AW, Orszulak TA, Anderson BJ, Schaff HV. Single versus bilateral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s: 10-year outcome analysis. Ann Thorac Surg 1997;64:599-605 

  12. Lytle BW, Blackstone EH, Loop FD, et al. Two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s are better than one. J Thorac Cardiovasc Surg 1999;117:855-872 

  13. Calafiore AM, Contini M, Vitolla G, et al.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ing: long-term clinical and angiographic results of in situ versus Y grafts. J Thorac Cardiovasc Surg 2000;120:990-998 

  14. Davierwala PM, Maganti M, Yau TM. Decreasing significance of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reoperative surgery in predict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associated mortality: a twelve-year study. J Thorac Cardiovasc Surg 2003; 126:1335-1344 

  15. Gillinov AM, Casselma FP, Lytle BW, et al. Injury to a patent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 at coronary reoperation. Ann Thorac Surg 1999;67:382-6 

  16. Elami A, Laks H, Merian G. Technique for reoperative median sternotomy in the presence of a patent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J Card Surg 1994;9:123-127 

  17. Azoury FM, Gillinov AM, Lytle BW, Smedria NG, Sabik III JF. Off-pump reopera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by thoracotomy: patient selection and operative technique. Ann Thorac Surg 2001;71:1959-1963 

  18. Subramanian VA, McCabe JC, Geller CM. Minimally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wo-year clinical experience. Ann Thorac Surg 1997;64:1648-1655 

  19. Motwani JG, Topol EJ. Aortocoronary saphenous vein graft disease: pathogenesis, predisposition and prevention. Circulation 1998;97:916-931 

  20. Marshall WG, Saffitz J, Kouchoukos NT. Management during reoperation of aortocoronary saphenous vein grafts with minimal atherosclerosis by angiography. Ann Thorac Surg 1986;42:163-167 

  21. Lytle BW, Loop FD, Taylor PC, et al. Vein graft disease: The clinical impact of stenoses in saphenous vein bypass grafts to coronary arteries. J Thorac Cardiovasc Surg 1992; 103:831-840 

  22. Mehta ID, Weinberg J, Jones MF, et al. Should angiographically disease-free saphenous vein grafts be replaced at the time of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n Thorac Surg 1998;65:17-23 

  23. Navia D, Cosgrove DM, Lytle BW, et al. Is the internal thoracic artery the conduit of choice to replace a stenotic vein graft? Ann Thorac Surg 1994;57:40-43 

  24. Dion R, Glineur D, Derouck D, et al. Long-term clinical and angiographic follow-up of sequential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ing. Eur J Cardiothorac Surg 2000;17:407-14 

  25. Lim SH, Kwak YT, Lee S, et al. Clinical experiences of redo-CABG.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2;35: 7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