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 중의 미량금속 분석을 위한 청결기술의 소개
Introduction of Clean Techniques for Trace Metal Analysis in Seawater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5 no.2 = no.37, 2009년, pp.157 - 164  

김경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김은수 (한국해양연구원 기기검교정.분석센터) ,  나공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문덕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  김현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sim}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tals such as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 etc are present at very low concentration in seawater and are classified as so-called trace metals. Whiles some of them are used in metabolism of living organism as a micronutrient, they may show toxic effects on organisms in case of a lim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료 채취 방법이 여러 형태로 시도되었으며, 표층수와 저층수 채취에 대하여 분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신뢰성 있는 자료는 원소의 거동과 환경 현황맟 변화 파약, 관리대책 수립 등에 필수 요소이다’ 따라서 수중의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 청결기술은 시료 채취 방법 및 채취 장비 선택, 시료 처리에 사용되는 각종 기구의 세척, 고순도 시약 사용, 전처리 과정, 측정 장비, 시료 처리시 청정 환경 등 시료 처리에 대한 모든 과정에 있어 오염을 제어하는데 있으며, 주요 오염원과 이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한국해양연구원(2002), 남극 해양생물자원 및 생태계 연구, BSPP 001-B4-1405-7, p. 351. 

  2. Boyle, E.A., S.S. Huested and S.P. Jones(1981), On the distribution of copper, nickel, and cadmium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North Atlantic and North Pacific Ocean, J. Geophy. Res., Vol. 86, pp. 8048-8066. 

  3. Brugmann, L., E. Geyer and R. Kay(1987), A new Teflon sampler for trace metal studies in seawater-'WATES', Mar. Chem., Vol. 21, pp. 91-99. 

  4. Bruland, K. W.(1983), Trace Elements in Seawater, In Riley, J.P. and Chester, R. eds., Chemical Oceanography (8), Academic Press, New York, pp. 157-220. 

  5. Bruland, K. W., J.R. Donat and D. A. Hutchins(1991), Interactive influences of bioactive trace metals on biological production in oceanic waters, Lomnol. Oceanogr., Vol. 36, pp. 1555-1577. 

  6. Burton, J.D. and P.J. Statham(1990), Trace metals in seawater, In Furness, R.W. and Rainbow P.S. eds., Heavy met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CRC Press, Boca Raton, U.S.A., pp. 5-25. 

  7. Forstner, U.(1981), Metal concentrations in river, lake, and ocean water, In U. Forstner, and G.T.W. Wittmann eds.,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2nd ed., Spring-Verlag, Heidelberg, pp. 71-109. 

  8. Harper, D.J.(1987), A new trace metal-free surface water sampling device, Mar. Chem., Vol. 21, pp. 183-188. 

  9. Kremling, K.(1983), Determination of trace metals, In Grasshoff, K., M. Ehrhardt and K. Kremling eds., Methods of Seawater Analysis. Verag Chemie, Weinheim, pp. 189-213. 

  10. Mart, L.(1979), Prevention of contamination and other accuracy risks in voltammetric trace metal analysis of natural waters. Part II. Collection of surface water samples, Fresenius Z. Anal. Chem., Vol. 299, pp. 97-102. 

  11. Mizuike, A.(1983), Enrichment Techniques for Inorganic Trace Analysis, Spring-Verlag, Berlin, p. 145. 

  12. Spencer, M.J, P.R. Betzer and S.R. Piotrowicz(1982), Concentrations of cadmium, copper, lead and zinc in surface waters of the Northwest Atlantic Ocean-A comparison of Go-Flo and Teflon water samplers, Mar. Chem., Vol. 11, pp. 403-410. 

  13. Suttie, E.D. and E.W. Wolff(1992), Preconcentration method for electrothermal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ic analysis for heavy metals in Antarctic snow at sub ng $kg^{-1}$ levels, Anal. Chim. Acta, Vol. 258, pp. 229-236. 

  14. Windom, H.L., J.T. Byrd, R.G. Smith Jr. and F. Huan(1991), Inadequacy of NASQAN data for assessing metal trends in the Nation's Rivers, Environ. Sci. Technol., Vol. 25, pp. 1137-1142. 

  15. Windom, H. L. and R. G. Smith Jr.(1991), Suspended particulate sampling and analysis for trace elements, In American Geophysical Union eds., Marine Particles: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63), Geophy. Mono, pp. 317-320. 

  16. http://www.geotraces.org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