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두개골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특징적인 자기공명 영상소견을 기술하고 단순촬영과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의 영상소견과 비교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총 9명의 환자 중 10예의 병변을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을 분석하였다(연령범위: 5-42세, 평균 연령: 18세, 전예 여자). 9예에서 수술이나 미세 침 흡입 생검술에 의해서 병리학적으로 두개골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증명되었다. 모든 환자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이 중 7명 (8예) 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과 단순 촬영을 시행하였다. 두 명의 숙련된 신경영상의학 의사가 영상에서 병변의 위치, 크기, 모양과 특징을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병변의 범위와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은 모든 두개골에 편향 없이 분포하였다. 자기공명 영상에서 종괴들은 조영증강되는 골 융해성 종괴(10/10)로 주로 판사이 공간에 위치하고(8/10) 두피(9/10)나 경질막(7/10)을 침범하였다. 경질막의 조영증강(7/10)과 비후(4/10)가 모든 병변에서 보였다. 골 융해성 종괴의 크기는 1.1 cm에서 6.8 cm의 범위였으며 모양은 원형(5/10)이거나 난원형(5/10)이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병변은 판사이 공간의 골 융해성 종괴로(6/8) 두피의 침범(7/8)이 잘 보였다.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골미란이나 골파괴가 자기공명영상보다 좀 더 분명하게 보였지만 연부종괴와 경질막의 조영증강 유무는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순촬영에서 모든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도려낸 병터 (punched out) 모양(4/8)이나 beveled-edge 모양(4/8)의 골융해성 종괴로 보였고 두피나 경질막으로의 침범은 판단 할 수 없었다. 결론: 두개골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특징적인 자기공명 영상소견은 판사이 공간에 위치한 골 융해성 종괴가 경질막과 두피를 침범하는 것으로, 자기공명영상이 단순촬영이나 컴퓨터 단층 촬영 보다 우월한 영상 기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MR imaging findings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in the skull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plain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10 lesions in 9 patients (Age range; 5-42 years, Mean age; 18, all wome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owever, precise CT and MR imaging findings are not well docum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no comparative trials that demonstrated the clear advantage of one imaging modality over the other one have been reported, to our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imaging findings of MRI in LCH patients with skull involvement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plain radiographs and CT scans.
  • Two experienced neuroradiologist reviewed the radiologic examinations retrospectively, with attention to location, size, shape and nature of the lesions in the skull on all plain radiographs, CT and MR imaging. The involving layers including adjacent dura, attenuation or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s, and presence of enhancement were also evaluated on both CT and MR images.

대상 데이터

  • The chief complaint of the 5 patient was scalp swelling , and the others were palpable mass. All patients performed with MRI, but simple skull X-ray and CT scan were done in 7 patients (8 les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 multicentre retrospective survey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348 cases observed between 1983 and 1993: The Frenc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Study Group. Arch Dis Child 1996;75:17-24 

  2. Arceci RJ. The histiocytoses: the fall of the Tower of Babel. Eur J Cancer 1999;35:747-767 

  3. Ladisch S, Jaffe ES. The histiocytoses. In: Pizzo PA, Poplack DG,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pediatric oncology. Philadelphia, Pa: Lippincott, 1989:491-504 

  4. Leonidas JC.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Taveras JM, Ferrucci JM, eds. Radiology: diagnosis, imaging, intervention. Vol 5. Philadelphia: Lippincott, 1990:1-9 

  5. David R, Oria RA, Kumar R, et al. Radiologic features of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AJR Am J Roentgenol 1989;153:1021-1026 

  6. Mirra JM. Histiocytoses. In: Mirra JM, Picci P, Gold RH, eds. Bone tumor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correlations. Vol 2. Philadelphia: Lea & Febiger 1989;1021-1060 

  7. Broadbent V, Gadner H, Komp DM, Ladisch S. Histiocytosis syndromes in children. II. Approach to the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children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Med Pediatr Oncol 1989;17:492-495 

  8. Stull MA, Kransdorf MJ, Devaney KO. From the archives of the AFIP: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bone. Radiographics 1992;12:801-823 

  9. Rawlings CE 3rd, Wilkins RH. Solitary eosinophilic granuloma of the skull. Neurosurgery 1984;15:155-161 

  10. Favara BE, McCarthy RC, Mierau GW. Histiocytosis X. Hum Pathol 1983;14:663-676 

  11. Favara BE.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pathobiology and pathogenesis. Semin Oncol 1991;18:3-7 

  12. Kilpatrick SE, Wenger DE, Gilchrist GS, et al.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histiocytosis X of bone). Cancer 1995;76:2471-2484 

  13. Al-Abbadi M, Masih A, Braylan RC, et al. Soft tissue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an adult. Arch Pathol Lab Med 1997;121:169-172 

  14. Schmitz L, Favara BE. Nosology and pathology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Hematol Oncol Clin North Am 1998;12:221-246 

  15. Brown R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_1$ , and interleukin 11 in the osteolytic lesions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rch Pathol Lab Med 2000;124:1287-1290 

  16. Huang F, Arceci R. The histiocytoses of infancy. Semin Perinatol 1999;23:319-331 

  17. Howarth DM, Gilchrist GS, Mullan BP, et al.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diagnosis, natural history, management, and outcome. Cancer 1999;85:2278-2290 

  18. Egeler RM, D'Angio GJ.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J Pediatr 1995;127:1-11 

  19. Huvos AG. Bone tumors.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1991:695-771 

  20. Resnick D. Lipidoses, histiocytoses, and hypenlipoproteinemias. In: Resnick D, Niwayama G, eds. Diagnosis ofbone and joint disorders. Vol 4.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1988;2429-2439 

  21. Prayer D, Grois N, Prosch H, Gadner H, Barkovich AJ. MR imaging presentation of intracranial disease associated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JNR Am J Neuroradiol 2004;25:880-891 

  22. Azouz EM, Saigal G, Rodriguez MM, Podda A.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pathology, imaging and treatment of skeletal involvement. Pediatr Radiol 2005;35(2):103-15 

  23. Campanacci M. Bone and soft tissue tumors, 2nd ed. Springer, Berlin Heidelberg New York, 1999: 857-76 

  24. Dorfman HD, Czerniak B. Bone tumors. Mosby, St. Louis, Missouri, 1997:690-701 

  25. De Schepper AM, Ramon F, Van Marck E. MR imaging of eosinophilic granuloma: report of 11 cases. Skeletal Radiol 1993;22:163-6 

  26. Kilborn TN, Teh J, Goodman TR. Paediatric manifestations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 review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Clin Radiol 2003;58(4):269-78 

  27. Keyaki A, Nabeshima S, Sato T,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calvarial eosinophilic granuloma with pericranial soft tissue reaction-case report. Neurol Med Chir (Tokyo) 2000;40:110-1 

  28. Wilner D. Radiology of bone tumors and allied disorders. Philadelphia: Saunders, 1982:1330-14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