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치료 결과
Treatment Outcome of Langerhans Cell Histocytosis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20 no.1, 2014년, pp.14 - 21  

정소학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김재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조현익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교실에서 경험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치료방법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 교실에서 수술 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확진 된 총 28례를 대상으로 발병 당시부터 최근까지의 진찰소견, 의무기록, 방사선 사진, 병리소견을 토대로 임상소견과 진단 및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8례로 소아 22례 성인 6례였다. 발병나이는 0.6세에서 51세 사이에서 발생하였으며 평균연령은 14.8세였다. 추시 기간은 6개월에서 134개월까지 평균 44.6개월 이었다. 환자의 구성은 남자 20명 여자 8명으로 남녀성비는 2.5:1이었다. 초기증상은 동통 18례, 병적 골절 5례, 종괴 3례, 방사선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 1례, 사경 1례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모든 증례에서 골 용해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13례에서는 골막 반응이 동반되었으며 1례에서는 연부조직 침범이 관찰되었다. 임상적 분류로 28례 모두 호산구성 육아종 이었으며 조직구 협회가 제시한 분류법으로는 단일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 3례, 단일 병소 질환 25례였다. 전례에서 조직 생검술이 시행되었으며 6례에서는 생검술 이후 특별한 치료 없이 골 유합을 얻었으며 11례에서는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11례는 조직생검과 동시에 소파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거나 추가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기간 중 환자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병변이 국소 재발한 경우는 없었으나 신체 다른 부위에 골병변이 생긴 경우가 3례 있었다. 합병증은 총 2례가 있었으며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한 이후 감염소견을 보여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에서 급격한 전신적 발병을 가져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초기 진단 시에 어린 환아에게 과도한 방사선 노출을 가져오는 검사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환의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생검이 필요하며 조직학적 확진 이후에는 경과 관찰만으로도 대부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 전 병적 골절이 있거나 골 파괴 병변의 범위가 넓은 경우 소파술 및 골 이식술과 내고정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3-6개월간의 경과관찰에도 병변의 호전이 느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법이 좋은 치료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 of Langerhans' cell histocyt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1996 to June 2013, 28 patients who histologically proven with LCH were analyzed of medical records, radiography, pathologic character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미 진단된 환자에서 다른 부위에 유사한 병소가 발생하거나 임상적으로 명확한 소아에서의 평편 척추 등에서는 조직학적 검사 없이 경과관찰만으로 진단을 대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병변에 대해서는 임상적 증상 및 영상검사만 가지고는 만성골수염, 유잉 육종 등의 다른 질병을 배제할 수 없어 전례에서 골 생검술을 시행하였으나 이미 진단된 환자에서 다른 부위에 유사한 병변이 관찰된 경우 경과관찰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리학적으로 침윤된 랑게르한스 세포는 어떤 형태를 보이는가? 2) 이렇듯 과거에는 각기 다른 병으로 구분되었으나 조직학적 소견에 차이가 없어 최근에는 특징적인 랑게르한스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보이는 단일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 세포의 증식은 면역학적 반응의 결과라기 보다는 단일세포의 종양성 증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1) 병리학적으로 침윤된 랑게르한스 세포는 정상 조직구에 비하여 라이소좀, 파고좀, 지질, 당원의 함유량이 더 적은 coffee bean 모양의 세포로서, 증식하여 황색종양의 형태가 되고, 부분적으로 괴사성 병변도 보인다. 조직화학염색상 CD1a, S-100 단백, peanut lectin, HLA DR 에 양성이며, 전자현미경에서 세포질이나 핵에서 특징적인 막대나 라켓모양의 버백 과립이 관찰된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기를 침범하는데 서서히 자라는 한개의 독립된 국소 병변으로 부터 전신으로 파급되는 치명적인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임상적 분류법으로는 통상 다음 세가지가 있는데, 첫째 호산구성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으로 가장 흔한 형태이며 주로 단일 병소로 육아종성 뼈 결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5에서 20세에 호발 하며 어떠한 치료법에도 잘 반응하여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 두번째 핸드-쉴러-크리스찬병(Hand-Schuller-Christian disease)는 안구 돌출증, 요붕증, 뼈 결손이라는 세가지 특징을 가지며 골격 및 골격 외의 주요 장기를 침범하는 전신 파종형으로 주로 3-5세에 호발 한다. 세번째 레테러시웨병(Letter-Siwe disease)은 주로 3세 미만의 영 유아에서 발생하며 쇠약, 간비종대, 피부발진 등 전신에 걸친 범발성 병변의 급성 진행으로 인해 골 파괴를 일으키기 전에 대부분 사망하게 된다.3) 최근에는 조직구 협회(Histocyte Society)에서 제시한 치료를 위한 분류를 많이 따르는데 이환 된 기관과 장기의 수에 따라 단일 병소 질환(unifocal disease), 한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unisystemic), 여러 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multisystemic)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참고로 하고 있다(Table 1).4-6) 본 저자들은 1996년부터 2013년까지 약 22년간 다양한 증상으로 의뢰되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진단된 여러 증례 들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대상으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고찰을 통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양상과 치료의 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란 무엇인가?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백혈구 중 골수에서 유래하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가 이상증식에 의하여 과 생산되어 다양한 장기에 축적되는 희귀질환이다.1) 흔히 5-15세 사이의 소아에서 발생하며 조직 생검을 통한 면역화학검사 및 현미경 소견으로 진단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ikin SL. Immunobiology of histiocytosis-X. Hematol Oncol Clin North Am. 1987;1:49-61. 

  2. Ryu Y, Lee H, Lee S, et al.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 cases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nd specificity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langerin (CD207). Korean J Pathol. 2009;43:113-9. 

  3. Park BM, Shin KH, Kim HW, Kim HJ. Treatment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J Korean Orthop Assoc. 1996;31:1218-27. 

  4. Favara BE, Feller AC, Pauli M, et al. Contemporary classification of histiocytic disorders. The WHO Committee On Histiocytic/Reticulum Cell Proliferations. Reclassification Working Group of the Histiocyte Society. Med Pediatr Oncol. 1997;29:157-66. 

  5. Hicks J, Flaitz CM.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current insights in a molecular age with emphasis on clinical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practic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100(2 Suppl):S42-66. 

  6. Seo JJ. Recent advances in histiocytic disorders. Korean J Pediatr. 2007;50:524-30. 

  7. Lampert 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Historical perspectives. Hematol Oncol Clin North Am. 1998;12:213-9. 

  8. Komp DM. Historical perspectives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Hematol Oncol Clin North Am. 1987;1:9-21. 

  9. Lichtenstein L. Histiocytosis X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letterer-siwe disease, and schueller-christian disease). Further observations of pathological and clinical importance. J Bone Joint Surg Am. 1964;46:76-90. 

  10. Lichtenstein L. Histiocytosis X; integration of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Letterer-Siwe disease, and Schuller-Christian disease as related manifestations of a single nosologic entity. AMA Arch Pathol. 1953;56:84-102. 

  11. Chung YG, Kim YS, Rhee SK, et al.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J Korean Orthop Assoc. 2006;41:37-42. 

  12. Howarth DM, Gilchrist GS, Mullan BP, Wiseman GA, Edmonson JH, Schomberg PJ.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diagnosis, natural history, management, and outcome. Cancer. 1999;85:2278-90. 

  13. Leonidas JC, Guelfguat M, Valderrama E.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ancet. 2003;361:1293-5. 

  14. Islinger RB, Kuklo TR, Owens BD, et al.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patients older than 21 years. Clin Orthop Relat Res. 2000;(379):231-5. 

  15. Yasko AW, Fanning CV, Ayala AG, Carrasco CH, Murray JA. Percutaneous techniqu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calized Langerhans-cell histiocytosis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J Bone Joint Surg Am. 1998;80:219-28. 

  16. Han I, Suh ES, Lee SH, Cho HS, Oh JH, Kim HS. Management of eosinophilic granuloma occurring in the appendicular skeleton in children. Clin Orthop Surg. 2009;1:63-7. 

  17. Cohen M, Zornoza J, Cangir A, Murray JA, Wallace S. Direct injection of methylprednisolone sodium succinate in the treatment of solitary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a report of 9 cases. Radiology. 1980;136:289-93. 

  18. Capanna R, Springfield DS, Ruggieri P, et al. Direct cortisone injection in eosinophilic granuloma of bone: a preliminary report on 11 patients. J Pediatr Orthop. 1985;5:339-42. 

  19. Egeler RM, Thompson RC Jr, Voute PA, Nesbit ME Jr. Intralesional infiltration of corticosteroids in localized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J Pediatr Orthop. 1992;12:811-4. 

  20. Scaglietti O, Marchetti PG, Bartolozzi P. Final results obtained in the treatment of bone cysts with methylprednisolone acetate (depo-medrol) and a discussion of results achieved in other bone lesions. Clin Orthop Relat Res. 1982;(165):33-42. 

  21. Arenzana-Seisdedos F, Barbey S, Virelizier JL, Kornprobst M, Nezelof C. Histiocytosis X. Purified (T6+) cells from bone granuloma produce interleukin 1 and prostaglandin E2 in culture. J Clin Invest. 1986;77:326-9. 

  22. Marusic A, Raisz LG. Cortisol modulates the actions of interleukin-1 alpha on bone formation, resorption, and prostaglandin production in cultured mouse parietal bones. Endocrinology. 1991;129:2699-7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