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Seoul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3, 2009년, pp.258 - 271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최진우 ((주)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에코플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부환경 변화와 천이의 영향으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서울시 소나무림의 식생환경을 개선하고자 교목층 우점종의 경쟁관계, 하층식생내 경쟁종 출현 유무, 관리정도 등에 근거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서울시 소나무림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소나무순림에 속하는 토지극상림(26.1%)과 소나무순림(21.5%), 소나무와 타 수종이 경쟁하는 소나무-신갈나무림(28.0%), 소나무-리기다소나무림(13.1%), 소나무-상수리나무림(4.2%)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유형에 대한 정밀한 식생조사 결과, 토지극상, 답압피해, 식생관리로 인해 교목층과 하층에 경쟁종이 출현하지 않아 소나무림 유지가 가능한 4개 군집은 하층식생 보완 등 소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반면 교목층과 하층에 소나무와 경쟁수종인 낙엽성 참나무류와 외래종이 출현하는 4개 군집은 생태적 지위가 동일한 경쟁종관리, 하층식생 도입 등 적극적인 관리기법을 적용해야 소나무군집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chang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ten lead to declin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Seoul. Due to decline of it, we proposed the ecological management for conserving and improving from decrease of its dominant area on there. We analysed the P. densiflora forest's cl...

주제어

참고문헌 (29)

  1. Bae, K. H. and S. C. Hong(1996) Structure and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Jour. Korean For. Soc. 85(2): 260-270 

  2. Beon, M.S. and N. Bartsch(2003) Early seedling growth of pine(Pinus densiflora) and oaks(Quercus serrata, Q. mongolica, Q. variabilis) in response to light intensity and soil moisture. Plant Ecology 167: 97-105 

  3. Cappellato, R, N. E. Peters and H. L. Ragsdale(1993) Acidic atmospheric deposition and canopy interactions of adjacent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the Georgia Piedmont. Can. J. For. Res. 23: 1114-1124 

  4. Cho, Y. H. and W. Kim(1992)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 after fire.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5(4): 337-344 

  5. Choi, J. C.(1981) Basic ecology. Hyangmunsa, Seoul, 251pp 

  6. Choo, G. C., T. W. Um, G. T. Kim, S. B. Park, H. H. An, N. H. Kim and H. J. Kim(2008)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khansansung to Insu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2): 98-105 

  7.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 consin. Ecology 32: 476-496 

  8. Hill, M.O.(I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sco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9. Hill, M.O.( 1979b) TWINSP 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pp 

  10. Jo, J. C., W. Cho and B. H. Han(1995)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8(2): 121-134 

  11. Kim, J. H., G. H. Seo, Y. S. Gung, K. S. Lee, S. D. Go, J. S, Lee, B. S.Lim, H. T. Mun, K. H, Cho, H. S. Lee, Y. H. Yoo,B. M.Min, C. S. Lee, E. J. Lee and K. H. Oh(2007) Modem ecology. Gyomunsa, Seoul, 434pp 

  12. Korea Forest Service(2006) Statistical annual report of Forestry sector. 474pp 

  13. Kwon, J. O.(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evaluation for the nature-friendly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lanning.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281 pp 

  14. Kwon,J. O., G. J. Lee and S. H. Jang(2004)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53-63 

  15. Kwon, O. B., H. K. Lee and C. W. Chong(1982) Stand density management 

  16. Lee, C. K., J. H. Hwang and J. K. Kim(2004) Study on decline of trees by acid rainfall.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7(6): 347-353 

  17. Lee, K. J., B. H. Han and J. Y. Kim(1999) Plant community structure & distribution density of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forest in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4): 361-372 

  18. Lee, K. J., B. H. Han and O. H. Lee(1998)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distan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93-505 

  19. Lee, K. J., I. H. Park and K. K. Oh(1987) Analysis of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during eight years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Jour. Korean For. Soc. 76(3): 206-217 

  20. Lee, K. J., I. H. Park, J. C. Jo and C. H. Oh(199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2)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 J. Env. Eco. 4(1): 33-43 

  21. Lee, K. J., W. Cho and B. H. Han(1996) 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 Kor. J. Env. Eco. 10(1):113~127 

  22. Lim, K. B.(1998) Pinus densiflora. Daewonsa, Seoul, 1443pp 

  23. Ludwig, J.A. and J.F. Rcynolds(l988) Statistical ecology-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John Wiley & Sons Publ, N.Y., 337pp 

  24. Mun, H. T. and Y. S. Choung(1996) Effects of forest fire on soil nutrients in pine forests in Kosong , Kangwon Province.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9(5): 375-383 

  25. Park, I. H, K. J. Lee and J. C. Jo(l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Kor. J. Env. Eco. 1: 1-24 

  26. Park, I. K(2005)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san, Seoul.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250pp 

  2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1992) Restoration plan of Namsa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35pp 

  2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0) Guidelines on the biotope survey and the eco-city construction for application the urban ecosystem concept to urban plann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245pp 

  2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1) Management pla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366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