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인자에 따른 소나무림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logical Nich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5 no.3, 2013년, pp.153 - 160  

서동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오창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우관수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이재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대 남부, 중부, 북부지역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기상인자, 생육인자에 대해 생태적 지위폭(ecological niche breadth)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릉, 정선, 평창, 함양, 봉황, 영양, 울진, 의성 보성 9개 지역에 $20{\times}2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수고, 흉고 직경, 지하고, 수관폭, 흉고단면적을 생육인자로 이용하였으며, 기상인자는 최저기온, 평균기온, 최고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의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5가지 기상인자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습도를 제외한 기상인자에서 생태적 지위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기상변화에 따른 소나무의 분포역이 한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기온변화가 소나무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최고기온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지역에서 0.4이하의 낮은 생태적 지위폭을 보였다. 하지만 5가지 생육인자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모든 조사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나무가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분포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상인자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생육인자의 경우 과거 안정된 환경에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생장하였기 때문에 생육 내성의 범위가 커 소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이 넓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기상인자의 경우 지속적인 지구온난화의 결과로서 소나무가 생육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변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기온상승으로 인한 소나무림의 분포지역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Pinus densiflora forest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Ecological niche is used as a method to quantify the position occupied in biological communities, space, influence and all ecolog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온대 남부, 중부, 북부지역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기상인자, 생육인자에 대해 생태적 지위폭 (ecological niche breadth)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릉, 정선, 평창, 함양, 봉황, 영양, 울진, 의성 보성 9개 지역에 20×2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수고, 흉고 직경, 지하고, 수관폭, 흉고단면적을 생육인자로 이용하였으며, 기상인자는 최저기온, 평균기온, 최고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의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토양환경, 기상인자, 생육인자를 조사하여 각 지역별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알기 위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분석하였고, 각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의 차이의 정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생태적 지위 중복역을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소나무는 어떠 나무인가? et Zucc.)는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대표적인 상록 침엽수종으로서 임업뿐만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수종이다. 소나무림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1/4을 차지하며 참나무류와 더불어 우리나라 주요 산림경관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소나무림의 분포면적이 축소되거나 쇠퇴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나무림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1/4을 차지하며 참나무류와 더불어 우리나라 주요 산림경관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그러나 현재 소나무림은 산림천이, 소나무 재선충병, 솔잎혹파리 등 병해충, 산불 등 교란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 분포면적이 축소되거나 쇠퇴되고 있다. 특히 자연 천이에 의하여 소나무림의 하층식생 우점종인 참나무류 등 활엽수 종의 밀도가 증가하여 향후 상층 소나무와 경쟁이 심해 질것이며, 이미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경쟁으로 인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릉, 정선, 평창, 함양, 봉황, 영양, 울진, 의성 보성 9개 지역에 20×2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수고, 흉고 직경, 지하고, 수관폭, 흉고단면적을 생육인자로 이용하였으며, 기상인자는 최저기온, 평균기온, 최고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의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5가지 기상인자에 대한 생태적지위폭은 습도를 제외한 기상인자에서 생태적 지위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기상변화에 따른 소나무의 분포역이 한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기온변화가 소나무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최고기온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지역에서 0.4이하의 낮은 생태적 지위폭을 보였다. 하지만 5가지 생육인자에 대한 생태적지위폭은 모든 조사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나무가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분포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상인자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생육인자의 경우 과거 안정된 환경에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생장하였기 때문에 생육 내성의 범위가 커 소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이 넓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기상인자의 경우 지속적인 지구온난화의 결과로서 소나무가 생육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변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기온상승으로 인한 소나무림의 분포지역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rams, P., 1980: Some comments on measuring niche overlap. Ecology 61(1), 44-49. 

  2. Chmura, D. J., and R. Rozkowski, 2002: Variability of beech provenances in spring and autumn phenology. Silvae Genetica 51, 123-127. 

  3. Colwell, R. K., and D. J. Futuyma, 1971: On the measurement of niche breadth and overlap. Ecology 52(4), 517-576. 

  4. Harper, J. L., J. N. Clatworthy, I. H. McNaughton, and G. R. Sagar, 1961: The evolution and ecology of closely related species living in the same area. Evolution 15(2), 209-227. 

  5. Hotta, M., 1990: Forestry technical handbook. Forestry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445-474pp. 

  6. Hulbert, S. H., 1978: The measurement of niche overlap and some relatives. Ecology 59(1), 67-77.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 Metz, O.R. Davidson, P.R. Bosch, R. Dave, L.A. Mey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851pp. 

  8. Jeong, J. H., K. S. Koo, C. H. Lee, and C. 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g, J. H., C. S. Kim, K. S. Goo, C. H. Lee, H. G. Won, and J. G. Byun,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3), 254-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eong, J. K., H. R. Kim, Y. H. You, 2010: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respons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6), 648-6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J. K., 2012: Ecological response of Bupleurum latissimum (Apiaceae, endangered species) to the environmental gradient treatment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5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H. R., H. M. Jeong, H. J. Kim, and Y. H. You, 2008: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4), 385-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 R., 2010: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ecological responses of Phytolacca insularis and Phytolacca american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6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I. S., K. O. Ryu, and J. W. Lee, 2012: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flush timing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229-2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2.14.4.229 

  15. Kim, T. H., J. H. Chung, C. H. Lee, K. S. Koo, W. K. Lee, I. A. Kang, and S. I. Kim, 1991: Studies on the Growth of Major Tree Species by Forest Soil Types. Research Reports of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Seoul) 42, 91-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T. H., J. H. Chuneg, K. S. Koo, K. H. Kim, S. H. Cha, J. S. Kim, C. H. Lee, and C. D. Koo, 1998: Studies on Forest Soil Classification of Korea. Res. Rep. For. res. Inst. 37, 19-34.(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im, K. H., B. J. Kim, J. H. Oh, W. T. Kwon, H. J. Baek, 2000: Detection of urbanization effect in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6(5), 519-5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H. S., and F. A. Bazzaz, 1985: Within and between species ecological variation in Polygonum pensylvanicum and Polygoum virginianum. Journal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273-290. 

  19. Lee, I. S., P. H. Lee, S. G. Son, C. S. Kim, and K. H. Oh, 2001: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Salix species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in the Nam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Ecology 24(5), 289-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P. H.,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ynamics of riparian Salix in South Korea.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0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 W., 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 (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54,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vins, R., 1968: Evolution in changing environments. Prinston Univ. Press, Prinston. 120 pp. 

  23. Park, B. H., 2003: Studies on the niche of four herbal species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 Master's degree. Thesis, Seowon University. 6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ianka, E. R., 1983: Evolutionary ecology (3rd ed.). Harper & Row, NY. 253pp. 

  25. Shoener, T. 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 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ogy 51, 408-418. 

  26. Seo, D. J., 2012. A Study on Phenology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Baekdudaegan Area.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1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http://www.kma.go.kr (2012) 

  28.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02pp. 

  29. 여천생태연구회, 2005: 현대생태학실험서. 교문사. 

  30. 진현오, 이종명, 신영오, 김정제, 전상근, 1994: 산림토양학. 향문사 325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